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기획기사

 

 

교회정치에 나타난 부목사의 지위에 대해

 

 

성희찬.jpg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한국 교회 안에서 부목사의 실태와 현실은 심각하고 열악하다. 그 지위와 처우가 그러할 뿐 아니라 진로와 미래마저도 불투명하며 암담하다. 그래서 부(副)목사는 목사가 아니라는 뜻에서 不(부)목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 글은 교회정치에서 부목사의 지위와 권한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조명하고자 한다.

 

   ‘부목사’ 명칭은 한국장로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언제 처음 사용되었을까? 조선예수교장로회 제4회 총회(1915년)가 구성한 교회정치작성위원회가 교회정치를 수정하여 제6회 총회(1917년)에 보고할 때 처음으로 언급된다. 수정 초안에는 목사의 명칭 중에 “12. 부목사”가 있었으나 이때 총회는 ‘부목사’ 명칭 사용을 한 해 미루도록 결정했다. 당시 총회는 부목사 제도 도입과 명칭 사용을 신중하게 다루었다.

   조선예수교장로회 1934년 헌법에도 목사 호칭에서 위임목사, 임시목사, 동사(同事)목사는 열거되나 부목사는 등장하지 않는다. 여기서 위임목사는 1개 지교회나 1구역(4개 지교회까지 가능하고 이 중 한 교회는 당회가 있는 조직교회가 되어야 한다)의 청빙으로 노회의 위임을 받아서 종신까지 시무하는 목사를 가리키고, 임시목사는 위임목사와 같이 청빙을 받으나 시무 기간이 1년에 불과한 목사를 가리킨다. 동사목사(同事牧師)는 “他 牧師와 協同視務하대 그 權利는 同一하니 順番으로 堂會長이 되고 一方이 辭免하면 특별 手續 없이 自然 專權으로 視務하나니라 단 同事委任 及 同事臨時牧師도 잇나니 그 視務는 一, 二 項을 準用할 것시니라” 하였다.

 

 

1. 동사목사 대신 등장하는 부목사

 

   그런데 제29회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1940년)에 다시 부목사 제도 청원이 상정되고 또 총회가 이 다시 결정을 유보하지만, 결국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7회 총회(1952년)에 가서 도입을 결정하여 각 노회에 수의 절차를 밟도록 했다. 이때 부목사는 “원목사를 보좌하고 임기는 임시 목사와 동일하다”라고 규정하였다.

   예장합동총회는 1955년 헌법부터 동사목사를 삭제하고 대신 부목사 호칭을 사용하는데 1964년 <교회정치>에서는 “부목사는 위임목사를 보좌하는 임시 목사니 당회의 결의로 청빙하되 계속 시무케 하려면 매년 당회장이 노회에 청원하여 승인을 받는다”고 수정하였다. 이렇게 해서 <부목사>는 동사목사가 삭제되면서 동사목사 대신 한국장로교회에 들어오게 되었다. 동사목사는 호칭이 나타내는 그대로 타 목사와 협동으로 시무하면서 권리가 동일하고 순번으로 당회장이 될 수 있었으며 한쪽이 사면하면 특별한 수속 없이 전권으로 시무할 수 있었다. 한국장로교회는 이 동사목사 대신에 담임목사를 보좌하는 임시목사인 부목사를 선택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회에서 동사목사들의 동역 가능성은 사라져버렸다.

 

   1952년에 독노회로 발회한 고신교회 역시 예장합동총회의 1955년 <교회정치>를 따라서 조선예수교장로회의 1934년 <교회정치>를 수정하여 1957년 <교회정치>에서부터 동사목사를 삭제하고 대신 부목사 제도를 도입하였다: “목사를 도우는 임시 목사인데 재임 중에는 당회원권이 있고 당회장 유고시에는 이를 대리할 수 있다”(제20조 목사의 칭호 제3항). 다만 예장합동총회와 다른 점이 있다면 고신교회는 부목사에게도 당회원권이 있고 당회장 유고 시에는 부목사가 당회장을 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고신교회 제55회 총회(2005년)는 부목사에게 당회원 자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00노회장 000 목사가 제출한 “부목사 당회원 자격에 대한 문의”는 교회 정치 제 11장 82조 “당회는 개체교회 시무목사와 장로로 조직한다”에 근거하여 당회원 자격이 있음을 확인 가결하다(55회/2005년)

 

   그런데 『한국장로교회 헌법 100년 변천의 개관』의 저자 예장합동총회 박병진 목사는 고신교회가 부목사에게 당회원권을 부여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투표를 받지 아니하며 지교회 교회들에게 치리에 복종할 서약도 없는 부목사에게 당회원권을 부여한다 함은 양심의 자유 원리에 어긋나는 규정으로 보인다. 당회장 유고 시에 대리권을 부여한다 함도 합당하게 여겨지지 아니한다. 당회의 청함에 의하지 아니하고 당회장을 대리한다니 당회권 침해라고 본다” (한국장로교회 헌법 100년 변천의 개관, 67)

 

   그러나 이는 목사의 동등이라는 성경의 원리와 장로회정치원리에서 볼 때 부당한 비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어쨌든 부목사는 해방 직후에 도입된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그 지위와 권한이 축소되었다. 적어도 법조문에서 볼 때 부목사 지위가 가장 열악한 곳은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로서 부목사는 담임목사 시 함께 사임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장교회는 1967년 <교회정치>에서 부목사 제도를 신설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위임목사를 보좌하는 목사인데 임기는 1년이며, 위임목사가 위탁할 때에는 당회장의 직무를 대행할 수도 있다.” 그러다가 1975년 <교회정치>에서는 부목사의 지위를 다음과 같이 축소시켰다: “담임목사를 보좌하는 목사다. 임기는 1년이며, 중임될 수 있고, 담임목사 사임 시 함께 사임한다.”

 

 

2. 축소되는 부목사의 지위와 권한

 

   현재 대표적인 한국의 장로교회 교단은 부목사의 지위와 권한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을까?

 

   예장 통합은 교회정치 제27조(목사의 칭호)에서 부목사에 대해 임기는 1년이며, 연임할 수 있고, 교회 사임 후 2년 이상 경과 후에 위임(담임) 목사로 시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부목사의 청빙은 당회의 결의와 제직회의 동의로 할 수 있도록 했고(28조), 연임은 당회의 결의로 가능하나 당회 회의록을 노회에 제출하도록 했다.

   이에 반해 예장 합동은 부목사 청빙은 부목사는 임시목사이므로 당회의 결의만으로 청빙하도록 했다. 또 부목사가 계속 시무하려면 매년 당회장이 노회에 청원하여 승낙을 받는다고 하고 있다(교회정치 4장 4조).

 

   부목사의 지위와 권한을 두고 우선 예장 통합과 예장 합동을 비교하면, 둘 다 기본적으로 부목사의 임기를 1년으로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예장 통합은 연임을 위해 매년 당회의 결의가 있도록 했고, 예장 합동은 부목사의 임기를 명시적으로 1년이라고 규정은 하고 있지 않으나, 연임할 경우 매년 당회장이 노회에 청원하여 승낙을 받도록 했다.

 

   예장 고신은 부목사의 임기에 관해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연임하기 위해 특별한 공식적 결의가 필요 없다. 그냥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계속 시무할 수 있다고 하였다(정치 44조). 다만 현직으로 시무하는 개체교회를 사임 후 2년 이내에는 담임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것도 다만 개체교회 담임목사가 은퇴할 때에는 은퇴하는 목사의 동의를 얻어 담임하는 목사로 청빙 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정치 45조). 나아가 예장 고신은 부목사의 권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부목사는 당회장 유고시, 당회의 결의로 그 교회 당회장 직무를 대리할 수 있다.” 이런 권한은 예장 통합과 예장 합동의 경우에는 부목사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예장 고신에도 동사목사 대신 도입된 부목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그 지위와 권한이 제한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예장 고신 총회가 부목사와 관련하여 결정한 사항을 보면 부목사는 위임목사와 전임(임시)목사처럼 노회 회원권을 동등하게 누리면서도 시찰위원으로는 피선되지 못하도록 하였고, 심지어 현직으로 시무하는 개체교회를 담임할 수 없도록 하였다:

 

부목사도 시찰부원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목사는 시찰위원이 될 수 없는 일임”을 확인하다(56회/2006년)

 

   헌법규칙 제3장 7조 “부목사는 현직으로 시무하는 개체교회를 담임할 수 없다. 단 개체교회 담임목사가 은퇴할 때는 은퇴하는 목사의 동의를 얻어 청빙 받을 수 있다”가 부목사외에 강도사 전도사도 해당되는 지에 대한 질의는 헌법 정신상 부교역자는 다 포함이 되는 것으로 하다(54회/2004년).

 

3. 평가

 

   동사목사 대신 우리에게 들어온 부목사 제도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직분 간의 동등, 목사 간의 동등이라는 장로회 정치원리에서 부목사 제도는 분명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권세 아래에 있어야 할 교회에 부당한 교권이 침투하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이로써 회중을 향한 그리스도의 치리, 은혜의 방편이나 성도의 교제가 왜곡되거나 약화 되며 섬김이 아니라 군림하는 지도력이 교회에 나타날 수 있다.

 

  • ?
    이행연 2025.01.26 06:50
    목사님의 글을 읽고 성숙한 한국교회를 소망해봅니다. 감사합니다. 부목사들이 아무리 바른 의견을 가졌어도 노회원으로서 발언하기가 부담스러운 현실을 생각하면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이 멀어보입니다.

  1. notice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6) - 시벌과 해벌은 정치의 영역 같은데 왜 예배에 포함되나요?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26 By개혁정론 Views15
    read more
  2. notice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5)] 예배를 왜 교회법에 따라 드려야 하나요?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22 By개혁정론 Views60
    read more
  3. notice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4)] 교회법에 신앙고백서가 왜 포함되나요?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21 By개혁정론 Views41
    read more
  4.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3)] 교회정치 8대 원리를 아시나요?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12 By개혁정론 Views132
    Read More
  5.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2)] 교회법은 성경적입니까?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07 By개혁정론 Views100
    Read More
  6.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 (1)] 헌법은 싸울 때 보는 책이 아닙니다.

    개혁정론이 새롭게 시작하는 기획기사 ‘김 집사가 알아야 할 교회법’은 교회법의 전반적 내용을 쉽게 해설하는 시리즈입니다. 기독교보와 함께 진행하는 시리즈로서 여기에 싣는 것은 기독교보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글 내용은 기독교보에 실린 ...
    Date2025.03.05 By개혁정론 Views177
    Read More
  7. [교회법에 대해 알아야 할 7가지] 교회정치에 나타난 부목사의 지위에 대해

    교회정치에 나타난 부목사의 지위에 대해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한국 교회 안에서 부목사의 실태와 현실은 심각하고 열악하다. 그 지위와 처우가 그러할 뿐 아니라 진로와 미래마저도 불투명하며 암담하다. 그래서 부(副)목사는 목사가 아니라는 뜻에서 ...
    Date2025.01.22 By개혁정론 Views643
    Read More
  8. [교회법에 대해 알아야 할 7가지] 제네바교회 교회법령(1541년/1561년)에 대해

    <제네바교회 교회법령>(1541년/1561년)에 대해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교회 역사가 필립 샤프(Philip Schaff, 1819-1893)는 교회법령은 칼빈이 제네바에서 추방당한 원인이요 스트라스부르에서 그가 봉사한 프랑스 이민 교회가 번성한 이유요 그가 다시 제...
    Date2025.01.13 By개혁정론 Views278
    Read More
  9.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4] 교회학교 현장이 바뀌고 있다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9.07 By개혁정론 Views515
    Read More
  10.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3] 개체교회 시찰 매뉴얼 작성 청원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9.04 By개혁정론 Views453
    Read More
  11.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2] 미혼 강도사의 목사 임직 기준 지침 청원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8.27 By개혁정론 Views632
    Read More
  12.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1] 정동수 목사(인천사랑침례교회) 신학 검증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8.23 By개혁정론 Views3822
    Read More
  13.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6] 나는 언제쯤 담임 목사가 될 수 있을까?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23 By개혁정론 Views1823
    Read More
  14.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5] 담임목사와 함께 교회 세우기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19 By개혁정론 Views699
    Read More
  15.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4] 지금 분립개척을 준비해 보면 어떨까?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13 By개혁정론 Views395
    Read More
  16.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3] 우리는 ‘4무’ 교회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09 By개혁정론 Views386
    Read More
  17.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2] 건물과 장소에 관하여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02 By개혁정론 Views319
    Read More
  18.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1] 교회의 잉태와 출생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6.25 By개혁정론 Views507
    Read More
  19.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6] 은혜의 방편: 성찬 제대로 누리기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6.08 By개혁정론 Views478
    Read More
  20.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5] 성도생활지침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5.25 By개혁정론 Views5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기획기사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