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소개>
손재익 객원기자
개혁주의 전가교리
저 자 : | 신호섭 |
출판사 : | 지평서원 |
정 가 : | 12,000원 |
책소개
고신교단과 통합한 옛 고려에는 좋은 인재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 한 명이 바로 이 책의 저자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서울북노회 올곧은교회를 담임하는 저자는 오랫동안 양서를 번역하는데에 수고했는데, 특히 칭의와 관련된 책들을 많이 번역했다. 그런데 이번에 칭의 교리 가운데 한 부분인 ‘전가’(轉嫁)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 자신의 저서를 발간하였다.
‘칭의(Justification)’는 기독교가 올바르게 회복되기를 바란 종교개혁자들이 굳게 붙잡았던 진리다. 종교개혁자들은 칭의 교리를 “교회가 서기도 하고 넘어지기도 하는 중대한 교리”라고 일컬었으며, 교회의 올바른 교리로서만이 아니라 진정한 성도의 삶을 위한 기초로서도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종교개혁의 정신을 이어받은 청도교를 비롯한 개혁주의자들도 칭의 교리를 고수하며, 오늘날까지 계속 가르쳐 오고 있다.
이 책 『개혁주의 전가교리』에서 저자는 성경이 중요하게 말하는 핵심 교리인 칭의 교리의 근간이 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교리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특히 그리스도의 죽음의 순종과 삶의 순종 가운데 나타난 수동적 순종과 능동적 순종이라는 완전한 순종이 택하신 자들에게 전가되는 은혜를 전한다. 그로 말미암아 신자들은 죄와 죄책을 용서받을 뿐만 아니라 천국의 소망과 영생을 보장받게 된다. 이것은 참으로 하나님의 값없는 선물이며, 신자들을 향한 그리스도의 사랑의 결정체이며, 신자들이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 수 있는 견고한 기초이자 능력이다.
그러나 예로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그리스도의 순종을 요체로 하는 의의 전가 교리, 그리고 의의 전가를 중심으로 하는 칭의 교리는 논쟁의 중심에 서 있으며, 온갖 공격을 받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교리적 순수성을 내세우기보다는 통합을 추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풍조가 만연하면서 그리스도인의 사상까지 혼탁하게 흐리는 탓에, 절대 물러설 수 없는 성경의 진리마저 타협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 구원의 근간이 되는 칭의 교리, 그리고 그 칭의 교리의 토대가 되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교리를 제대로 배우고 짚어가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그 일에 이 책이 큰 유익이 되리라 확신한다.
저자 소개
신호섭 목사
런던신학교(Lond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히웰 존스(Hywel Jones)와 필립 입슨(Philip Eveson) 같은 로이드-존스의 후예들을 통해 청교도 신학과 설교학을 전수받았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싱클레어 퍼거슨(Sinclair B. Ferguson)의 지도 아래 “청교도 신학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순종의 전가 교리”(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in Puritan Theology, Th.M. thesis, 2006)에 대해 연구했다. 이어 고려신학교(문산)에서 강의하던 중 2009년에 도미하여 리폼드 신학교(Reformed Theological Seminary)에서 “21세기 신교회 운동인 이머징 교회 운동의 영향”(2012)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고려신학교 교학처장을 역임했고, 조직신학과 신조학, 청교도신학 및 선교학과 윤리학 등을 가르쳐 왔다. 박사 과정 중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뉴올리언스 한인교회(New Orleans Korean Church)를 목양한 바 있으며, 귀국한 이후 2014년에 개혁교회연구소와 올곧은교회(서울북노회)를 개척하여 지금까지 올바르고 곧으며 진실하고 정직한 그리스도의 제자 공동체 건설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힘쓰고 있다.
대표 역서로는 『칭의 교리의 진수』, 『성령의 사역, 회심과 부흥』, 『로이드 존스 앤솔러지』, 『칼빈주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삶』(이상 지평서원), 『칭의란 무엇인가』(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Ⅰ,Ⅱ
▶지은이 머리말
▶들어가는 말
1부 전가 교리와 그리스도의 순종
1장 전가와 그리스도의 순종의 정의
2장 전가 교리의 위치
2부 전가 교리의 역사적 발전
1장 대표적 종교개혁자: 청교도의 선구자
2장 대표적 청교도들
3장 후기 개혁주의 전통
3부 역사적 반론들과 비평
1장 로마 가톨릭주의
2장 알미니안주의
3장 소시니안주의
4장 율법폐기론주의, 신율법주의, 그리고 고-칼빈주의
4부 신학적 발전과 그리스도인의 삶
1장 전가의 원인과 필요성
2장 전가의 본질적 내용
3장 전가의 결과
4장 전가의 방법
5장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구속 언약
6장 전가의 성취와 적용
7장 전가 교리와 그리스도인의 삶
나가는 말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