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세계교회사 걷기
저자: 임경근
출판사: 두란노
책 소개
교회사는 기독신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한다. 그러나 왠지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여겨진다.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만 알아야 할 분야로 취급된다.
이 책은 교회사가 우리에게 얼마나 가까운지를 쉽게 경험하게 해 준다. 교회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임경근 목사가 어린 아이들에게 교회사를 쉽게 가르치기 위해 쓴 글을 다시 어른을 대상으로 써서 한데 묶여 책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이 책은 부제에 나와 있는대로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나 꼭 알아야 할 교회 이야기 109 장면을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기에 “교회사는 재미 없어서...”라는 핑계가 쏙 들어가도록 한 번 손에 잡으면 내려놓고 싶지 않게 만들었다.
온 교인이나 구역식구들이 함께 읽으면 유익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 구원 역사를 이해하려면 교회 역사부터 알자 o12
Part 1 굶주린 사자도 이기는 믿음, 초대교회
01 예수님은 어디에 계실까? o18
02 교회의 설립자는 예수님이다 o21
03 로마는 예수를 박해했고, 하나님은 로마를 쓰셨다 o23
04 순교자들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o25
05 카타콤으로 숨어들다 o29
06 예루살렘이 멸망하다 o31
07 불이여, 오소서! o34
08 양의 탈을 쓴 이리가 호시탐탐 교회를 노린다 o38
Part 2 꽃길은 고통이요 돌짝밭은 은혜라, 로마교회
09 드디어 로마의 기독교 핍박이 끝났다 o46
10 기독교의 로마 국교화, 과연 축복일까? o49
11 이단의 활약으로 니케아 신경이 선포되다 o52
12 하나님은 한순간에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을 고치셨다 o56
13 아우구스티누스는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어떻게 봤을까? o59
14 펠라기우스, 인간의 힘으로 의에 이르려 하다 o63
15 첫 교황이 세워지다 o67
16 성경에는 교황도, 계급도 없다 o70
17 로마의 해가 지고 비잔티움이 일어나다 o73
18 나라 법으로 종교를 좌우했던 동방 정교회 o77
19 교회 건물이 아름답다고 교회도 아름다울까? o80
20 게르만 민족에게 복음이 전파되다 o82
21 교회와 국가의 은밀한 거래 o85
Part 3 탐욕에 눈이 멀어 빛을 잃다, 중세교회
22 그레고리우스 1세, 중세교회의 역사를 열다 o90
23 수도원이 유행하던 때도 죄는 성행했다 o93
24 이슬람은 평화의 종교가 아니다 o97
25 유럽을 공격한 이슬람교, 세계를 위협한다 o100
26 아일랜드와 브리튼 지역에 복음이 전해지다 o103
27 때가 차매 유럽 북부에서 복음을 받아들였다 o106
28 또 다시 국가가 교회 위에 서다 o110
29 십자군, 칼과 창으로 예루살렘을 정복하다 o114
30 거룩한 성도가 살아가는 모든 땅이 성지다 o119
31 성경을 읽고 전했다고 이단이 된 발도인 o123
32 수도원의 등불이 꺼지다 o126
33 새로운 헌신이 시작되다 o131
34 하나님은 교회 개혁을 준비하셨다 o137
35 국가주의의 등장으로 중세 로마교회가 흔들리다 o139
36 암흑 속에 광명이 일어나다 o145
Part 4 개혁은 칼이 아니라 말씀으로, 루터와 츠빙글리
37 루터의 삶이 기쁨으로 뒤바뀌다 o152
38 작은 촛불이 유럽을 불태우다 o155
39 루터에게서 복음의 빛을 발견하다 o158
40 로마교회는 루터를 버렸지만 개혁은 멈추지 않았다 o161
41 복음을 선물하다 o164
42 개혁은 혁명이 아니다 o167
43 경건은 가정에서 증명되어야 한다 o169
44 독일 종교개혁이 완성되다 o172
45 츠빙글리, 복음으로 교회를 개혁하다 o176
46 스위스 취리히가 종교개혁의 도시가 되다 o180
47 극단적 종교개혁의 실패, 재세례파 o183
Part 5 피고 지고 다시 피어나는 꽃처럼, 칼뱅과 그 후
48 칼뱅, 종교개혁의 거대한 물줄기를 타고 흐르다 o188
49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자 공개수배자가 되다 o191
50 모든 일이 하나님의 크신 섭리 속에 있다 o196
51 프랑스 출신 목사 3명이 제네바에서 추방되다 o199
52 엄한 권징은 부작용이 따른다는 것을 깨닫다 o201
53 칼뱅, 제네바로 복귀하다 o204
54 법과 질서를 성경의 토대 위에 세우다 o207
55 제네바에서 종교개혁이 꽃을 피우다 o209
56 교회의 무기는 칼이 아니라 말씀이다 o212
57 칼뱅이 생을 마감하다 o215
58 헨리 8세는 어쩌다가 수장령을 발표했을까? o217
59 잉글랜드에 영원히 꺼지지 않을 불꽃이 타오르다 o220
60 하나님께서 잉글랜드를 구원하셨다 o224
61 반쪽짜리 종교개혁과 청교도의 등장 o226
62 존 녹스,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열망을 깨닫다 o228
63 장로교회의 큰 틀이 만들어지다 o232
64 프랑스 종교개혁은 실패인가? o236
65 네덜란드, 독립전쟁이 종교를 개혁하다 o242
66 거룩하고 죄가 없어야 참 교회인가? o246
67 종교개혁의 유산, 요리문답 o249
Part 6 계몽주의와 인본주의에 물든, 서구교회
68 인본주의가 고개를 들다 o254
69 제임스 1세, 종교개혁 전으로 후퇴하다 o259
70 청교도가 침례교회와 회중교회의 기원이 되다 o261
71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작성되기까지 o265
72 왕정이 회복되고 관용법이 발표되다 o271
73 퀘이커의 예배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o275
74 경건주의, 개인의 삶을 강요하고 교회를 등한시하다 o279
75 합리주의가 교회 안에 이신론을 만들다 o283
76 인간의 이성이 하나님을 도전하다 o286
77 감리교의 창시자 존 웨슬리, 교회에 활력을 불어넣다 o289
78 제1차 대각성, 잃었던 신앙이 깨어나다 o295
79 미국의 독립선언과 독립전쟁 o299
80 서부개척, 산업혁명, 그리고 교회 o302
81 미국의 서부정신이 제2차 대각성으로 이어지다 o305
82 제2차 대각성이 몰고 온 변화 o309
83 남북전쟁, 하나님은 누구 편이셨을까? o312
84 노예제도는 미국 교회의 연약함을 드러낸다 o314
85 미국 남북 장로교회가 하나가 되다 o316
Part 7 이데올로기의 전쟁 속에서 교회는, 19-20세기
86 선교는 새로운 기독교 시대를 열었다 o322
87 인도, 미얀마, 중국에 선교사가 들어가다 o325
88 선교가 동아시아와 오세아니아로 이어지다 o328
89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에 개신교회가 서다 o331
90 19세기 유럽에 변화의 바람이 불다 o334
91 영국, 새로운 사회는 새로운 교회가 필요하다 o337
92 네덜란드, 국가교회에서 벗어나다 o339
93 독일, 루터교회의 생명을 잃고 혼돈에 빠지다 o342
94 동방 정교회가 기독교 전통을 전수했다 o344
95 로마 천주교회, 시대의 변화에 끌려가다 o347
96 19세기 후반 미국 교회의 큰 동력, 드와이트 무디 o350
97 교회는 노동자의 고단한 삶 속으로 들어가지 못했다 o352
98 자유주의 신학의 다양한 견해를 인정해야 하는가 o355
99 근본주의, 자유주의에 대항하다 o358
100 제1차 세계대전 후, 인간 탐욕의 처참한 결론 o360
101 기독교는 제거해야 할 아편 같은 것, 공산주의 o362
102 자유주의와 공산주의가 극명하게 갈리다 o365
103 자유주의는 선교지에서도 말썽이었다 o368
104 진화론이 창조신앙을 위협하다 o370
105 복음주의는 교단이 아니다 o373
106 신복음주의, 복음의 열정에 지성의 냉철함을 더하다 o376
107 교회도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o378
108 복음을 희생한 교회 연합은 의미가 없다 o381
109 불확실의 시대, 진리만이 오직 진리되기를 o383
에필로그 | 교회는 시대의 도전 앞에 생존할 수 있을까? o388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