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대 총선이 다가왔습니다. 국회(의원)는 민의를 대변하는 입법부 역할을 하기에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독교정당을 표방하는 곳도 선거에 나섭니다. 기독교인이라고 하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불법에 가담해서는 안되겠고, 교회도 선거법을 제대로 지켜야 하겠습니다. 복음을 특정정파를 지지하는 것과 혼돈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번 총선이 공정하게 치루어지도록 기도하고 참여해야 하겠습니다. -편집장-
---------------------------------------
선거를 대하는 극단의 자세에 대해
성희찬 목사
(작은빛교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기독교인은 이 선거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선거는 민주주의를 가장 잘 드러내고 실천하는 방법이다. 민주주의란 소수가 권력을 독점함으로 생길 수 있는 부패를 방지하고, 정의와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최선의 제도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본래 취지는 성경이 가르치는 교훈과 상당히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은 투표에 참여해서 사랑과 정의를 실천하는 선한 일에 누구보다도 앞장서야 한다. 그런데 일부 기독교인에게서 간혹 선거를 대하는 극단적인 자세를 다음에서 볼 수 있다.
1. 무관심하거나 냉소적인 자세
“나 하나쯤 빠진다고 해서...”라고 생각하고 기권하려는 이들이 있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할 때 다른 사람도 나처럼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많은 사람이 이런 생각을 하여 이번 선거에서 기권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조직과 돈으로 동원된 사람들이 선거를 결정할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거가 공정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좋지 못한 후보자가 선출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혹은 국회의원 선거를 세상 나라를 위한 세상의 일로 여기고 이는 하나님 나라를 구하는 성도에게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그렇지 않다. 투표하는 행위는 정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기에, 투표하는 것은 곧 이웃을 사랑하라는 주님의 계명을 따르는 것이며, 의의 나라인 하나님 나라를 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선거에 냉소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다. 정치에 염증을 느껴서 그럴 수 있다. 그동안 우리 경험을 볼 때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정치 활동에 음모와 술수, 권력 쟁투의 요소가 상당히 있어서 선량한 국민이 정치에 혐오를 느끼게 한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정치는 본래 더러운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의도적으로 선거에 냉소적일 수 있다.
또는 제대로 된 올바른 후보자가 없다는 생각 때문에 냉소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모두가 비슷비슷하게 나빠서 뽑을 사람이 없다는 불평이 많다. 특히, 높은 정치의식과 잣대를 가진 지식인이나 기독교인들이 이런 생각을 많이 한다. 사실, 올바른 후보자를 찾는 일이 투표에 참여하는 것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권해서는 안 된다. 자칫 후보자 가운데 가장 최악의 사람이 뽑힐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후보자가 없다면 개중에 덜 나쁜 후보자를 차선으로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2. 지나치게 열광적이고 많은 것을 기대하는 자세
우선 한 번의 선거로 혁명처럼 하루 아침에 세상과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은 분명 지나친 생각이다. 물론 선거를 통해 많은 것을 바꿀 수 있기에 어느 정도는 기대할 수 있고, 또 기대해야 한다. 그런데 선거를 과신하는 것은 문제다. 사람의 전적인 부패를 믿는 개혁주의 신앙을 생각할 때 그러하다. 오히려 겉으로만 번지르르한 공약은 아닌지, 현실성이 없는 공약은 아닌지를 냉정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
힘이 있고 유능한 사람이라 해서 지나치게 기대하고 과다하게 믿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 사람이 유능한 것과 정의로운 것은 별개의 문제다. 부정선거를 통해 선출된 유능한 사람은 유능하게 나쁜 짓을 할 수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후보자가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계와 교회의 특정 이익을 반영한다는 이유로 혹은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인해 무조건 그를 믿고 투표하는 것도 옳지 않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사람들을 보면 거기에는 기독교인들이 빠지지 않았다. 선거 운동을 하면서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내세우거나 심지어 선거 운동의 일환으로 자신을 장로, 권사로 떠벌리는 이들을 오히려 경계할 필요가 있다. 자기 신앙을 선거에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진실한 기독교인일 가능성이 있다. 교회에서까지 와서 잔재주를 부리는 사람을 분별해야 한다.
후보자가 제시하는 정책과 공약, 됨됨이를 꼼꼼히 보지 않고 특정 정당이나 특정 후보자를 지나치게 믿고 무조건 지지하는 것도 옳지 않다.
기독교인은 국회의원 선거에 어떻게 참여해야 할까?
적절하고 올바른 선거 참여를 통해 우리 사회의 공공이익과 공공선에 기여할 수 있고, 이로써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계명을 실천할 수 있다. 선거에 무관심하거나 냉소적으로 선거를 피하여 기권하는 자세, 혹은 그 반대로 지나치게 선거에 기대하고 여기에 모든 것을 거는 극단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은 옳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