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총회 통계로 보는 고신 교회(교단) 70년1)

  

bf9516b6cec4ad41d803f6182ba195be.jpg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1. 들어가는 말

 

   고신 교회가 내년 2021년이면 설립 70년을 맞는다. 지난 70년이라는 교회 역사를 살필 때 흩어진 많은 자료가 그 근거가 될 수 있겠지만, 그중 하나는 총회록에 공적으로 실린 각종 통계다. 특히 ‘각 노회 상황 보고’라는 이름으로 매해 열린 총회의 회의록인 총회록에 실린 통계는 고신 교회의 70년이라는 주요 흐름을 아는 기초 자료가 되며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런데도 고신 교회 역사에서 아직 이 총회록의 통계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총회 통계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 어떤 총회는 그 통계가 부실하거나 정확하지 못한 점도 있어 통계 자체의 신뢰 문제까지 생각할 수 있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이 모든 열악한 상황에도 1952년 고신 교회 설립부터 시작하여 70회 총회를 맞은 2020년까지 대략 10년 단위로 끊어서 특히 교인 수, 교회 수, 목사 수, 장로 수 등의 통계를 중심으로 지난 고신 교회 70년의 흐름을 분석하고 해설하고자 한다.

 

 

2. 중요한 통계 분석과 해설

 

1) 교인 통계

 

   교인은 장로회 정치원리에서 볼 때 본래 세례교인(입교인)을 가리킨다. 이들만이 교회의 교인으로서 중요한 권리를 갖고 있다. 성찬에 참여하는 권리, 공동의회에 참석하는 권리, 영적으로 보호를 받을 권리, 영적으로 어떤 것을 요청할 권리, 당회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노회와 총회에 상소할 권리 등이 있다. 그래서 세례교인(입교인)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모든 사람을 다음과 같이 소위 신급(神級) 별로 분류하게 된다. 즉 이들 외에 유아세례교인, 학습교인, 원입(願入)교인이다. 이 모두의 수를 합친 것이 교인총계다.

   유아세례교인은 유아 시에 세례를 받았으나 아직 입교 하지 않은 교인을 가리키고, 학습교인은 교회에 출석하였으나 아직 세례받지 않은 교인을 가리키며, 원입교인은 이제 갓 교회출석을 하여 학습교인이 되지 못한 교인을 가리킨다.

   그래서 교인총계를 낼 때는 세례교인(입교인), 유아세례교인, 학습교인, 원입교인의 수를 합치면 된다. 그런데 유아세례를 받지 않았고 친구에게 전도를 받아 교회의 주일학교에 출석하는 주일학교 어린이는 어디에 속할까? 당연히 원입교인이다.

   그런데 지난 총회록의 교인 통계를 보면 이 간단한 원리가 적용되지 못할 때가 많았다. 제14회 총회(1964년 9월)부터 제20회 총회(1970년) 이전까지 신급 별 통계에서 유아세례교인 항목이 보이지 않는다. 제20회 총회(1970년 9월)부터 다시 유아세례교인 항목이 나오다가 제37회 총회(1987년 9월)부터 유아세례 교인 통계가 다시 나오지 않는다. 제45, 46회 총회에서 다시 일부 노회에서 나타나다가 제47회 총회(1997년 9월)부터 거의 모든 노회가 유아세례교인 수를 보고하고 있다.

   그래서 남영환 목사는 <한국기독교교단사>에서 교인총계를 세례교인과 학습교인, 원입교인, 주일학교 학생 수를 합쳐 계산하였다.2) 즉 유아세례교인을 빼고 이를 주일학교 항목으로 대체한 것이다.

   사실 유아세례교인 수를 통계에서 넣기도 하고 빼기도 한 것은 단순히 정확한 교인총계 문제를 넘어 장로교회의 신앙 원리 가운데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언약신앙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장로교회 정치에서 장로와 당회는 유아 시에 세례를 받은 언약의 자녀를 양육할 책임과 이들이 속히 공적 신앙고백과 입교를 하도록 권면할 책임이 있다. 즉 교회 안에서 언약신앙의 확립을 위해 유아세례 교인 통계는 아주 중요하다. 그런데 이를 ‘주일학교’라는 범주 안에 함께 묶은 것은 큰 착오다. 따라서 주일학교 학생을 유아세례교인과 원입교인으로 구분하면 된다. 그리고 기관별 통계를 낼 때 주일학교의 수를 별도로 파악하면 된다.

   아래는 지난 70년 동안 고신 교회에서 교인 수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대략적인 도표이다.

 

<표 1>

 

세례(입)교인

유아세례

주일학교

학습교인

원입교인

교인총계

1952

4,419

 

 

 

 

 

1956(6회 총회)

15,350

 

 

 

 

 

19573)

17,366

 

 

 

 

 

1960

17,503

 

33,7224)

6,476

9,083

67,123

1963

13,650

 

 

 

 

 

1972

23,182

6,479

 

6,800

10,220

73,569

1975

23,309

5,491

27,025

7,175

10,963

68,472

1982

54,620

 

60,011

17,108

23,384

179,489

1984

72,278

 

77,785

22,398

47,915

223,950

1992

122,017

 

74,754

20,632

35,183

274,525

2002

213,746

47,830

 

50,451

131,863

390,522

2012

270,351

46,777

 

26,290

139,070

482,488

2015

274,884

44,535

 

21,359

120,698

461,476

2016

285,863

47,036

 

20,848

118,267

472,014

2020

278,441

39,039

 

14,663

80,145

412,288


   1952년에 설립되었으나 신급 별 교인 통계를 낸 것은 제10회 총회(1960년 9월)부터다. 이때부터 세례(입)교인과 학습교인, 원입교인, 그리고 주일학교 항목에서 통계를 작성하였다. 물론 유아세례 항목은 총회 통계에서 제20회 총회(1970년 9월)부터 나타난다.

 

   위 통계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1952년에 진리운동으로 시작한 고신교회가 1956년 9월의 통계를 보면 6개 노회로 이루어지는 총회로 격상하면서 교인 수가 4년 만에 거의 4배가 늘어 약 10, 000명의 세례교인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총 노회 조직 후 일제 강점기에 신사참배를 항거하며 죽도록 충성해온 충복들의 신앙을 흠모하고 이들과 함께 한국교회의 정화와 재건에 동참하기를 원하는 신자들이 경남, 경북뿐 아니라, 전라 충청 수도권지역에서까지 생겨나게 되어 진리운동이 전국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어갔다는 것을 가리킨다.5) 교회 수는 312개에서 565개로 거의 2배로 증가하였다.

 

   그러다가 1963년에는 13,650명으로 이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급감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우리가 아는 것처럼 1960년에 승동 측과 합동하였다가 1963년에 환원하면서 많은 교인이 환원에 동참하지 않은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통계다. 합동 당시 590개 교회에서 환원 때는 435개 교회로 줄어들었고 교인도 17,503명에서 13,650으로 약 4천 명의 교인을 잃게 되었다.

 

   그리고 1975년 통계를 보면 세례교인의 수는 3년 전의 1972년 통계와 비교할 때 거의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3년이 지났음에도 왜 증가하지 않고 제자리에 맴도는 것일까? 교인총계를 보면 1972년은 73,569명에서 1975년에는 68,472명으로 약 5천 명이 오히려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1975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1973년부터 시작된 법적 소송 문제에 대한 공방으로 경남노회가 행정보류를 하고 이탈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1975년 통계에는 경남노회의 보고가 누락된 것이다. 교회 수도 566개에서 453개로 축소되었다.

 

   설립 20년이 되는 1972년부터 10년 단위로 2020년까지 살필 때 적어도 2002년까지 급격하게 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세례교인 수를 보면 1972년에는 23,182명이 1982년에는 54,620으로 거의 3만 명이 증가하였고, 1992년에는 지난 10년 동안 거의 7만 명이 증가하였으며(사실 1982년, 1984년에 이전에 고신 교회에서 이탈한 교회들이 일부 영입되었으나 교인 증가세에 비추어 그 수가 의미 있는 만큼의 규모가 되지 않아 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2002년에는 같은 기간에 거의 9만 명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폭발적인 증가는 교인총계에서도 나타난다. 즉 1972년에는 73,569명이 1982년에는 179,489명으로 거의 10만 명이 늘었고, 1992년에는 274,525명으로 거의 10만 명이 늘었으며, 2002년에는 390,522로 12만 명이 늘었다. 그러다가 2012년 통계를 보면 증가하는 속도가 이전과 비교해서 아주 작게 둔화되는데, 즉 세례교인 수는 270,351명으로 2002년보다 6만 명으로 증가하고, 교인총계도 482,488명으로 2002년보다 9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결국 2012년을 기점으로 2020년까지 세례교인 수는 8-9년이 지났음에도 답보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교인총계는 2015년에 고려 측과의 통합으로 20,296명의 교인이 추가되었음에도 오히려 7만 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온다. 유아세례교인은 2020년의 통계를 2012년과 비교할 때 거의 8천 명이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에 학습교인은 1만 2천 명이 줄었으며, 원입교인은 6만 명이 감소하였다. 앞으로 이 기초 자료를 근거로 더욱 자세한 자료와 통계를 통해 감소 원인을 다양하게 분석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2) 교회 통계

 

   사실 교회 통계를 낼 때 당회 수, 조직교회와 미조직교회, 기도소를 기준으로 하거나 혹은 교인 수를 기준하거나 아니면 경제적인 자립도를 기준으로 하거나, 행정구역이나 도시와 농어촌 등의 기준으로 분류해서 통계를 내야만 정확하게 교회 상황을 파악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이 분류를 하지 않고 아주 단순하게 교회 수의 증감을 통해 고신 교회의 70년을 살피고자 한다.

 

<표 2>

 

 

교회 수

1952

312

1956(제6회 총회)

565

1957

588

1960

590

1963

435

1972

566

1975

453

1982

727

1984

912

1992

1,266

2002

1,591

2012

1,771

2015

1,840

2016

2,042

2020

2,110


 

   교인 통계에서 이미 본 주요 흐름이 교회 통계에서도 일부 나타난다. 1952년 설립된 고신교회가 312개밖에 되지 않았으나 4년이 지난 제6회 총회 시에는 565개 교회로 크게 증가하였다. 합동과 환원을 겪은 후인 1963년에는 590개에서 435개로 축소되었다. 또 경남노회 분열 당시인 1975년에는 453개로 1972년과 비교할 때 거의 100개 교회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교인 통계와 비교할 때 차이가 나는 점은 교인 통계는 1972년부터 2002년까지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2012년을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교회 통계는 지금까지 꾸준히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1972년에는 566개가 1982년에는 727개로 증가하였고, 그리고 다시 1992년에는 1,266개로 지난 10년 동안 500개가 증가하였으며, 다시 2002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330개가 증가하였고 이후 2012년까지 다시 약 200개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후 8-9년이 지난 2020년에는 2,110개로 340개가 증가하였다. 물론 여기에는 지난 2001년과 2015년에 각각 서경노회의 영입(58개 교회)과 고려 교단과의 통합(163개 교회)으로 220개 교회가 증가한 것을 감안해야 한다.

 

   그러나 교인 통계에서 본 대로 2012년까지 교인 수의 증가세가 약간 주춤거리다가 2012년 이후로는 교인의 수가 제자리에 답보 혹은 감소 추세에 있는 것에 비해, 교회 수는 비록 작지만 계속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고무할만한 일이다. 여기에는 제57회 총회(2007년 9월)에서 시작하여 지난 6월까지 379호 교회를 개척한 3천 교회 운동이 기여하였다.

   그러나 3천 교회 운동을 총회가 결정하는 2007년 통계를 보면 1,679개 교회가 2020년에는 2,110개 교회가 되어 지난 13년 동안 431개 교회가 증가하였다. 그런데 지난 2015년 고려 교단과의 통합으로 163개 교회가 추가된 것을 감안하면 3천 교회 운동으로 시작하여 세워진 교회 수가 정확하게 몇 개가 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지난 6월 기준으로 지난 13년 동안 세워진 379개와 통합으로 추가된 고려 교단의 교회 163개를 합치면 542개가 된다. 그런데 총회록의 통계를 보면 2007년에서 2020년까지는 431개만 증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111개의 교회 수가 차이가 난다. 즉 같은 기간에 고신 교회에서 111개 교회가 폐쇄되든지 혹은 다른 교단으로 이동하든지 사라졌다는 것이다. 3천 교회 운동으로 현재 379개 교회가 세워졌으나 이 교회 중에서 폐쇄된 교회는 없는지 혹시 돌아보아야 한다.

 

 

3) 목사와 교역자 통계

 

<표 3>

 

목사

교역자6)

비고(교인총계)

비고(교회 총계)

1952

50

 

 

312

1956(6회 총회)

111

 

 

565

1957

126

281

 

 

1960

126

237

67,123

590

1963

140

 

 

435

1972

209

337

73,569

566

19757)

229

287

68,172

453

1982

442

626

179,489

727

1984

5858)

602

223,950

912

1992

1,094

1,114

274,525

1,266

2002

2,435

1,369

390,522

1,591

2012

3,124

(2457)9)

1,632

482,488

1,771

2015

3,355

1,428

461,476

1,840

2016

3,657

1,509

472,014

2,042

2020

3,867

1,318

412,288

2,110

 
 

   이 통계에서 하나만 지적하고자 한다. 2012년을 기점으로 교인총계가 감소하는 것과 동시에 목사를 제외한 교역자(목사 후보생, 강도사, 전도사) 역시 감소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이 통계는 교역자라는 항목 안에 세부적으로 강도사, 목사 후보생, 남자 전도사, 여자 전도사 등으로 더 자세히 분류하여 통계를 내지 않아서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남녀 전도사와 강도사, 목사 후보생이 줄어들면서 목사 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목사 항목 역시 위임목사와 무임목사, 은퇴목사, 부목사, 기관목사, 선교사, 전도목사 등으로 자세히 분류하지 못해서 다양하고 깊이 있는 분석은 할 수 없지만 목사 수는 계속 꾸준히 늘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4) 기타 교회 직원 통계

 

<표 4>

 

 

장로

장립집사10)

권사11)

서리집사12)

교인총계

1952

37

 

 

 

 

1956(6회 총회)

157

 

 

 

1957

160

 

 

 

1960

213

 

 

67,123

1963

193

 

 

 

1972

402

126

5,769

73,569

197513)

449

122

6,676

68,472

1982

1,022

676

27114)

17,396

179,489

1984

1,379

78615)

46416)

20,91817)

223,950

1992

2,647

57918)

67619)

16,09120)

274,525

2002

3,764

14,711

5,543

79,313

390,522

2012

6136(시무 3882)

8,608

12,505

112,142

482,488

2015

6680(시무 3967)

9,355

14,835

114,710

461,476

2016

7072(시무 4036)

10,614

16,501

116,101

472,014

2020

7928(시무 4119)

10,543

18,679

108,984

412,288

 

 

   여기서도 몇 가지 지적한다면, 첫째, 2012년 이후로 시무 장로의 수에 비교할 때 은퇴, 무임, 협동 장로의 수가 그만큼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2012년을 예로 든다면 전체 장로의 수가 6,136명인데 비해 시무 장로의 수는 3,882명이다. 이를 2002년과 비교해보자. 2002년에 장로의 수는 3,764명이다. 여기에는 은퇴 장로를 비롯하여 무임, 협동 장로가 포함되어 있다. 10년 사이에 은퇴 장로를 비롯하여 무임, 협동 장로가 많이 생긴 것이다. 한편 교인 수와 장로의 수를 비교해보면 2002년에 교인총계는 390,522명에 비해 장로 수는 3,764명으로서 약 교인 100명에 장로 1명의 비율이다. 반면 2020년은 교인 412,288명에 장로는 7,928명으로 대략 교인 50명에 장로는 1명이다. 둘째, 서리집사 수와 교인 수를 대비해보면 특히 2002년 이후 교인 4명 중 1명이 서리 집사일 만큼 서리 집사의 수는 교회에서 아주 많음을 숫자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교회 총계와 장로의 수를 대비해보면 2020년에 교회 수는 2,110개인데 장로의 수는 7,929명으로 1개 교회에 장로 5명, 이 중에서 시무 장로는 4명이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넷째, 권사의 수를 교인 수와 비교해보면 2002년은 390,522명의 교인에 권사는 5,543명으로서 권사 1명에 약 교인 38명인데, 2020년은 교인은 412,288명 권사는 18,679명으로 권사 1명에 교인은 약 22명이 된다.

 

 

3. 결론

 

   본 총회록 통계 연구가 기초 단계에 불과하지만 이를 기초로 중요한 항목을 분석한 것을 몇 가지로 결론을 내리고, 총회 통계와 관련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인의 수는 1972년 이후 2012년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해왔지만 2012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교인의 수의 감소에 관한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조속히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교인의 수가 2012년을 기점으로 감소세에 있지만, 교회의 수는 상대적으로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보았다. 이는 총회가 2008년부터 추진하는 약 13년 동안 3천 교회 운동의 일환으로 비롯된 결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나 2015년 총회에서 고려 교단과 통합하여 163개 교회가 추가되고 379개 교회가 새롭게 개척되어 산술적으로 542개 교회가 증가되어야 하지만 통계 지표는 교회 수가 431개만 증가한 것으로만 나와 있다. 111개 교회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3천 교회 운동을 추진하여 교회 수가 증가하도록 해야겠으나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미자립교회나 개척교회를 잘 돕고 관리하는 것임을 통계 연구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셋째, 2012년을 기점으로 교인총계가 감소하는 것과 반대로 목사의 수는 조금씩 늘어가고 있고, 대신 목사를 제외한 교역자(목사 후보생, 강도사, 전도사)는 감소하고 있다. 교역자의 수가 줄고 있다는 것은 머지않아 목사 수도 줄어들 때가 닥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기타 직원의 수의 증감을 보면 교인의 수가 줄고 있는 것에 비해, 권사와 서리집사 수 대비 교인의 수를 비교해보면 2020년에는 교인 20명에 권사 1명, 교인 4명에 서리집사 1명까지 육박했으며, 그나마 시무 장로의 수는 교인 100명에 1명이다.

 

   다섯째, 총회의 통계는 각 노회에 속한 교회들의 상황을 보고한 것이다. 단순히 교인의 수나 교회 수, 목사와 장로의 수가 얼마나 증가하고 감소하였는지를 보여주는 교세(敎勢) 통계에만 그치지 않는다. 각 노회가 총회에 정기적으로 하는 통계 보고는 교세 통계 이상으로 각 노회에 속한 고신 교회들의 상황 보고를 뜻한다. 즉 고신 교회의 얼굴 모습 전체를 보여주는 중요한 통계이다. 그렇다면 이 통계 항목에는 당연히 신급 별로 구분한 각종 교인의 수와 교회 수, 목사를 비롯한 기타 교회 직원의 수, 당회의 수뿐 아니라, 일제 치하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가 해방 이전까지 총회에 보고한 내용처럼, 이명 간 교인, 이명 온 교인, 시벌 받은 교인, 해벌 받은 교인, 실종 교인 등의 항목도 포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924년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 보고된 통계에서 경남노회의 보고를 보면 목사 12명, 장로 57명, 장립집사 3명, 남자 조사 21명, 남자 전도인 13명, 여자 전도인 9명, 영수 216명, 서리집사(남) 303명, 서리집사(여) 128명, 조직교회 36개, 미조직교회 197개, 기도소 30, 예배당 수 226, 세례받아 입교한 수 601명, 세례받은 유아 중 성찬 참여한 자 30명, 이명증서로 받은 입교인 110명, 해벌한 교인 30명, 금년에 성찬에 참여한 자 중 제명한 자 379명, 별세한 교인 56명, 이명증서로 이거한 교인 195명, 책벌한 교인 104명, 출교한 교인 24명, 성찬에 참여하는 세례인 도합 4171명, 의무잃은 교인(실종 교인) 147명 등이 나온다. 한국교회 초창기 적어도 해방 이전까지는 이같이 총회의 통계를 통해 당시 교회 질서와 교회 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이명증 제도가 정착되어 있어서, 매년 통계에 이명증서로 받은 입교인 수, 이명증서로 이거한 입교인 수, 이명증서가 없는 자의 수를 적시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현재 총회가 시행하는 통계 항목은 이러한 교회 상황 보고를 망라하지 못하고 있다. 총회의 통계를 교세 통계의 차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전국 노회가 총회에 보고하는 ‘고신 교회 상황 보고’라는 것에 유념하여 이 기준을 따라서 통계 항목을 다시 새롭게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매해 총회 통계를 통해 고신 교회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어야 하겠다. 총회의 통계는 교회관에 관한 문제이며, 이것이 바로 정립될 때 교회 역사 연구에서 좋은 자료로 쓰이게 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

1) 1984년 이전 통계는 남영환 목사의 <한국기독교사>에 나오는 자료를, 이후 최근까지 통계는 총회록을 중심으로 하되 <고신교단50주년기념화보집>에 실린 이재술 장로의 통계를 참고하였으며, 남영환 목사와 이재술 장로가 제시한 자료 사이의 숫자가 다를 때는 해당 연도의 총회록을 살폈다.

2) 남영환, 한국기독교교단사(서울: 영문 출판사, 2005), 268-280.
3) 제7회 총회(1957년 9월)부터 총회 통계표가 기존에서 학습교인 수, 유년주교생 수, 교사 수, 당회 수, 전도사 수 등 항목을 추가하여 확장되었으나, 6개 모든 노회가 이 모든 항목에 빠짐없이 보고하지 않았다. 완전한 형태로 보고한 항목은 교회 수, 세례교인 수, 당회 수, 장로 수, 전도사 수이다(제1회-제10회 총회록, 154).
4) 유아세례교인 항목 대신 나타난다.
5) 허순길, 한국장로교회사(서울: 영문, 2008), 419.
6) 강도사, 전도사(남녀), 목사 후보생(신학대학원 재학), 교육전도사를 포함한다.
7) 경남노회 분열로 경남노회의 보고가 누락되어 있다.
8) 서울노회의 보고가 누락된 숫자. 이재술 장로는 637명이라고 밝히고 있다(579).
9) 괄호 안의 숫자는 시무 목사의 총계를 가리킨다.
10) 장립 집사 통계는 제20회 총회(1970년 9월)부터 나타난다.
11) 제27회 총회(1977)에서 권사 제도가 신설되었다. 따라서 1952년부터 1975년까지 권사는 통계 항목에 나오지 않는다.
12) 서리 집사 통계는 제20회 총회(1970년 9월)부터 나타난다.
13) 경남노회 분열로 경남노회의 보고가 누락되어 있다.
14) 경북, 경안, 부산노회 보고가 누락된 숫자이다.
15) 서울노회 보고가 누락된 숫자이다.
16) 서울노회 보고가 누락된 숫자이다.
17) 서울노회 보고가 누락된 숫자이다.
18) 23개 노회 중에서 9개 노회만 보고한 숫자이다.
19) 23개 노회 중에서 9개 노회만 보고한 숫자이다.
20) 23개 노회 중에서 9개 노회만 보고한 숫자이다.
 


  1. 직분자 임직식에서 성도의 역할

    직분자 임직식에서 성도의 역할 임모세 목사 (남울산장로교회) 1. 예식에의 참여 교회는 예식을 행합니다. 가장 중요한 예식은 예배 그리고 예수님께서 직접 제정하신 예식인 성례입니다. 성례는 두 가지인데 세례와 성찬입니다. 그리고 성례는 아니지만 중요...
    Date2024.02.03 By개혁정론 Views575
    Read More
  2.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며칠 전 동기 목사의 장례가 있었다. 성탄절을 하루 앞둔 주일 저녁에 단톡방에 난데없이 부고가 올라왔다. 도무지 믿기지 않았다. 아니 믿을 수가 없었다. 아프다는 이야기는 몇 개월 전에 ...
    Date2024.01.30 By개혁정론 Views113
    Read More
  3. 제73회 총회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제73회 총회(2023년 9월 19-21일)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성희찬 목사 (작은빛 교회) 고신 교회 제73총회가 얼마 전에 있었다. 총회는 장로교회에서 1년마다 열리는 최고 치리회(治理會)다. 개체교회의 당회, 지역 단위의 노회와 함께 그리스도의 치리를 대신하...
    Date2023.10.12 By개혁정론 Views286
    Read More
  4.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없는가?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없는가?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담임) 이번 주간에 정기노회가 열렸다. 그런데 여러 노회에서 시찰위원 선정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시찰위원 선정을 할 때 이번에 공포된 개정헌법이 이전과 다른 기준을 제시하기 때문...
    Date2023.10.11 By개혁정론 Views361
    Read More
  5.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 우리가 왜 그를 기억하며 그리워하는가?

    본 글은 월간고신 생명나무 2023년 10월호에 기고한 것을 허락을 얻어 게재함을 밝힌다. - 편집자 주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1948-2023) - 우리가 왜 그를 기억하며 그리워하는가? -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담임) 고신교회의 신학교인 고려신학대학원(고려...
    Date2023.10.06 By개혁정론 Views265
    Read More
  6. 왜 고재수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로 왔나?

    왜 고재수(N. H. Gootjes)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로 왔나?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 들어가며 2023년 8월 20일 고재수는 향년 75세로 캐나다에서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어떤 사람은 그의 이름을 보고 한국 사람으로 알지만, 네덜란드인이...
    Date2023.10.06 By개혁정론 Views456
    Read More
  7.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담임) 고신교회 제73회 총회가 ‘열심을 품고 주를 섬기라’(롬 12:11)는 표제하에 2023년 9월 19일(화)부터 21일(목)까지 열렸다. 코로나 이후 지난 3년 동안 온라인이나 여러 장소에서 회집하...
    Date2023.09.26 By개혁정론 Views535
    Read More
  8. 신학생 보내기 운동에 대한 진지한 성찰

    신학생 보내기 운동에 대한 진지한 성찰 손재익 목사 (한길교회 담임) 문제와 해결책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속담이 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급한 대책이 잠시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오히려 나중에는 더 악화될 수 있는 해결책...
    Date2023.06.22 By개혁정론 Views1128
    Read More
  9. 명예 직분 허용이 가져다 줄 위험한 미래

    명예 직분 허용이 가져다 줄 위험한 미래 - 헌법 개정안 정치 36조 2항의 문제점 손재익 목사 (한길교회 담임) 개정은 개선만 아니라 개악도 있다 고신 총회 헌법 개정안 일부가 72회(2022년) 총회에서 통과됐다. 예상대로 총대들은 자세한 내용을 살피지 않...
    Date2023.03.09 By개혁정론 Views1585
    Read More
  10.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회70년과 교회직원(장로, 집사, 권사)

    고신교회70년과 교회직원(장로, 집사, 권사)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담임) 지난 고신교회 70년 동안 총회는 교회직원 중에서 장로, 집사, 서리집사, 권사에 관해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이를 살피며 지나온 고신교회 70년을 돌아보고 평가하며 앞으로 나아...
    Date2022.12.26 By개혁정론 Views679
    Read More
  11. No Image

    성경 원어의 묘미

    성경 원어의 묘미 고덕길 목사 (이슬라마바드 한인교회 담임) 성경 번역자들에게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히브리어의 언어유희나 이중 의미를 지닌 헬라어 단어를 영어나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번역어는 필연적으로 원문...
    Date2022.12.21 By개혁정론 Views483
    Read More
  12.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지금 고신대학교가 정말 위기인지 묻는다면 그 대답은 ‘예’가 아닐 수 없어 보인다. 어쩌면 그것은 진정한 지도자의 부재로 인한 위기일지도 모른다. 고신대학교는 대한예수교...
    Date2022.12.14 By개혁정론 Views1353
    Read More
  13.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8] 고신교회 70년에 나타난 목사의 지위와 권한(2)

    고신교회 70년에 나타난 목사의 지위와 권한(2)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고신교회 70년 동안 목사의 지위와 권한은 실제로 어떠했을까? 그리고 우리는 이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또 이는 다음 70년을 내다보고 나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 것일까...
    Date2022.12.12 By개혁정론 Views456
    Read More
  14. 가정예배로 신앙의 명문 가문을 세웁시다

    아래 글은 월간 생명나무 (월간 고신) 2022년 12월호에 실린 글로 필자의 허락을 받아 이곳에 올립니다. - 편집장 주 가정예배로 신앙의 명문 가문을 세웁시다 채충원 목사 (한밭교회 부목사) 가문(家門)은 문중(門中)이나 종중(宗中)과 유사한 용어로서, 부...
    Date2022.11.18 By개혁정론 Views374
    Read More
  15. 이 시대에 교인을 어떻게 양육할 수 있는가?

    이 시대에 교인을 어떻게 양육할 수 있는가? 황원하 목사 (산성교회 담임) 저는 저희교회 교역자들과 함께 11월 15일(화) 김해북교회에서 열린 ‘하나님 나라 제자훈련’(킹덤처치연구소) 세미나에 참석했습니다. 이 세미나에서 큰 감명을 받았기에...
    Date2022.11.16 By개혁정론 Views811
    Read More
  16. 고신총회설립 70주년 총회, 무엇을 남겼나?

    고신총회설립 70주년 총회, 무엇을 남겼나?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담임) 제72회 고신총회(9/20-22)가 ‘사랑으로’(갈 5:6)라는 표제로 열렸다. 올해 총회는 독노회 설립으로부터 출발하여 70년을 맞이하는 총회였다. 바벨론 포로 생활 70년과 ...
    Date2022.09.24 By개혁정론 Views861
    Read More
  17. 2022년 총회에 대한 우려...

    2022년 총회에 대한 우려... 사라져버린 고신정신... 황대우 교수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추석 연휴가 끝난 다음 주가 총회 주간이다. 고신교회의 설립기념일인 9월 20일을 전후하여 개최된다. 총회를 설립기념일 전후로 소집하는 관행은 최소한 고신교...
    Date2022.09.13 By개혁정론 Views712
    Read More
  18. 힘들 때 함께 기도할 수 있어야 가족입니다

    아래 글은 월간 생명나무 (월간 고신) 2022년 9월호에 실린 글로 필자의 허락을 받아 이곳에 올립니다. - 편집장 주 힘들 때 함께 기도할 수 있어야 가족입니다 채충원 목사 (한밭교회 부목사) 살다 보면 정말 예배할 기분이 아닐 때가 있습니다. 특히 주일 ...
    Date2022.09.01 By개혁정론 Views325
    Read More
  19. 고신 교회 제7차 헌법 개정안 초안에 나타난 ‘교회론’

    개혁정론이 주최한 '제7차 고신 개정헌법,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 성희찬 목사가 발제한 교회정치와 권징조례에 관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싣습니다. - 편집자 주 고신 교회 제7차 헌법 개정안 초안에 나타난 ‘교회론’ -교회정치, 권징조...
    Date2022.08.26 By개혁정론 Views462
    Read More
  20. 제7차 헌법개정에 나타난 교리와 예배 (교리표준과 예배지침을 중심으로): 안재경 목사

    개혁정론이 주최한 '제7차 고신 개정헌법,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 안재경 목사가 발제한 교리표준과 예배지침에 관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싣습니다. - 편집자 주 제7차 헌법개정에 나타난 교리와 예배 (교리표준과 예배지침을 중심으로) 안재경 (온...
    Date2022.08.24 By개혁정론 Views3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직분자 임직식에서 성도의 역할
죽음을 어떻게 맞을까를 잠시 생각하며
제73회 총회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 우리가 왜...
왜 고재수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신학생 보내기 운동에 대한 진지한 ...
명예 직분 허용이 가져다 줄 위험한...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