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조회 수 2659 추천 수 0 댓글 1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황대우.jpg


 

황대우 목사  
고신대학교 교수  
개혁주의학술원 책임연구원  



‘인문주의’(Humanismus. Humanism)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독일의 신학자요 철학자인 프리드리히 임마누엘 니탐머(Friedrich Immanuel Niethammer)가 고전 즉 헬라어와 라틴어 교육을 강조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던 용어인데, 오늘날 이 용어가 ‘인간적인 가치를 존중’하는 것을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개념 정의와 이해가 혼란스럽다. 

16세기 인문주의는 고전 인문주의로써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의미한다. 르네상스 시대는 일반적으로 대략 1350-1600년 사이의 서구 역사를 의미하고 고전 인문주의는 15-16세기의 르네상스를 의미한다. ‘인문주의자’(humanista)라는 용어는 이미 16세기에 사용되었는데, ‘인문학’(studia humanitatis)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인문학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사람 모두를 지칭하는 용어였다. 

16세기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크게 두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주로 고전 문학과 예술의 원천인 그리스 로마 시대 저술에 집중한 이탈리아 인문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주로 기독교의 원천인 성경과 초대 기독교 저술에 집중한 북유럽 인문주의이다. 기독교 인문주의라 정의되는 북유럽 인문주의는 종교개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유능한 종교개혁자들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인물들로는 독일의 멜랑흐톤(Melanchthon), 프랑스의 칼빈, 네덜란드의 요한 슈투름(Johannes Sturm)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 모두 기독교 인문주의 즉 성경 인문주의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종교개혁자들에게 성경 인문주의는 깊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성경 인문주의를 배제하고 종교개혁을 논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종교개혁자들이 성경 원어와 기독교 교부들의 원전을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당대의 네덜란드와 독일과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한 성경 인문주의자들 덕분이었다. 성경 인문주의자들은 그리스-로마 문학 원전보다는 오히려 성경 원문을 더 사랑했다. 그들의 주요 관심은 세속적이기 보다는 신앙적이었다. 이런 관심 때문에 고전 헬라어와 라틴어 저술들을 독서하는 것은 물론이고, 헬라어와 라틴어로 기록된 교부들의 저술도 함께 읽었다. 뿐만 아니라, 성경 언어인 히브리어와 코이네 헬라어를 익혀 성경 원본을 편집하고 읽기 시작했다. 

16세기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둘 다 ‘원천으로 돌아가자!’는 의미의 ‘아드 폰테스’(Ad fontes)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닮았다. 특히 북유럽의 인문주의자들과 종교개혁자들은 성경과 초대기독교를 동경했다는 공통점과 개혁이라는 공동의 이상과 목표 때문에 서로를 동지로 생각할 정도로 우호적이었다. 하지만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성경과 초대기독교의 복구’라는 개혁의 이상이 같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복구하는 길이 달랐기 때문에 개혁의 동반자가 될 수는 없었다.

비텐베르크 종교개혁자 루터는 1517-1521 사이에 급부상한 유럽 최고의 유명인이 되었다. 그의 유명세가 정작 루터 자신에게는 별로 달갑지 않은 것이었지만 결국 유럽 역사와 교회 역사의 패러다임을 바꾸도록 만들었다. 루터가 유명세를 떨치기 전, 16세기 유럽 최고의 명사는 단연 네덜란드 로테르담(Rotterdam) 출신의 에라스무스였다. 그는 성경 인문주의의 대표 주자였다. 그는 1516년에 최초의 헬라어 신약성경 비평편집 판을 출간했다. 

라틴어로 번역된 성경 <불가타 역본>이 중세 내내 ‘공인성경’(Textus receptus)으로 권위를 발휘했기 때문에 에라스무스가 편집한 그리스어 원본의 출간은 획기적이고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이 일을 통해 에라스무스는 동료 인문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로마 교황청으로부터도 찬사를 받았다. 교황은 수차례 에라스무스를 로마 교황청으로 거듭 초청했으나 인문주의의 대표 주자는 결국 거절했다. 루터 역시 로테르담의 인문주의자가 편집한 헬라어 <신약성경>이 출간되자마자 구입하여 탐독했고, 한 해 뒤인 1517년에 종교개혁의 발단으로 간주되는 루터의 “95개조 토론문” 게재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이 발생했을 때만 해도 성경 인문주의를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루터는 한 배를 타고 가는 동반자라고 생각했다. 즉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서로를 동지라 여겼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것이 너무 성급한 판단이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1524년에는 에라스무스와 루터 사이에 인간의 자유의지에 관한 지상 논쟁이 벌어졌고, 이 사건을 계기로 에라스무스를 추종하던 인문주의자들 다수가 에라스무스를 떠나 루터를 추종하는 종교개혁을 선택하고 지지하게 되었다. 

영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종교개혁 전야는 칠흑같이 어두웠다. 특히 영적인 지도자들의 도덕적 타락상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가늠하는 것은 성직매매가 만연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 예컨대 1492-1503 사이의 교황 알렉산더(Alexander) 6세는 스페인 출신 로드리고 보르지아(Rodrigo Borgia)였는데, 뇌물로 교황의 자리에 올랐을 뿐만 아니라, 많은 첩을 두었고 이들로부터 8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이 자녀들 가운데 가족 살인도 서슴지 않았던 잔인무도하기로 악명 높은 루크레치아 보르지아(Lucrezia Borgia)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스페인어 ‘보르지아’는 부패의 동의어가 되었다. 

또한 1503-1513년 사이의 교황 율리우스(Julius) 2세는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지존임을 과시하기 위해 대부분의 재위기간을 강력한 군대를 직접 진두지휘한 전쟁으로 채웠기 때문에 교황을 평화의 왕이 아닌 전쟁의 왕을 상징하는 인물로 변질시켰다. 그의 후계자인 레오(Leo) 10세는 루터를 파문한 교황이었는데, 은행 가문인 메디치(Medici) 가문 출신답게 부와 권력과 명예를 탐하는 세속적인 인사였다. 그가 얼마나 세속적이었는가 하는 것은 그가 교황의 자리에 올랐을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교황청을 주셨으니, 이제 다함께 즐기자!”라고 했던 말로도 짐작할 수 있다. 종교개혁 전야는 한마디로 무시무시한 권력남용과 악취 나는 부정부패로 만연했다.

인문주의자들은 이와 같은 도덕적 타락상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했다. 그래서 가장 시급하고 우선적인 개혁의 대상은 성직자들의 권력남용과 부정부패로 보았다. 이런 사실들을 고발하기 위해 인문주의자들은 글로써 그것을 희화화했다. 이것은 도덕적 개선이 인문주의 개혁의 최고의 목표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종교개혁, 특히 루터에게는 성경의 가르침과 무관한 잘못된 기독교 교리를 개혁하는 일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였다. 에라스무스가 지향한 도덕적 개혁과 루터가 지향한 교리적 개혁은 분명 상보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갈등과 대립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인문주의자들은 중세의 문제를 부정부패와 매관매직, 음행 등과 같은 도덕적 타락으로만 보았기 때문에 개혁을 도덕과 윤리 문제의 해결로 간주한 반면에, 종교개혁자들은 당대의 윤리적 타락을 현상적인 문제로 보았고, 이보다 더 심각한 본질적인 문제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왜곡에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은 단순히 윤리적인 타락상을 개선하는 것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성경의 최고 권위를 회복하여 교황의 권위 위에 세우는 일과 왜곡된 중세 교리를 말씀에 따라 바르게 교정하고 가르치는 일로 확대되었다. 

기독교 인문주의가 더러워진 ‘교회를 정화하자!’는 운동이었다면, 종교개혁은 쓰러져가는 ‘교회를 바르게 세우자!’는 운동이었다. 후자가 전자보다 더 포괄적이다. 그래서 전자는 후자를 품을 수 없었지만, 후자는 전자를 품을 수 있었다. 

종교개혁자들 가운데는 종교개혁을 기독교 교리의 개혁뿐만 아니라, 타락한 사회 제도의 개선과 타락한 개인의 도덕성 회복으로 간주한 최초의 인물은 스위스 취리히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Zwingli)와 독일남부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자 부써(Bucer) 등이다. 이들은 루터와 달리 인문주의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래서 츠빙글리는 개혁의 우선적인 과제를 타락한 교회 제도의 개선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첫 세대 개혁파 종교개혁자들 대부분은 교리적 개혁과 더불어 사회적, 제도적 개혁도 병행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바른 교리를 가르치는 일뿐만 아니라, 바른 교리를 즉각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는 일도 동시에 추진해 나갔다. 

이러한 종교개혁 정신을 가장 잘 이어받은 두 번째 세대의 종교개혁자는 바로 제네바의 칼빈(Calvin)과 츠빙글리의 후계자 불링거(Bullinger)였다. 이들에게 종교개혁은 기독교 교리의 회복과 사회적 제도의 개선이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와 교회와 개인의 삶 전체를 모두 포괄하는 총체적 개념이었다. 성경적 인문주의 영향을 받은 개혁파 종교개혁자들은 이신칭의라는 루터의 가르침을 단순히 바른 기독교 교리의 회복과 교육을 통한 교회 개혁에만 적용하지 않고, 나아가 사회적인 문제의 개선과 개인적인 삶의 성화에도 적용하는 포괄적인 신앙의 개혁으로 승화시켰다.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강종수 2015.10.09 18:10
    사상 개혁 속에 성도의 삶의 변화 개혁이 진정한 개혁,
    그 기독교적 인문을 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1. [기고] SFC 문제, 이렇게 해결하자

    SFC 문제, 이렇게 해결하자 황원하 목사 1. 교회와 SFC 사이의 갈등 필자는 몇 년 전에 “SFC가 과연 교회를 위한 단체인가”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다. 당시에 그 글은 그 매체에서 가장 많이 읽힌 글이 되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
    Date2016.08.20 By개혁정론 Views3590
    Read More
  2. [기고] 보편적 교회를 믿사오며

    보편적 교회를 믿사오며 이충만 목사 (네덜란드 캄펀신학교 유학중) 지난 6월 19일 크레타 섬에서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 (제7차 보편공의회) 이후 최초로 개최되는 동방정교회의 공의회가 개최되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한국과 필자가 유학하고 있는 네...
    Date2016.06.27 By개혁정론 Views1649
    Read More
  3. 침묵과 겸손으로 순례자의 삶을 사셨던 故 오병세 목사님을 추억하며

    침묵과 겸손으로 순례자의 삶을 사셨던 故 오병세 목사님을 추억하며 • 오재경 목사 (조카손자, 향상교회-LA 선한청지기 교회 공동유학목사) 한 목사님이 이런 말씀하셨습니다. “신구약 성경은 예수라는 꽃 한 송이를 피우기 위해 장구한 세월에 걸쳐 형성되...
    Date2016.06.20 By개혁정론 Views2587
    Read More
  4. No Image

    삶으로 보여주시던 아버님; 고 오병세 박사에 대한 회상

    삶으로 보여주시던 아버님 - 고 오병세 박사에 대한 회상 정현기 원장 (고 오병세 박사 맏사위, 거제교회 장로, 세계로병원 원장) 고 한석 오병세 박사는 2016년 6월 8일 저녁 7시 55분에 하늘의 부르심을 받으셨다. 90의 장수를 누리시다가 노환으로 큰 고생...
    Date2016.06.14 By개혁정론 Views3810
    Read More
  5. 故 오병세 교수의 삶의 여정

    故 오병세 교수의 삶의 여정 이상규 교수 (고신대 신학과) 고 오병세 교수는 홍반식, 이근삼 교수와 더불어 1960년대 이후 고신 신학을 이끌어 온 신학자였다. 경북 봉화군 봉화읍 석평리에서 출생하신 오병세 교수(1926-2016)는 유가적(儒家的) 기풍과 군자...
    Date2016.06.11 By개혁정론 Views1455
    Read More
  6. 성령강림절, 어떻게 충만할 것인가?

    성령강림절, 어떻게 충만할 것인가?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성대한 부활 절기 이후의 날들, 이후의 주일들을 어떻게 지내는 것이 좋을까? 고대 교회는 부활주일 이후의 날들까지 부활의 기쁨을 확대하기를 원했다. 부활 이후의 50일간으로 확대했다. 우리...
    Date2016.05.13 By개혁정론 Views1821
    Read More
  7. [기고] 성령강림절 즉 오순절은 개혁주의 교회의 전통인가?

    성령강림절 즉 오순절은 개혁주의 교회의 전통인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개혁주의 교회는 모든 교회력을 폐지했는가? 아니다. 16세기 츠빙글리의 도시 취리히는 개혁 이후에도 최소한 6개의 주요 교회력을 지켰는데, 그것은 12월 25일 ...
    Date2016.05.08 By개혁정론 Views3540
    Read More
  8. [기고] 대교리문답과 통일

    *. 이 글은 “SFC동문영역포럼”(2016.4.1.대구명덕교회)에서 발표한 글로, 우병훈교수(고신대)의 “개혁파신조에서 읽어낸 공공신학”에 대한 논찬이었음을 밝힙니다. 대교리문답과 통일 김동춘 대표간사 (전국 SFC) 하나님 영광을 위한 이웃사랑의 실천과 통일 ...
    Date2016.04.15 By개혁정론 Views662
    Read More
  9. 신학과와 신대원의 6년 연계 교과과정 실천으로 신학교육의 비정상화를 속히 바로잡아야 한다

    이 글은 2016년 4월 9일(토)에 있었던 개혁신학회 학술대회에서 송영목 교수가 발표한 논문의 요약본입니다. 신학대학원과 신학대학의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해 신학교육을 바로잡아야 된다는 논지입니다. 교단의 신학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
    Date2016.04.14 By개혁정론 Views1349
    Read More
  10. 부활 주일을 기다리며, 기독교인들은 사순절을 지켜야 하는가?

    부활 주일을 기다리며, 기독교인들은 사순절을 지켜야 하는가? 우병훈 교수 (고신대 신학과) 들어가며 부활 주일이 다가왔다. 부활 주일 이전 40일을 많은 교회들의 교회력에서는 “사순절”(四旬節, 헬라어-“테사라코스테이”)이라고 하여 절기로서 지킨다. 그...
    Date2016.03.23 By개혁정론 Views7188
    Read More
  11. 네덜란드 캄펀신학교 방문기

    고려신학대학원 학생들이 네덜란드 캄펀신학교와의 양해각서에 의해 지난 2016년 2월에 네덜란드 캄펀신학교에 방문한 것을 기행문 형식으로 적은 글입니다. 네덜란드 캄펀신학교 방문기 임모세 (고려신학대학원 제70회 졸업생) 2014년 6월에 고려신학대학원...
    Date2016.03.02 By개혁정론 Views2187
    Read More
  12. [기고] 이단, 이슬람, 안티기독교 강사들을 보호하자!

    <CFI 목회칼럼> 이단, 이슬람, 안티기독교 강사들을 보호하자! 최병규 박사 CFI 원장 교회사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은 주의 사랑을 받은 성도들과 그들의 자녀들을 위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신실하게 선포하여 의의 길로 가게 하며 악한 영의 세력들로부터 보호...
    Date2015.12.23 By개혁정론 Views809
    Read More
  13. [기고] 금수저, 은수저, 교회 안에는 없는가?

    금수저, 은수저, 교회 안에는 없는가? 손재익 목사 (객원기자 / 한길교회) 2010년 8월 31일 외교통상부의 5급 사무관 특별채용에 1명이 최종합격했다. 그런데 그 1명이 다름 아닌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인 유명환 씨의 딸이었다. 누가 보더라도 오해를 받을 만...
    Date2015.12.03 By개혁정론 Views1995
    Read More
  14. [기고] 이혼과 재혼에 대한 몇 가지 입장과 그에 대한 분석

    이혼과 재혼에 대한 몇 가지 입장과 그에 대한 분석 - 절대 불가론의 입장에서 손재익 목사 (객원기자 / 한길교회 목사) 서론 성경이 가르치는 주제와 관련하여 그 어떤 주제라 하더라도 다양한 입장은 항상 존재한다. 똑같은 성경본문을 가지고 이야기하면서...
    Date2015.10.29 By개혁정론 Views4204
    Read More
  15. [기자의 눈] 제65회 고신총회 그 후

    [기자의 눈] 제65회 고신총회 그 후 손재익 객원기자 기자는 고신교회에 속한 목사로서 또한 동시에 개혁주의 신학을 사시(社是)로 하는 언론을 섬기는 기자로서 제65회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총회(2015년 9월 15일 ~ 17일)에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참석하는 ...
    Date2015.09.26 By개혁정론 Views1402
    Read More
  16. [기고] 개혁정론의 현 좌표와 제안

    개혁정론의 현 좌표와 제안 최재호 객원기자 인터넷언론 <개혁정론>은 어떤 언론인가. 아니 어떤 언론으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하는가. 그리고 그 방향에 대한 지향성과 노력은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지난 2014년 3월 시작된 <개혁정론>은...
    Date2015.08.27 By개혁정론 Views1144
    Read More
  17. [기고]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황대우 목사 고신대학교 교수 개혁주의학술원 책임연구원 ‘인문주의’(Humanismus. Humanism)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독일의 신학자요 철학자인 프리드리히 임마누엘 니탐머(Friedrich Immanuel Niethammer)가 고전 ...
    Date2015.08.01 By개혁정론 Views2659
    Read More
  18. [기고] 개혁파 장로교 신자의 바람직한 결혼 절차

    개혁파 장로교 신자의 바람직한 결혼 절차 -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과 장로교 헌법을 중심으로 - 손재익 목사 객원기자/ 한길교회 들어가면서 결혼은 인류 전체에 보편적인 것으로서, 나름대로의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세상 사람이나 ...
    Date2015.07.29 By개혁정론 Views9949
    Read More
  19. [기고] 고신 총회에 바란다

    고신 총회에 바란다 황원하 목사 산성교회 담임목사 고신총회 인재풀운영위원회 전문위원 (서기) 두 달 후면 총회가 열립니다. 지금쯤 많은 분들이 총회 준비를 하고 계실 것입니다. 저는 총회를 준비하시는 분들과 교단의 지도자들께 다음과 같이 제안 드립...
    Date2015.07.04 By개혁정론 Views1525
    Read More
  20. [기고] 행복해져야만 한다?

    행복해져야만 한다? 강승철장로(대청교회) 인터넷 검색 통합 사이트에 들어가 ‘행복 교회’라는 검색어를 치면 ‘행복한 교회’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사이트 200여개가 곧 바로 뜨고, ‘행복이 가득한 교회’를 비롯, ‘행복을 전하는 교회’라는 이름의 카페와 블로...
    Date2015.07.02 By개혁정론 Views13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