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기획기사
  1. notice

    [개정헌법,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2]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헌법이 말하는 대로 세워야 할까?

    2023년 7월 개정헌법이 공포되었다. 개체교회, 노회, 총회는 새로이 개정된 헌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헌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개혁정론은 예배, 시편찬송, 미혼자 임직, 명예직, 시찰, 교회직원의 윤리 문제 등 새로운 헌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
    Date2023.12.06 By개혁정론 Views70
    read more
  2. notice

    [개정헌법,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예배 용어와 절기 기념, 어떻게 할 것인가?

    2023년 7월 개정헌법이 공포되었다. 개체교회, 노회, 총회는 새로이 개정된 헌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헌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개혁정론은 예배, 시편찬송, 미혼자 임직, 명예직, 시찰, 교회직원의 윤리 문제 등 새로운 헌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
    Date2023.12.04 By개혁정론 Views114
    read more
  3. [1주년 특별기획: 교회쇠퇴시대에서 희망을 찾다](2)

    이번 기획기사는 개혁정론 1주년을 기념하여 기획했습니다. 한국교회는 고도의 성장기를 지나 정체기를 거치지 않고 곧 바로 쇠퇴기에 접어 들어 급격하게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향후 10년이 골든 타임이라고 합니다. 이 골든타임을 놓치면 한국교회는 ...
    Date2015.04.27 By개혁정론 Views4595
    Read More
  4. [1주년 특별기획: 교회쇠퇴시대에서 희망을 찾다](1)

    이번 기획기사는 개혁정론 1주년을 기념하여 기획했습니다. 한국교회는 고도의 성장기를 지나 정체기를 거치지 않고 곧 바로 쇠퇴기에 접어 들어 급격하게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향후 10년이 골든 타임이라고 합니다. 이 골든타임을 놓치면 한국교회는...
    Date2015.04.23 By개혁정론 Views4833
    Read More
  5. [다음세대 신앙교육] 기독교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기독교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류재신 목사 월광기독교학교 중등과정 교장 1. 서문 소위 ‘교실붕괴’ 등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1990년대 중반부터 성경적 교육을 대안으로 내세우며 기독교 대안학교 운동이 일어났다. 기독교 대안학교 운동은 기...
    Date2015.04.15 By개혁정론 Views5480
    Read More
  6. [다음세대 신앙교육] 주중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주중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조약돌 강도사(예음교회) 아침 댓바람부터 부산했다. 오늘은 아이의 입학식이 있는 날이다. 처음으로 학교에 입학시키는 초보 엄마 아빠는 남달랐다. 필자의 가정도 분주했다. 나는 월요일라 무척 피곤했고, 어디 바쁜 아빠들이 입...
    Date2015.04.14 By개혁정론 Views5133
    Read More
  7. [다음세대 신앙교육] 주말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주말학교, 그 가능성과 과제 염덕균 강도사(마산제일교회) 여는 글: 주말학교가 무엇인가요? 작년(2014년)까지, 누군가에게 자신을 소개 하거나, 담당하고 있는 교육부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할 때면, 언제나 “저는 현재 마산제일교회(성희찬 목사)에서 O...
    Date2015.04.11 By개혁정론 Views4903
    Read More
  8. [다음세대 신앙교육] 기독교 홈스쿨링, 그 가능성과 과제

    기독교 홈스쿨링, 그 가능성과 과제 조재필 목사(부산 연합교회) 저희 가정은 16살(중3), 13살(초6) 두 아들과 함께 만 4년 홈스쿨링 하고 있습니다. 본 글의 제목이 “기독교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방향”이지만,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기에는 경험이나 이론...
    Date2015.04.09 By개혁정론 Views5836
    Read More
  9. [다음세대 신앙교육] 세대통합예배: 가능성과 과제

    세대통합예배: 그 가능성과 과제 * 이 글은 기독교보 한세공 시리즈에 기고했던 글을 일부 수정한 것입니다.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담임목사 최근에 급속히 세대통합예배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교회는 부모와 자녀세대가 믿음을 전수하여 신...
    Date2015.04.07 By개혁정론 Views5946
    Read More
  10. [다음세대 신앙교육] 다음세대 교리교육, 어떡할 것인가?

    황희상1) 안산 푸른교회 성도 고려신학대학원 외부강사 다음세대 교리교육, 어떡할 것인가? 들어가며 요즘 어디 가서 교회 다닌다는 말을 하기 부끄럽다. 세상은 교회와 기독교를 향하여 ‘무개념’이라며 손가락질한다. 기분이 나쁘지만 반박할 수 없다. 무(無...
    Date2015.04.03 By개혁정론 Views5140
    Read More
  11. [다음세대 신앙교육] 중고등부, 어떡할 것인가?

    하대중 목사 삼일교회 부목사 중고등부, 어떡할 것인가? ‘한국교회의 주일학교에 아이들이 사라지고 있다!’, ‘교회가 위기를 맞았다!’ 최근 몇 년 동안 들어 왔던 이야기들을 한 마디로 요약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실로 그러하다. 유치부 아이들의 수가 줄어...
    Date2015.04.01 By개혁정론 Views4303
    Read More
  12. [다음세대 신앙교육] 주일학교, 어떡할 것인가?

    노성현 목사 울산교회 신정예배당 담당목사 탈봇 신학대학원 교육학 석사, 박사(Ph.D) 북미주 KOSTA 강사 주일학교, 가치관 전쟁에 맞서다 월화수목 금금금 아침 6시 기상, 아침을 먹는 둥 마는 둥 서둘러 챙겨서 학교등교 7시 40분까지. 개인학습 혹은 0교시...
    Date2015.03.30 By개혁정론 Views5413
    Read More
  13. [다음세대 신앙교육] 한국교회 다음세대 어떡할 것인가?(2)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목사 한국교회 다음세대 어떡할 것인가?(2) 사탄의 공격과 우리의 약점! 고신교회는 헌법전문에는 이런 문구가 있다. “신앙의 정통과 생활의 순결을 파수하고, 이를 다음세대에 전수하기를 갈망하며, 그런 책임을 완수할 수 있도...
    Date2015.03.27 By개혁정론 Views5008
    Read More
  14. [다음세대 신앙교육] 한국교회 다음세대 어떡 할 것인가?

    임경근 목사 다우리교회 담임목사 한국교회 다음세대 어떡할 것인가?(1) 한국교회는 지금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고신교회가 가장 앞선 2006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어서 기장교회는 2007년, 감리교회는 2009년, 통합교회와 합신교회가 2009년, 그리고 ...
    Date2015.03.24 By개혁정론 Views4973
    Read More
  15. [신자의 장례] 임종 준비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7 By개혁정론 Views12945
    Read More
  16. [신자의 장례] 죽은 자를 위한 기도에 대하여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5 By개혁정론 Views9068
    Read More
  17. [신자의 장례] 장례설교의 예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5 By개혁정론 Views7084
    Read More
  18. [신자의 장례] 한국 기독교인들의 장례 문화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4 By개혁정론 Views4755
    Read More
  19. [신자의 장례]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죽음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3 By개혁정론 Views5102
    Read More
  20. [신자의 장례] 장례의 역사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3.01 By개혁정론 Views5271
    Read More
  21. [신자의 장례] 기독교 장례를 위한 지침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2.27 By개혁정론 Views8132
    Read More
  22. [신자의 장례] 불신 주검과 자살자를 위한 기독교 장례는 가능한가?

    이번 기획기사는 신자의 장례입니다. 어느 문화나 마찬가지겠지만 동양문화는 생노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독특한 축하 및 애도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한국교회의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장례문화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상호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Date2015.02.16 By개혁정론 Views71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기획기사

사설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공적 금식과 공적 기도를 선포하자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개정헌법(2023년)으로 무엇이 달라...
제73회 총회가 남긴 몇 가지 과제
전임목사는 시찰위원으로 선정될 수...
고신교회와 고재수 교수; 우리가 왜...
왜 고재수는 네덜란드에서 고려신학...
제73회 총회를 스케치하다
신학생 보내기 운동에 대한 진지한 ...
명예 직분 허용이 가져다 줄 위험한...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
성경 원어의 묘미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