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고신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개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 한국교회’

 

 

 

 

 

 

     2016년 10월 31일 월요일 2시에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주최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 한국교회’라는 주제를 가지로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주 강사는 김병훈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와 이성호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였다. 논평은 우병훈 박사(고신대학교, 교의학 교수)와 황대우 박사(진주북부교회)가 맡았다.

     2시에 먼저 예배가 진행되었다. 부산동교회 담임인 현광철 목사의 기도로 시작하여 대구명덕교회 장희종 목사가 “당신의 말이 진리로 인정되기 위하여” (왕상 17:1, 24)라는 주제로 말씀을 전하고, 축도 후 조성국 교목실장(고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교수)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어서 “16,17세기 개혁신학의 교회관: 참 교회와 순수 교회”라는 주제로 김병훈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의 강의가 시작되었다. “교회란 무엇이며, 참 교회의 표지란 무엇일까?”라는 화두를 던지며,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본 로마 가톨릭 교회가 진정 참된 교회로 보았는지, 아니면 거짓교회로 보았다면 어떤 기준에 따라 진정한 교회로 보지 않았는지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였다. 『신앙설명서』(Fidei Ratio, 1530), 『4개 도시 신앙고백서』(the Tetrapolitan Confession, 1530), 제1,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1566), 『기독교 강요』 등 공히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성령의 역사하시는 믿음을 가진 성도인지는 눈으로 볼 수 없고 판단자는 오직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보이는 교회를 떠나서 보이지 않는 교회로 도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칼빈은 보이는 교회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보이지 않는 교회의 회원은 결국 보이는 교회를 통하여 태어나고 양육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한 칼빈의 견해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도 발견이 된다.

     보이지 않는 교회는 하나님만이 볼 수 있지만, 그렇다면 보이는 교회는 무엇으로 보아 그것이 교회인줄 알 수 있을까? 제1스위스 신앙고백서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외적인 징표, 하나님의 말씀, 권징 세가지의 표지를 제시하고, 칼빈은 말씀과 성례 두가지를, 프랑스 신앙고백서와 제1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는 말씀, 성례, 권징 세가지를 제시했다. 나아가 제1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와 벨직 신앙고백서는 참교회의 표지를 명확히 제시하면서 표지들에 일치하지 않는 교회는 거짓교회임을 천명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보이는 교회가 말씀의 사역과 성례의 시행, 권징의 사역을 통해 바르게 세워진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다.

     그런데 칼빈은 참 교회의 지표들을 지극히 존중해야 할 것을 말하면서, 참교회라 할지라도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면서 그 오류가 치명적이라면 더 이상 참 교회로 용납할 수 없음을 말한다. 도덕적 과실이나 병폐, 사소한 교리적 오류 등은 참 교회임을 부인할만 것들이 아니지만, 핵심적 교리를 부정한다면 치명상을 입히는 것과 같아서 교회를 죽이는 것이 된다. 하나님의 말씀보다 교회자체의 규정을 더 높이거나, 성례를 고유 목적과 어긋나게 사용하거나, 구원을 그리스도의 은혜와 공로에 두지 않거나, 참 교회를 박해하는 등의 경우는 거짓교회인 것이다. 그러나 불링거는 제2스위스 신앙고백서에서 좀 더 신중한 표현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본의 아니게…, 혹은 연약하기 때문에…, 때로는 믿음에서 떨어질지라도 교회 밖에 있는 자들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로마 가톨릭 교회는 참 교회인가, 거짓 교회인가? 칼빈은 로마 가톨릭 교회가 마치 유대인들이 우상숭배하여 교회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였던 르호보암, 여로보암 시대와 유사하다면서 물론 견딜만한 수준이 아니지만, 합법적인 교회 형태는 아니지만, 비참하게 흩어지고 찢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보존하시고, 남겨두신 교회의 흔적 때문에 그것을 교회라고 부른다. 그래서 김병훈 박사는 가톨릭 교회가 여로보암 시대의 이스라엘보다 나을 것이 없지만, 거짓 교회로 치부하기보다, 지극히 불순한 교회로 일컫는 것이 16, 17세기 개혁파 신앙고백서들의 의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오늘의 해석이라고 판단하였다.

 

 

김병훈박사.JPG

 

 

▲ 김병훈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이어서 이성호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가 ‘가시적 성도(Visible Saints)와 교회언약(Church Covenant): 회중교회의 두 기둥 – 존 오웬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오늘날의 회중교회와는 달리 회중교회파와 장로교회파들이 본격적으로 생기게 된 17세기 영국에서는 회중교회가 개혁파 신학에 충실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신학자가 존 오웬이었다. 장로교회는 주교제와 같은 1인에 의한 교회 정치가 아닌 ‘장로회’(개체교회는 ‘당회’, 지역교회는 ‘노회’, 전국교회는 ‘총회’; 이 회들 사이에는 위계적 관계가 존재한다.) 의한 교회정치를 추구하였는데 회중교회는 더 나아가 어떤 위계적 교회정치를 거부하고 개체교회만이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교회로 보고 그 위의 권위를 거부한 것이다. 그렇다고 회중교회가 회중에 의해 다스려지는 것이 아니라 장로들의 모임에 의해 다스려지므로, 회중교회를 ‘독립적 장로교회’, 장로교회를 ‘의존적 장로교회’라 부르기도 했다. 회중교회의 발생 배경은 바로 ‘국가 교회’였는데, 세속군주의 관심은 교회의 순수성보다는 국가와 교회의 안정과 평화였으므로 교회의 거룩성이 손상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재세례파는 교회의 거룩을 위해 유아세례를 폐지하여 시민과 교인을 구분하고자 했던 반면 존 오웬은 유아세례의 근거가 되는 언약신학을 끌어안으면서 교회를 바르게 정립하고자 했다.

     신약 성경에 교회를 집으로 비유하듯이, 집은 튼튼한 벽돌이 서로 굳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오웬은 교회가 부실한 이유중 하나는 교회의 회원들 중에 죽은 돌이 구석구석 끼여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세례뿐만 아니라 성령을 통해 중생한 자가 교회의 회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문제는 중생을 했는지 어떻게 판단하는가였다. 이는 오직 하나님만 아신다는 것을 누구나 인정하였지만, 그렇다고 입술로 고백만 하면 회원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었다. 회중교회주의자들은 ‘사랑의 판단(judgement of charity)’으로 어떤 사람이 자신의 죄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고백할 뿐 아니라 삶에서 선한 열매를 맺고 중생을 명백히 부정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그를 중생한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중생한 사람들이 모이기만 해서 교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굳게 연합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 돌들 사이의 연합을 오웬은 ‘교회언약(church covenant)’이라 부른다. 이 결합의 특성은 ‘자발적 헌신’을 통해 성립되는 것이다. 이 자발성이 빠진다면 이는 언약이 아니라 강요가 되고, 진정한 충성심이 생길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회중주의교회는 아래에서부터, 즉 목사가 아닌 신자 회원들의 언약에 근거하여 세워진다. 또한 개체교회를 최우선하고, 이를 넘어서는 제도적 교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웬이 이렇게 이해한 이유는 개체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직접적으로 통치를 받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존오웬의 교회관은 오늘 한국교회에 큰 시사점을 주는데, 오늘 한국교회에는 등록카드만 작성해도 교인이 될 수 있을 만큼 명목상의 교인이 너무 많다. 교인들을 끌어 모으는 데에만 관심을 가지뿐 각 신자들이 실제로 산돌이 되게 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

 

 

 

이성호박사.JPG

 

▲ 이성호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이성호 박사는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중생은 오직 복음을 들음으로 가능하므로 목사는 순수한 복음을 전하는데 전심전력해야 한다. 또한 장로교회의 경우 입교를 위한 교리 교육을 강화하고 이명증서를 확실하게 실천하며, 회원 가입시 간단한 서약을 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단체.JPG

 

 

▲ 참석자 단체사진

 

 

경청1.JPG

 

 

▲ 경청하는 회중들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고신신학 70년, 회고와 전망

    고신신학 70년, 회고와 전망​ 고신대학교(총장 전광식)는 지난 11월 7일(월) 개교 70주년 기념으로 기독교사상연구소(소장 송영목 교수) 주관으로, ‘고신신학 70년, 회고와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강영안 고려학원이사장과 전광식 총장의 축사...
    Date2016.11.10 Views356
    Read More
  2.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개최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개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 한국교회’ 2016년 10월 31일 월요일 2시에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주최로 ‘16-17세기 개혁교회와 오늘 한국교회’라는 주제를 가지로...
    Date2016.11.02 Views447
    Read More
  3. 고신신학 70년, 회고와 전망 세미나

    고신신학 70년, 회고와 전망 세미나 선착순 150명에게 '고신신학 18호'를 무료로 배부할 예정입니다(회비 없음)
    Date2016.10.21 Views192
    Read More
  4. 개혁주의 학술원 주최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개혁주의 학술원 주최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 고신대학교(총장 전광식) 개혁주의학술원(원장 이신열 교수) 주최로 ‘제11회 종교개혁기념학술세미나’가 오는 10월 31일(월) 오후 2시 고신대학교 은혜관 한상동기념홀에서 개최된다. &lsquo...
    Date2016.10.13 Views354
    Read More
  5. No Image

    [속보] 제66회기 노회임원 현황

    제66회기 노회임원 현황 이번 노회를 통해 선출된 임원 현황을 본사가 입수해 아래와 같이 게재한다. 아직 확보되지 않은 노회에 대해서는 확보 되는대로 올릴 예정이다. * 노회장, 목사부노회장, 서기, 부서기, 회록서기, 부회록서기는 목사 * 장로부노회장,...
    Date2016.10.11 Views3651
    Read More
  6. “성경연구” 창간호 발행

    “성경연구” 창간호 발행 - 일선 목회자에게 유익이 될 것으로 기대돼 손재익 객원기자 제65회 총회를 통해 세워진 ‘총회성경연구소’(소장 장희종 목사)가 저널 『성경 연구』 창간호를 발간했다. 『성경 연구』는 바쁜 목회 가운데 ...
    Date2016.10.11 Views1682
    Read More
  7. 가을노회 일제히 개최

    가을노회 일제히 개최 손재익 객원기자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총회 산하 40개 노회의 정기노회가 일제히 개최되었다. 장로교 정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노회는 4월과 10월에 각각 개최된다. 10월 노회의 경우 한 해 동안 섬길 임원을 선출하는 노회다....
    Date2016.10.11 Views454
    Read More
  8. 제7회 종교개혁 신앙강좌, “개혁주의 선교” 주제로 열려

    제7회 종교개혁 신앙강좌, “개혁주의 선교” 주제로 열려 - 김성운 교수, “개혁신학에 따른 선교 원리와 실천” 주제로 강연 - 개혁신앙을 추구하는 작은 교회들, 함께 모여 교제의 시간 가져 설요한 형제 (광교장로교회) 지난 10월 2...
    Date2016.10.10 Views2301
    Read More
  9. 고신대학교 개교 70주년 행사 치르다

    고신대학교 개교 70주년 행사 치르다 고신대학교(총장 전광식)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9월 26일(월)부터 29일(목)까지 기념식을 비롯해 중국 남경예술대, 페로스합창단, BewhY 공연, 총학생회 축제, 웨일즈 유니온신학교 등 해외명사 초청강연의 다양한 기념행...
    Date2016.10.04 Views717
    Read More
  10. [총회 소식 13] 기타 중요 결의 사항

    [총회 소식 13] 기타 중요 결의 사항 손재익 객원기자 1. 총회장, 부총회장의 입후보 소견 발표회 폐지 그동안은 선거관리위원회의 주관하에 총회장, 부총회장 후보자들을 소개하는 정견 발표 시간이 있었다. 그러나 세상 정치와 다른 장로교 정치원리에 맞지...
    Date2016.09.27 Views1049
    Read More
  11. [총회 소식 12] 총회장단 기자회견

    [총회 소식 12] 총회장단 기자회견 손재익 객원기자 첫째 날 제66회 총회 임원으로 선출된 총회장, 부총회장(목사, 장로)의 교계신문 기자회견이 9월 20일(첫째 날, 화요일) 저녁 10시에 고려신학대학원 행정동 2층에서 있었다. 개혁정론, 국민일보, 한국기독...
    Date2016.09.26 Views620
    Read More
  12. [총회 소식 11] 노회 개편 가능성이 보이다

    [총회 소식 11] 노회 개편 가능성이 보이다 손재익 객원기자 장로교회의 노회명칭은 지역명칭을 근거로 한다. 이는 신약성경에서 ‘고린도에 있는 교회(들)’, ‘에베소에 있는 교회(들)’ 등과 같이 지역의 이름으로 교회(노회) 명칭을 ...
    Date2016.09.22 Views965
    Read More
  13. [총회 소식 10] 인터콥 참여 금지

    [총회 소식 10] 인터콥 참여 금지 손재익 객원기자 지난 제65회 총회에서 신대원 교수회에 맡겨 연구케 한 인터콥 문제는 셋째 날(22일 목) 저녁 본회에서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1) 인터콥 선교단체를 불건전 단체로 규정하며, 2) 인터콥의 신학사상에 대...
    Date2016.09.22 Views2800
    Read More
  14. [총회 소식 9] SFC에 대한 조사위원회 구성

    [총회 소식 9] SFC에 대한 조사위원회 구성 손재익 객원기자 7개 노회가 발의하였고, 총회가 시작되기도 전에 언론을 통해 논란이 있었던 SFC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는 SFC 지도위원회가 임원회와 함께 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본회에 ...
    Date2016.09.22 Views724
    Read More
  15. [총회 소식 8] 교회 침체기, 조속한 대처하기로

    [총회 소식 8] 교회 침체기, 조속한 대처하기로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총회에 소속된 개체교회들은 매년 2월 둘째 주일을 기준으로 교회의 상황을 노회에 보고한다. 각 노회에서 취합한 통계는 총회를 통해 보고된다. 이번 제66회 총회에 보고된 통계 결과는 ...
    Date2016.09.22 Views456
    Read More
  16. [총회 소식 7] 노회장 자격은 현행대로

    [총회 소식 7] 노회장 자격은 현행대로 손재익 객원기자 2011년 헌법 개정 이후 매년 상정된 안건인 노회장 자격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하는 것이 상당수 총대의 의견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헌법 교회정치 제11장 제130조 5항은 “노회장은 조직교...
    Date2016.09.22 Views574
    Read More
  17. [총회 소식 6] 총회 둘째 날 이모저모

    [총회 소식 6] 총회 둘째 날 이모저모 손재익 객원기자 총회는 고신교회의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다. 각 노회와 위원회에서 상정된 안건을 처리할 뿐 아니라 총회와 관련된 각종 크고 작은 행사들이 중간 중간 진행되고 있다. 총회 둘째 날(21일)에는 소망...
    Date2016.09.22 Views1419
    Read More
  18. [총회 소식 5] 은퇴목사의 투표권 제한 논란

    [총회 소식 5] 은퇴목사의 투표권 제한 논란 손재익 객원기자 은퇴목사의 투표권 제한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제시되었다. 결과는 부결이지만 앞으로도 이 문제는 계속 논란이 될 전망이다. 수도노회와 미래정책연구위원회가 발의한 이번 안건은 헌법 교회정치...
    Date2016.09.22 Views887
    Read More
  19. No Image

    [총회 소식 4] 직분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하기로- 권도사(勸道師) 제도에 대해서

    [총회 소식 4] 직분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하기로 - 권도사(勸道師) 제도에 대해서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총회는 직분에 대한 결정을 함에 있어서 신중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첫째 날 저녁 ‘유안건 보고’를 통해 다뤄진 ‘권도사 제도...
    Date2016.09.21 Views1044
    Read More
  20. [총회 소식 3] 교계 기관장, 자매교단 사절단 인사

    [총회 소식 3] 교계 기관장, 자매교단 사절단 인사 손재익 객원기자 교계기관인 한국군선교위원회, 한국장로교총연합회, 대한성서공회, CTS의 대표와 고신총회와 자매 관계에 있는 대만개혁종장로회, 호주 자유개혁교회(The Free Reformed Churches of Austra...
    Date2016.09.21 Views14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7 Next
/ 37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