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기획기사
조회 수 183 추천 수 0 댓글 0

 

---------------------------------------

제22대 총선이 다가왔습니다. 국회(의원)는 민의를 대변하는 입법부 역할을 하기에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독교정당을 표방하는 곳도 선거에 나섭니다. 기독교인이라고 하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불법에 가담해서는 안되겠고, 교회도 선거법을 제대로 지켜야 하겠습니다. 복음을 특정정파를 지지하는 것과 혼돈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번 총선이 공정하게 치루어지도록 기도하고 참여해야 하겠습니다. -편집장- 

---------------------------------------

 

 

선거를 대하는 극단의 자세에 대해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기독교인은 이 선거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선거는 민주주의를 가장 잘 드러내고 실천하는 방법이다. 민주주의란 소수가 권력을 독점함으로 생길 수 있는 부패를 방지하고, 정의와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최선의 제도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본래 취지는 성경이 가르치는 교훈과 상당히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은 투표에 참여해서 사랑과 정의를 실천하는 선한 일에 누구보다도 앞장서야 한다. 그런데 일부 기독교인에게서 간혹 선거를 대하는 극단적인 자세를 다음에서 볼 수 있다. 

 


1. 무관심하거나 냉소적인 자세

 

   “나 하나쯤 빠진다고 해서...”라고 생각하고 기권하려는 이들이 있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할 때 다른 사람도 나처럼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많은 사람이 이런 생각을 하여 이번 선거에서 기권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조직과 돈으로 동원된 사람들이 선거를 결정할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거가 공정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좋지 못한 후보자가 선출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혹은 국회의원 선거를 세상 나라를 위한 세상의 일로 여기고 이는 하나님 나라를 구하는 성도에게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그렇지 않다. 투표하는 행위는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기에, 투표하는 것은 곧 이웃을 사랑하라는 주님의 계명을 따르는 것이며, 의의 나라인 하나님 나라를 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선거에 냉소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다. 정치에 염증을 느껴서 그럴 수 있다. 그동안 우리 경험을 볼 때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정치 활동에 음모와 술수, 권력 쟁투의 요소가 상당히 있어서 선량한 국민이 정치에 혐오를 느끼게 한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정치는 본래 더러운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의도적으로 선거에 냉소적일 수 있다. 

   또는 제대로 된 올바른 후보자가 없다는 생각 때문에 냉소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모두가 비슷비슷하게 나빠서 뽑을 사람이 없다는 불평이 많다. 특히, 높은 정치의식과 잣대를 가진 지식인이나 기독교인들이 이런 생각을 많이 한다. 사실, 올바른 후보자를 찾는 일이 투표에 참여하는 것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권해서는 안 된다. 자칫 후보자 가운데 가장 최악의 사람이 뽑힐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후보자가 없다면 개중에 덜 나쁜 후보자를 차선으로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2. 지나치게 열광적이고 많은 것을 기대하는 자세

 

   우선 한 번의 선거로 혁명처럼 하루 아침에 세상과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은 분명 지나친 생각이다. 물론 선거를 통해 많은 것을 바꿀 수 있기에 어느 정도는 기대할 수 있고, 또 기대해야 한다. 그런데 선거를 과신하는 것은 문제다. 사람의 전적인 부패를 믿는 개혁주의 신앙을 생각할 때 그러하다. 오히려 겉으로만 번지르르한 공약은 아닌지, 현실성이 없는 공약은 아닌지를 냉정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힘이 있고 유능한 사람이라 해서 지나치게 기대하고 과다하게 믿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 사람이 유능한 것과 정의로운 것은 별개의 문제다. 부정선거를 통해 선출된 유능한 사람은 유능하게 나쁜 짓을 할 수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후보자가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계와 교회의 특정 이익을 반영한다는 이유로 혹은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인해 무조건 그를 믿고 투표하는 것도 옳지 않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사람들을 보면 거기에는 기독교인들이 빠지지 않았다. 선거 운동을 하면서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내세우거나 심지어 선거 운동의 일환으로 자신을 장로, 권사로 떠벌리는 이들을 오히려 경계할 필요가 있다. 자기 신앙을 선거에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진실한 기독교인일 가능성이 있다. 교회에서까지 와서 잔재주를 부리는 사람을 분별해야 한다.

   후보자가 제시하는 정책과 공약, 됨됨이를 꼼꼼히 보지 않고 특정 정당이나 특정 후보자를 지나치게 믿고 무조건 지지하는 것도 옳지 않다. 


   기독교인은 국회의원 선거에 어떻게 참여해야 할까? 
   적절하고 올바른 선거 참여를 통해 우리 사회의 공공이익과 공공선에 기여할 수 있고, 이로써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계명을 실천할 수 있다. 선거에 무관심하거나 냉소적으로 선거를 피하여 기권하는 자세, 혹은 그 반대로 지나치게 선거에 기대하고 여기에 모든 것을 거는 극단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은 옳지 않다.

 

 


  1.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4] 교회학교 현장이 바뀌고 있다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9.07 By개혁정론 Views438
    Read More
  2.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3] 개체교회 시찰 매뉴얼 작성 청원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9.04 By개혁정론 Views385
    Read More
  3.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2] 미혼 강도사의 목사 임직 기준 지침 청원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8.27 By개혁정론 Views526
    Read More
  4. [74회 고신총회 상정 안건 분석 1] 정동수 목사(인천사랑침례교회) 신학 검증

    2024년 9월 10일(화)부터 13일(목)까지 제74회 고신총회가 열립니다. 개혁정론은 매년 총회를 앞두고 총회에 상정된 안건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려왔습니다. 올해 역시 7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중 주요한 내용을 분석하는 기사를 올립니다. 이 기사를 통해 총...
    Date2024.08.23 By개혁정론 Views2484
    Read More
  5.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6] 나는 언제쯤 담임 목사가 될 수 있을까?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23 By개혁정론 Views1628
    Read More
  6.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5] 담임목사와 함께 교회 세우기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19 By개혁정론 Views608
    Read More
  7.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4] 지금 분립개척을 준비해 보면 어떨까?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13 By개혁정론 Views318
    Read More
  8.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3] 우리는 ‘4무’ 교회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09 By개혁정론 Views329
    Read More
  9.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2] 건물과 장소에 관하여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7.02 By개혁정론 Views274
    Read More
  10.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 1] 교회의 잉태와 출생

    이번 기획기사의 주제는 "교회는 어떻게 세워지는가?"입니다. 우리는 현재 교회 위기의 시대를 넘어 생존을 걱정해야할 시기로 접어들었습니다.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음전도의 위축은 교회의 생존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
    Date2024.06.25 By개혁정론 Views387
    Read More
  11.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6] 은혜의 방편: 성찬 제대로 누리기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6.08 By개혁정론 Views395
    Read More
  12.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5] 성도생활지침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5.25 By개혁정론 Views408
    Read More
  13.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4] 양육 사십주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5.21 By개혁정론 Views342
    Read More
  14.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3] 공예배, 삼위 하나님과 나누는 인격적인 대화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5.08 By개혁정론 Views630
    Read More
  15.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2] 교리교육의 실제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4.29 By개혁정론 Views420
    Read More
  16. [장로교회를 소개합니다 1] 장로교회의 교육

    이번 기획기사는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입니다. 장로교회의 신학적 토대인 개혁주의 신학을 목회 현장에 잘 적용할 때 건강한 장로교회가 세워집니다. 하지만 신학 이론을 목회 현장에 접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고 힘듭니다. 여기에는...
    Date2024.04.23 By개혁정론 Views420
    Read More
  17. [교회법에 대해 알아야 할 7가지] 교회법의 나아갈 길: 교회법과 교인의 권리

    교회법의 나아갈 길: 교회법과 교인의 권리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회복한 이신칭의(以信稱義) 복음은 바른 교훈의 회복을 넘어 교회정치에서 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각성시켰다. 특히, 교회에서 교인이 갖는 ...
    Date2024.04.02 By개혁정론 Views256
    Read More
  18. [기독교인과 선거 5] 네덜란드 교회 교인은 어떻게 정치에 참여할까?

    제22대 총선이 다가왔습니다. 국회(의원)는 민의를 대변하는 입법부 역할을 하기에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독교 정당을 표방하는 곳도 선거에 나섭니다. 기독교인이라고 하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불법에 가담해서는 안되겠고, 교회도 선거법을 제대로 지켜야 하...
    Date2024.03.20 By개혁정론 Views264
    Read More
  19. [기독교인과 선거 4] 설교학적 관점에서 생각해 보는 정치 설교하기

    제22대 총선이 다가왔습니다. 국회(의원)는 민의를 대변하는 입법부 역할을 하기에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독교 정당을 표방하는 곳도 선거에 나섭니다. 기독교인이라고 하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불법에 가담해서는 안되겠고, 교회도 선거법을 제대로 지켜야 하...
    Date2024.03.18 By개혁정론 Views330
    Read More
  20. [기독교인과 선거 3] 기독교인은 기독교 정당을 지지해야 하는가?

    제22대 총선이 다가왔습니다. 국회(의원)는 민의를 대변하는 입법부 역할을 하기에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독교 정당을 표방하는 곳도 선거에 나섭니다. 기독교인이라고 하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불법에 가담해서는 안되겠고, 교회도 선거법을 제대로 지켜야 하...
    Date2024.03.15 By개혁정론 Views3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

기획기사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