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조회 수 328 추천 수 0 댓글 0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7c3fb6583f3c1ad1b42b1da4089f193a.jpg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며칠 전 동기 목사의 장례가 있었다. 성탄절을 하루 앞둔 주일 저녁에 단톡방에 난데없이 부고가 올라왔다. 도무지 믿기지 않았다. 아니 믿을 수가 없었다. 아프다는 이야기는 몇 개월 전에 들었지만 그렇게 심각하게 아픈 것은 아니니 괜히 걱정하지 말라며 병문안도 한사코 거절했었기 때문이다.

   장례식을 마친 후 동기 목사가 목회한 교회의 장로에게서 전해 들은 이야기로는 동기들이나 교인들에게도 걱정을 끼치지 않기 위해 알리지 않았다고 했다. 또 실제로 병세가 일시적이었지만 호전되기도 했던 이유도 있었다. 그러다가 1개월을 남겨놓고 갑자기 병세가 악화하여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게 되고 이때부터는 장로들에게는 시한부 선고를 받았음을 알리고 가족들과 함께 소망 중에 죽음을 잘 준비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무엇보다 믿음과 소망 중에 평안하게 임종했다는 이야기를 듣고서야 마음이 놓였고 주님을 향해 감사가 나왔다.

 

   이 일을 계기로 죽음을 어떻게 맞고 준비하는 것이 좋을지를 생각해 보았다. 교회와 교인들을 걱정시키지 않기 위해 심각하게 아프고 시한부 선고를 받았음에도 알리지 않는 것만이 과연 최선일까도 생각해 보았다.

   그러다가 네덜란드에서 잠시 있을 때 같은 아파트에 살고 같은 교회에 출석하며 잘 알고 지낸 더 헬더 부인의 죽음이 떠올랐다. 더 헬더 부인은 독신으로 지내다가 84세의 일기로 폐암 말기 선고를 받고 2022년 9월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2022년 6월 18일 네덜란드에 있는 아들에게서 연락이 왔다. 자식이 없는 더 헬더 부인은 외국에 있는 나의 아들을 자기 조카처럼 생각하고 항상 잘 챙겨 주었다. 아들의 말인즉 더 헬더 부인이 전화해서 두 주 전에 폐암 선고를 받았으며 열흘 후에 좀 더 자세한 결과가 나온다고 했다는 것이다.

   깜짝 놀란 나는 새로운 소식이 있는지를 계속 알아봐달라고 아들에게 부탁했다. 며칠 후에 아들에게서 다시 연락이 왔다. 폐암 말기에다 간이랑 다른 곳에도 이미 전이가 상당히 되었다는 소식이었다. 항암치료를 해도 1년, 안 하면 6개월을 살 수 있지만, 부인은 항암치료를 안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말을 전해주었다.

   가슴이 아팠다. 네덜란드에 있을 때 신세 진 것이 너무 많았음에도 병 문안갈 수 없는 형편이 너무 안타까웠다. 더구나 코로나가 아직 가시지 않은 상태였다. 그래서 대신해서 아들에게 병문안을 자주 가도록 부탁했다.

   그런데 몇 차례 병문안 갔다 온 아들이 내게 전해주는 소식은 놀라웠다. 자신이 처한 지금 형편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죽음을 하나씩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자기 조카 한 사람에게 부탁해서 그렇게 넉넉하지 않은 재산이지만 교회와 여러 구호 단체 등 여러 곳에 나누어서 처리한다고 했다. 심지어 죽고 나면 에어프라이어를 같은 아파트 1층에 혼자 사는 청년을 위해 줄 것이라는 말을 전해주었다. 에어프라이어까지.....

   어느 날 아들이 전해준 소식은 더 놀라웠다. 죽은 후에 장례식 집례를 자기에게 부탁했다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좋으냐고 내게 조언을 구했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물었더니, 지금 당장은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가족처럼 가깝게 지낸 사이라 장례 집례를 제대로 차분하게 할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나는 잘 생각해서 판단하라고만 했다(결국에는 아들이 장례를 집례하기로 약속했고 실제로 장례를 집례했다).

   또 어느 날 아들은 나에게 숙모(아들은 숙모라고 불렀다)가 나에게 무엇을 준 지 아세요 라고 물었다. 그래 뭘 줬는데? 부인은 병문안 온 아들에게 자신이 앨범에 추억으로 간직한 우리 가족과 함께 찍은 모든 사진을 모아서 주었고, 심지어 우리 가족이 한국에 다녀와서 부인에게 몇 차례 선물을 준 적이 있었는데 그때 그 작은 선물을 다시 되돌려주었다고 했다. 그리고 가끔 우리 가족이 부인 집에서 함께 재밌게 갖고 놀았던 카드와 게임 도구 몇 개를 주었다는 것이다. 자신과 우리 가족 사이에 있었던 추억을 생각나게 하는데 이만큼 좋은 것은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아들에게 주었는지 모르겠다.

   어느 순간 나도 더 헬더 부인에게 문안 인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국제전화를 걸었다. 2022년 7월로 기억한다. 수화기에 들려오는 목소리는 약간 목이 쉬었을 뿐 평소와 다를 바 없었다. 씩씩했다. 어떻게 지내느냐고 물었더니 갈수록 힘이 떨어져서 가능하면 침대에 누워서 지내고 있고, 현재 언니가 와서 자기를 돌보고 있다고 했다. 마지막 인사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나는 어쨌든 마음을 강하게 하라고 했다. 언어의 한계로 내 마음에 있는 감정을 세심하게 전달하기가 어려웠지만 이 말 외에 다른 말을 하는 것이 왠지 사치스러웠다. 그렇다고 언젠가 다음에 보자고 말하거나 천국에서 만나보자고 말하는 것은 너무 경우도 없고 예의가 없어 보였다.

   의학적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생명이지만 새벽마다 한편으로 하나님께서 기적을 베푸시도록 부인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다. 그러던 중 2022년 9월 8일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소식을 들었다.

   장례는 7일 후에 있었는데 캐나다에 있는 조카가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을 배려한 조치였다. 장례 주례를 맡은 아들이 장례식에 초대하는 카드를 SNS로 보내주었다. 맨 위에 시편 121편과 함께 “우리의 사랑하는 동생 시누이 숙모가 믿음으로 돌아가셨습니다”는 문구가 눈에 확 들어왔다. 시편 121편 2절 “나의 도움은 천지를 지으신 여호와에게서로다” 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예배가 시작할 때 목사의 입을 통해 선포되거나 혹은 온 교인이 함께 찬송하는 구절이다.

   장례식이 마친 후 며칠이나 지났을까. 대한민국 창원 내가 사는 집에 네덜란드에서 보낸 카드 한 장이 왔다. 뭘까 궁금하며 겉장을 뜯어보니 부인의 가족들(가족이라 하지만 모두 조카들)이 보낸 부고장이었다. 아들을 통해 SNS로 이미 전달받아 확인한 그 부고장이었다. 부인이 임종 직전에 외국에 있는 나를 기억하고 여기 있는 나에게까지 부고장 보낼 것을 다 준비하였구나고 생각하니 눈물이 핑 돌았다.

 

나는 죽음을 어떻게 맞고 준비할 수 있을까.

 

 

 

 


  1.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2024년 10월 29일(화)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고재수 교수 기념 신학강좌가 있었다. 그날 발표된 글을 차례로 게재한다. - 편집자 주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권수경 목사 (일원동교회 담임) 도입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라는 제목을 받았습니다...
    Date2024.12.03 By개혁정론 Views117
    Read More
  2.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아갈 방향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아갈 방향 최승락 (고려신학대학원 원장, 신약학 교수) I. 들어가는 말 신학교 2학년 올라가던 어느 겨울날 고재수(N.H. Gootjes) 교수님으로부터 뜻밖의 초청을 받았습니다. “미스터 최, 저녁 7시에 우리 집에 차 한 ...
    Date2024.11.28 By개혁정론 Views156
    Read More
  3.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2024년 10월 29일(화)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고재수 교수 기념 신학강좌가 있었다. 그날 발표된 글을 차례로 게재한다. - 편집자 주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유해무 (고려신학대학원 은퇴교수) 고신 교회는 고려신학교의 정당성을 지지하는 교회로 출발하였다...
    Date2024.11.28 By개혁정론 Views112
    Read More
  4.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학대학원 사역

    2024년 10월 29일(화)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고재수 교수 기념 신학강좌가 있었다. 그날 발표된 글을 차례로 게재한다. - 편집자 주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학대학원 사역 박도호 교수 J. M. (Kim) Batteau 존경하는 교수님, 직원분들, 학생들, 졸업...
    Date2024.11.15 By개혁정론 Views196
    Read More
  5.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2024년 10월 29일(화)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고재수 교수 기념 신학강좌가 있었다. 그날 발표된 글을 차례로 게재한다. - 편집자 주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서희 사모 제가 남편의 한국 생활과 사역에 대해 말하기 앞서, 남편이 직접 한 말을 인용하...
    Date2024.11.13 By개혁정론 Views268
    Read More
  6. 고재수 교수의 생애

    2024년 10월 29일(화)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고재수 교수 기념 신학강좌가 있었다. 그날 발표된 글을 차례로 게재한다. - 편집자 주 고재수 교수의 생애 고서희 사모 먼저, 오늘 남편의 삶과 사역에 대한 강연회를 가능하게 해주신 준비위원회에 감사드립니다. ...
    Date2024.11.10 By개혁정론 Views376
    Read More
  7.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고신총회가 올해 종교개혁기념주일에 광화문 일대에서 열리는 ‘10. 27 악법저지를 위한 200만 연합예배 찬양 & 큰 기도회’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건강한 가정, 거룩한 나...
    Date2024.10.26 By개혁정론 Views577
    Read More
  8.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생각해 볼 여러 주제 (2)

    10월 27일(주일) 오후 2시에 열릴 1027 연합예배 및 찬양 &큰 기도회와 관련하여 개혁정론에서 이미 게재한 손재익 목사의 글 2번째를 아래와 같이 싣는다. 찬성과 반대 또는 고민 중인 모두가 정독하여 좋은 결론에 이르기를 바란다. 한 번에 읽기를 원...
    Date2024.10.21 By개혁정론 Views1882
    Read More
  9.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수 있습니다. 벧엘 캐나다 개혁교회 박광영 목사 캐나다에서의 동성애 관련 설교 저는 이곳 캐나다 개혁교회에서 동성애에 관한 성경적 진리를 강단에서 그대로 설교해도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성경적 진리를 고수...
    Date2024.10.19 By개혁정론 Views4807
    Read More
  10.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생각해 볼 여러 주제 (1)

    한국교회 상당수가 참여하는 집회가 2024년 10월 27일(주일) 오후 2시 광화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로 인한 논란이 거세다. 개혁정론은 이미 2차례에 걸쳐 이 집회에 대한 염려를 다뤘는데, 이번에 좀 더 상세하게 다룬 손재익 목사의 글을 게재한다. 찬성과...
    Date2024.10.18 By개혁정론 Views12729
    Read More
  11. 무목교회의 공포가 다가온다

    무목교회의 공포가 다가온다 정찬도 목사 (주나움교회 담임목사) 무목(無牧)교회란 목사(牧)가 없는(無) 교회를 의미한다. 해외 교회들은 오래전부터 목회자 부족 현상과 더불어 목회자 은퇴 이후 성도들만 남겨진 교회들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다. 고령화 시...
    Date2024.10.08 By개혁정론 Views753
    Read More
  12. 74회 고신총회의 10월 27일 200만 연합예배 참여 결정에 대해 정중하게 드리는 어리석은 질문

    제74회 고신총회의 10월 27일 200만 연합예배 참여 결정에 대해 정중하게 드리는 어리석은 질문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제74회 고신총회는 총회 이튿날인 9월 11일(수)에 고신교단이 속한 한국교회총연합에서 요청한 한국교회 2백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
    Date2024.09.28 By개혁정론 Views8093
    Read More
  13. 제74회 고신총회를 결산한다

    제74회 고신총회를 결산한다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제74회 고신총회가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2일(목)까지 고려신학대학원(천안)에서 열렸다. 이번 회기 주제는 ‘선교, 일상으로 보냄 받은 교회’(요 20:21)다. 그동안 고신교회가 해외선교...
    Date2024.09.20 By개혁정론 Views703
    Read More
  14. 직분자 임직식에서 성도의 역할

    직분자 임직식에서 성도의 역할 임모세 목사 (남울산장로교회) 1. 예식에의 참여 교회는 예식을 행합니다. 가장 중요한 예식은 예배 그리고 예수님께서 직접 제정하신 예식인 성례입니다. 성례는 두 가지인데 세례와 성찬입니다. 그리고 성례는 아니지만 중요...
    Date2024.02.03 By개혁정론 Views1187
    Read More
  15.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며칠 전 동기 목사의 장례가 있었다. 성탄절을 하루 앞둔 주일 저녁에 단톡방에 난데없이 부고가 올라왔다. 도무지 믿기지 않았다. 아니 믿을 수가 없었다. 아프다는 이야기는 몇 개월 전에 ...
    Date2024.01.30 By개혁정론 Views328
    Read More
  16. 제73회 총회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제73회 총회(2023년 9월 19-21일)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고신 교회 제73총회가 얼마 전에 있었다. 총회는 장로교회에서 1년마다 열리는 최고 치리회(治理會)다. 개체교회의 당회, 지역 단위의 노회와 함께 그리스도의 치리를 대신하...
    Date2023.10.12 By개혁정론 Views453
    Read More
  17.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없는가?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없는가?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담임) 이번 주간에 정기노회가 열렸다. 그런데 여러 노회에서 시찰위원 선정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시찰위원 선정을 할 때 이번에 공포된 개정헌법이 이전과 다른 기준을 제시하기 때문...
    Date2023.10.11 By개혁정론 Views701
    Read More
  18.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 우리가 왜 그를 기억하며 그리워하는가?

    본 글은 월간고신 생명나무 2023년 10월호에 기고한 것을 허락을 얻어 게재함을 밝힌다. - 편집자 주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1948-2023) - 우리가 왜 그를 기억하며 그리워하는가? -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담임) 고신교회의 신학교인 고려신학대학원(고려...
    Date2023.10.06 By개혁정론 Views556
    Read More
  19. 왜 고재수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로 왔나?

    왜 고재수(N. H. Gootjes)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로 왔나?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 들어가며 2023년 8월 20일 고재수는 향년 75세로 캐나다에서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어떤 사람은 그의 이름을 보고 한국 사람으로 알지만, 네덜란드인이...
    Date2023.10.06 By개혁정론 Views806
    Read More
  20.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담임) 고신교회 제73회 총회가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롬 12:11)는 표제하에 2023년 9월 19일(화)부터 21일(목)까지 열렸다. 코로나 이후 지난 3년 동안 온라인이나 여러 장소에서 회집하...
    Date2023.09.26 By개혁정론 Views6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