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단상
2016.12.31 09:08

얼굴

조회 수 82 추천 수 0 댓글 0

어젯밤, 함께 공연을 본 장애인과 지하철역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가까이에 앉은 노부부가 자꾸만 우리를 쳐다본다. 특히 할머니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

장애인을 보내고 물었다. 혹시 나를 아느냐고. 아니란다. 내 인상이 너무 좋아 그랬단다. 장애인과 이야기 나누는 모습이 너무 좋아서 자꾸만 쳐다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면서 나를 축복한다. 교회 나가는 분인 듯싶은데 묻지는 않았다.

인상 좋다.

이런 말을 이 나이 되도록 들으니 나쁘지는 않다. 기분 좋다.

사실 나는 살면서 인상이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이런 말 하기 민망하지만, 한때는 얼굴에서 빛이 난다, 천사의 얼굴 같다는 말도 들었다. 나는 오랫동안 장애인 사역과 호스피스 사역과 노숙인 사역을 하였고, 몇 년 전에 장애인 사역 현장으로 돌아와 장애인을 섬기고 있다. 현장에서 많은 사람들(장애인, 암환자, 노숙인)을 만나면서 나는 나의 인상 덕을 참 많이 보았다. 그들의 닫혀 있는 마음 문을 열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되어 주었기 때문이다. 예의 할머니처럼 나의 인상을 보고 무턱대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아내는 그런 말을 잘 안한다. 제발 인상 쓰지 말라는 말을 자주 한다. 자기와 이야기할 때에 자주 내 얼굴에 내 천(川)이 그려진다는 것이다. 그런 나의 모습이 아내는 싫단다. 나는 그냥 조금 강조하여 말하는 것뿐인데 아내는 그런 나의 모습에서 내가 화를 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모양이다. 얼굴은 마음의 거울이라고 하지 않는가. 아내가 그렇게 느꼈다면 그것이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그것은 아내에 대한 나의 지극함이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 증거이다. 내가 아내를 진정으로 존중하고 사랑한다면 그것이 얼굴에 묻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고도 나를 존중해줄 것을 요구하니 한심스럽다. 남에게 인상 좋다는 말 듣는 것보다 아내에게 먼저 그런 말 듣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주님, 나를 도와주소서.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망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하여 하는고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나는 내 얼굴을 도우시는 내 하나님을 오히려 찬송하리로다"(시 43:5).

 


  1. 하나님이 일하신다

    Date2017.03.16 By정용균 Views342
    Read More
  2. 장애는 조금 불편할 뿐이다?

    Date2017.03.06 By정용균 Views115
    Read More
  3. 교회와 장애인

    Date2017.02.15 By정용균 Views199
    Read More
  4. 보듬음

    Date2017.02.05 By정용균 Views80
    Read More
  5. 결혼하고 싶지 않나요?

    Date2017.01.12 By정용균 Views95
    Read More
  6. 얼굴

    Date2016.12.31 By정용균 Views82
    Read More
  7. 장애인과 장애우

    Date2016.11.19 By정용균 Views435
    Read More
  8. 노후대책

    Date2016.11.07 By정용균 Views137
    Read More
  9. 장애인과 놀고 먹는 사역

    Date2016.10.30 By정용균 Views100
    Read More
  10. 나눔은 가진 것과 상관없다

    Date2016.10.15 By정용균 Views80
    Read More
  11. 목사님, 사랑이 뭐예요?

    Date2016.10.07 By정용균 Views143
    Read More
  12. 아깝다, 아깝다

    Date2016.09.19 By정용균 Views78
    Read More
  13. 아직 기회는 있다

    Date2016.09.11 By정용균 Views422
    Read More
  14. 장애인사역, 그 길 위에서

    Date2016.09.08 By정용균 Views6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