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유광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개혁정론 자문위원
고려신학대학원(이하 ‘신대원’)의 교수가 새로 청빙되든가 신대원장이 새로이 선출되는 일은 우리 모두가 알고 축하할 일입니다. 이런 일은 신대원 뿐만 아니라 고신교회와 우리 자매교회 그리고 한국교회 성도들 모두의 기쁨이 되어야 합니다. 이런 일들이 한국 사회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교회 밖의 사람들이 이 일의 중요성을 알고 축하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신대원 교수회가 추대(推戴)하고 전광식 총장이 신임원장으로 제청한 모 교수가 지난 2월 9일 이사회에서 부결되었습니다. 저는 이십 년이 넘게 신대원에서 가르친 교수로서 그리고 신대원장을 역임한 사람으로서 이런 결과가 있게 되어 매우 착잡합니다. 그리고 고신 교회(‘교단’이라는 말 대신에 사용)의 앞날이 크게 우려됩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고 관례가 된다면 결국 그 피해는 고신교회에 속한 모두에게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고신에 속한 성도라면 누구나 신대원장 임명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신대원의 원장과 교수들로 인해 기뻐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신대원은 고신교회 직영 신학교입니다. 고신교회가 신대원의 존립과 발전에 무한책임을 진다는 뜻입니다. 신대원의 가장 중요한 책임은 노회의 위탁을 받아 고신교회의 목사후보생들을 가르치고 세우는 일입니다. 신대원장은 목사 양성을 책임지는 신학교의 최고 책임자입니다. 뿐만 아니라 고신교회와 한국사회의 신학과 삶을 선도(善導)하며 선도(先導)하는 일의 최선봉에 서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신대원장의 책임은 막중하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에 합당한 인물이 선출되어야 합니다. 물론 저를 비롯한 역대의 원장들이 이러한 역할을 감당할 믿음과 실력 그리고 능력과 인격을 모두 갖춘 인물이었다고는 결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신대원장을 선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교수회나 대학총장이나 이사회는 이런 면들을 최대한 면밀하게 살펴야 합니다. 그리할 때에 신대원장의 선출이 모든 성도들에게 기쁨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신대원장은 교수회가 추천을 하고 총장의 제청에 의하여 이사장이 임명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명문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합당한 절차로 받아들여져 1999년부터 시행되어 왔습니다. 어떤 분은 대학총장처럼 이사회가 신대원장의 선출과 임명에 전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사장이 임면권(任免權)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할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총장과 원장의 선출과정은 차별이 있어야 합니다.
종합대학교의 경우 여러 단과대학들이 있고 각 대학마다 여러 개의 학과가 있습니다. 고신대에는 현재 의과대학 약 150명을 포함하여 총 300명에 가까운 전임교수가 있습니다. 총장을 직선제로 선출할 경우 단과대학 사이에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불미스러운 일들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선출과정에서의 갈등과 선거 후의 상처를 치유하는 일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폐해를 피하기 위해 현재 고신대학교 총장을 선출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이사회가 총장 초빙공고를 합니다. 그 후 지원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사회가 서류심사를 하고, 면접한 후 투표를 통해 선출하고 임명합니다.
신대원은 현재 15명의 풀타임 교수가 있습니다. 신대원장은 정교수만이 피선될 자격이 있습니다. 정교수가 되려면 적어도 11년 동안 교수로 봉사해야 합니다. 학교 밖의 사람들은 한 후보에 대해 다른 사람을 통해 간접적인 지식이나 일부분의 직접경험을 가지고 있을 따름입니다. 그러나 경력 1~2년의 신임교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수들은 각 후보의 신앙, 인격, 실력, 지도력, 친화력, 행정력 심지어 가족상황 등에 대해 장단점을 익히 알게 됩니다. 대부분의 교수들이 사택에서 함께 지내며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지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합니다. 따라서 신대원장 선임에 있어서 교수회의 추대는 원장임명의 출발점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고신교회 전체의 상황에 대해 교수들이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에는 이사장이나 총회장이 현재의 원장과의 대화를 통해 신대원 밖의 분위기를 전해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교회 밖의 인사(人士)의 의견이 강요나 강압이 되어서는 결코 안될 것입니다. 교수들의 자유로운 신앙양심과 양식에 따른 합의를 존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사회가 총장의 경우와 같이 면접을 철저하게 함으로써 원장직에 적합한 인물인가를 검증한 후 임명하면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번 신대원장 선출과정에서 왜 이런 과정이 완전히 생략되었는지 너무나도 의아스럽습니다.
이번 사건은 신대원장 선임과 관련하여 아주 잘못된 선례를 남겼습니다. 한국의 많은 일반대학교나 신학교가 이사회의 전횡(專橫)으로 인하여 고통을 겪고 있다는 소문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일이 우리 안에서 발생했다는 것은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너무나도 부끄러운 일입니다. 교수들의 합의에 의한 추대가 완전히 배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교권이나 명예에 관심이 있는 소수의 사람은, 이사들 또는 총회의 임원들이나 힘이 있는 사람에게 줄서기를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렇게 되면 교수들 사이에 반목과 갈등이 생기고 합력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됩니다. 이번 일로 인해 우리 신학교에도 그와 같은 폐단이 생기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원장이 되기를 원하는 교수들이 학생들이나 동료들에게 일상의 과정을 통해 신임을 얻기 보다는 이사들의 눈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신대원장이 된 사람은 신대원이나 교회의 기쁨은커녕 근심이 됩니다. 신대원장은 교수들의 지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현재 신대원의 앞날은 그다지 밝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한국 교회가 전반적으로 쇠퇴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마음을 합해도 이 어려운 시기를 헤쳐 나아가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신학교는 일반 학교와 다릅니다. 교회는 아니지만 교회의 직영기관으로 특별한 위치에 있습니다. 오늘날 한국사회나 심지어 교회까지, 결과가 과정을 정당화하는 실용주의에 압도되고 있습니다. 고신교회에 건강한 보수(保守)가 아니라 수구(守舊)정신이 팽배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가 있습니다. 우리는 온고(溫故)뿐만 아니라 지신(知新)을 통해 장노년 뿐만 아니라 신세대의 생각도 아우를 수 있어야 합니다. 영남(嶺南)을 품으면서도 전체 대한민국과 세계를 품을 수 있어야 합니다. 개혁된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고신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신대원이 그러해야 하고 이사회가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이사회는 교수들이 하나 되지 않고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때에 개입해도 늦지 않습니다. 이사회 역시 총회의 직할 기관으로서 신학교를 섬기는 기관이라는 것을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이사회가 자신에게 속한 권세를 신대원을 돕고 교회를 세우는 일에 지혜롭게 사용해야 합니다. 세상적인 갑을의 관계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태도로 이사회가 나아갈 때에 하나님의 의가 이루어집니다. 그리할 때에 신대원이 든든히 서가며 교회의 교사의 역할을 힘차게 수행하게 됩니다. 나아가 교회와 모든 성도들이 평강을 누리며 풍성한 기쁨을 만끽하게 될 것입니다.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