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조회 수 669 추천 수 0 댓글 0

 

 

거울 뉴런 발견자와 르네 지라르의 만남

- 뇌과학과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 -

 

 

 

정일권.jpg

 

 

 

 

 

 

 

 

 

정일권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 신학박사(Dr.theol), 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최근 한국의 뇌 과학 분야와 방송과 언론에서 DNA의 발견 이래 최대의 업적으로 평가받는 거울 뉴런(mirror neurons) 혹은 거울 신경세포에 대한 논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지만, 거울 뉴런과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 혹은 모방 이론(Mimetic Theory) 사이의 깊은 관련성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필자는 그 동안 프랑스 지식인 최고의 영예인 아카데미 프랑세즈(Académie française) ‘불멸의 40인’으로 선정되었고 ‘인간과학의 새로운 다윈’ 혹은 ‘사회과학의 아인슈타인’으로 평가받는 르네 지라르에 대한 연구서들을 출판하면서 반드시 거울 뉴런에 대한 논의를 포함시켜왔지만, 거울 뉴런에 대한 국내 학계의 관심이 크다보니 거울 뉴런 발견자가 지라르를 직접 만나서 지라르의 이론이 뇌 과학적으로 확증되었다고 말했다는 사실이 국내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거울 뉴런은 1990년대 초 이탈리아 출신의 신경과학자 자코모 리졸라티 연구팀이 원숭이를 대상으로 뇌 체계를 연구하던 중 발견한 것이다. 이 연구팀 중의 한 학자인 비토리오 갈레세(Vittorio Gallese)를 르네 지라르는 2007년 스탠포드에서 만나 거울 뉴런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 대담에서 갈레세 교수는 “미메시스에 대한 지라르의 개념이 이 발견으로 말미암아 확증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거울 뉴런의 발견자인 리졸라티 교수가 공저자로 저술한 연구서 『공감하는 뇌. 거울 뉴런과 철학』 (쟈코모 리쫄라띠, 코라도 시니갈이아 공저 / 이성동, 윤송아 공역 | UUP | 2016년)의 아래의 출판사 리뷰에서도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 혹은 모방 이론(Mimetic Theory)과 거울 뉴런 사이의 깊은 연관성이 잘 명시되었다.

 

   "이 책은 거울뉴런의 발견자인 리졸라티와 철학자인 시니갈리아의 공저입니다. 유명한 신경의학자인 라마찬드란은 거울뉴런의 발견을 DNA의 발견 이래 최대의 업적이라고 평가하면서, 거울뉴런이야말로 인간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길로 접어들게 할 것이라고 예견하였습니다. 최근에 사망한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 역시 거울뉴런과의 연관성을 생각하면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DNA의 발견과 비견되는 거울 뉴런의 발견은 문학비평으로부터 시작된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 혹은 모방이론(Mimetic Theory)를 뇌과학적으로 혹은 신경과학적으로 확증한다. 2016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는 "모방적 두뇌'(Mimetic Brain)를 화두로 “상호주체성, 욕망 그리고 모방적 두뇌: 르네 지라르와 정신분석학”(Intersubjectivity, Desire, and the Mimetic Brain: René Girard and Psychoanalysis​)에 대한 다학제적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최근 한국어로 번역된 또 다른 거울 뉴런에 대한 연구서의 제목은 원제는 『공감적 두뇌』(The Empathic Brain)인데, 한국어로는 『인간은 어떻게 서로를 공감하는가 The Empathic Brain 거울뉴런과 뇌 공감력의 메커니즘』(크리스티안 케이서스 저/고은미, 김잔디 역 | 바다출판사 | 2018년)로 번역되었다. 이 책의 영어 원본의 부제는 “거울 뉴런의 발견이 어떻게 인간 본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변화시켰는가”이다. 거울 뉴런은 뇌 공감력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도 하지만, 거울 뉴런으로 활성화된 모방과 경쟁은 또한 갈등과 폭력을 일으켜서 르네 지라르가 분석하는 희생양 메커니즘, 좀 더 정확히 번역하자면 희생염소 메커니즘(scapegoat mechanism)을 작동시키기도 한다.

 

   거울 뉴런에 대한 국내 학계와 방송, 언론계의 뜨거운 관심이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Mimetic Theory)에 관심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해 본다.

 

 

 

공감하는뇌.jpg

▲  『공감하는 뇌. 거울 뉴런과 철학』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섭리와 기도

    섭리와 기도 우병훈 교수 (고신대 신학과, 교의학)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주관하시고 섭리 가운데 다스리시는데 우리는 여전히 기도해야 할까요?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그러면 왜 기도해야 할까요? 대답은 ‘예수님께서 기도하라고 명하셨...
    Date2018.11.16 By개혁정론 Views1548
    Read More
  2. 이근삼 박사의 생애와 칼빈주의

    이근삼 박사의 생애와 칼빈주의 작성자: 황대우 1. 생애 1-1. 교사 이근삼 박사는 관동대지진 사건이 발생한 1923년 10월 28일 부산 서구 부용동에서 이영식과 한귀련 사이의 3남으로 출생했다. 그는 “신사참배 문제로 한국교회가 수난을 당하기 시작&r...
    Date2018.11.04 By개혁정론 Views1266
    Read More
  3. 화란개혁교회와 고신총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보고서(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2017년 6월 16-17일 화란개혁교회(31조파)가 목사, 장로, 집사 직분을 여성에게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67회 고신총회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에 연구를 요청하기로 결의했고, 68회 총회는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연구...
    Date2018.10.05 By개혁정론 Views832
    Read More
  4. 기독교의 가장 중요하고 오래된 의식, 세례와 성찬의 관계

    기독교의 가장 중요하고 오래된 의식, 세례와 성찬의 관계 황대우 교수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최근 한국장로교회에 유아세례와 성찬참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몇몇 장로교회는 헌법에 유아세례를 만2세까지 제한하고, 입교를 14세 이상으로 ...
    Date2018.09.28 By개혁정론 Views7546
    Read More
  5. [대담] “진리를 말하고 삶으로 진리를 살아내어야 한다”(강영안 교수 인터뷰)  

    “진리를 말하고 삶으로 진리를 살아내어야 한다”(강영안 교수 인터뷰) 개혁정론이 강영안 교수(미국 칼빈신학교)와의 대담을 진행했다. 방학을 이용하여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베리타스 포럼에 강연하기 위해 입국한 강영안 교수와 대담했는데, 20...
    Date2018.07.20 By개혁정론 Views1687
    Read More
  6. 개혁신앙인은 현대과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지난 6월 6일 전국 SFC 동문대회가 열렸다. 그곳에서 좋은 특강이 있었는데, 본보는 특강 강의안을 아래와 같이 게재한다. 개혁신앙인은 현대과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성영은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주: 이 글은 2018년 6월 5-6일 대구 팔공산 ...
    Date2018.06.17 By개혁정론 Views1937
    Read More
  7. 시대 상황과 그리스도인의 사명

    지난 6월 6일 전국 SFC 동문대회가 열렸다. 그곳에서 좋은 특강이 있었는데, 본보는 특강 강의안을 아래와 같이 게재한다. 시대 상황과 그리스도인의 사명 권수경 목사 (고려신학대학원 초빙교수) 가. 정치적 올바름 필자가 유학차 미국에 첫발을 디딘 1991년...
    Date2018.06.12 By개혁정론 Views3701
    Read More
  8. 칼빈의 창조적인 교회력 수정

    * 이 글의 작성자 엘시 맥키 (Elsie McKee)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를 거쳐 미국 프린스톤신학교에서 교회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프린스톤신학교에서 종교개혁사와 예배사를 가르치고 있다. * 이 글은 과거 맥키 교수가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
    Date2018.06.08 By개혁정론 Views2706
    Read More
  9. 미래 목회를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미래 목회를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 독일 힐데스하임에서 열린 “목회소명 2030” .video-js { width: 300px; height: 150px; } .vjs-fluid { padding-top: 56.25% } .vjs_video_3-dimensions { width: 300px; height: 168.75px; } .vjs_video_3-...
    Date2018.05.22 By개혁정론 Views653
    Read More
  10. 거울 뉴런 발견자와 르네 지라르의 만남

    거울 뉴런 발견자와 르네 지라르의 만남 - 뇌과학과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 - 정일권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 신학박사(Dr.theol), 전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최근 한국의 뇌 과학 분야와 방송과 언론에서 DNA의 발견 이래 최대의 업적으로 평가받...
    Date2018.04.30 By개혁정론 Views669
    Read More
  11. [기고] 명성교회의 세습을 슬퍼하며

    명성교회의 세습을 슬퍼하며 손재익 목사 (한길교회) 2017년 11월 12일 명성교회(강동구 명일동)가 세습을 완료했다. 아들에게 물려주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는 김삼환 목사의 말과 세습 금지는 역사가 요구하는 바요 총회가 이미 결의한 바이기 때문에 ...
    Date2017.11.16 By개혁정론 Views1412
    Read More
  12. 우리는 무엇을 팔고 있는가? (재미고신 총회 포럼, 권수경 목사)

    아래 글은 2017년 11월 1일 애틀랜타 염광장로교회에서 있었던 재미고신총회의 포럼에서 발표된 발제문이다. - 편집자 주 “우리는 무엇을 팔고 있는가?” 권수경 목사 (동북노회) 500년 전의 면죄부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95개조 반박문...
    Date2017.11.04 By개혁정론 Views9461
    Read More
  13.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

    지난 제67회 고신총회는 이신칭의에 대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을 확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지난 2017년 10월 28일자 기독교보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의 입장이 소개되었다. 본보는 그 내용을 인용하여 아래와 같이 싣는다. - 편집자 주 이신...
    Date2017.10.30 By개혁정론 Views2733
    Read More
  14. 영화 ‘루터’를 보고 (성영은 교수)

    영화 ‘루터’를 보고 성영은 교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1) 중교개혁 500주년 기념으로 10월 18일 (재)개봉될 ‘루터 (2003년작)’ 영화를 미리 볼 기회가 있었다. 좋은 영화를 본 감동이 사라지는 것이 아쉬워 집에 오자마자 루터 전...
    Date2017.10.15 By개혁정론 Views5659
    Read More
  15. “총회교육원과 출판국을 왜 통합하려고 하는가?”(안재경)에 대한 반론

    “총회교육원과 총회출판국을 왜 통합하려고 하는가?”(안재경)에 대한 반론 황성국 목사 본인은 최근 개혁정론에 올라온 “총회교육원과 총회출판국을 왜 통합하려고 하는가?”(안재경)라는 글을 읽고 출판국의 입장을 몇 자 적는 것이 ...
    Date2017.09.14 By개혁정론 Views1065
    Read More
  16. REFO500 헤르만 셀더르하위스 교수 인터뷰

    REFO500 헤르만 셀더르하위스 교수 인터뷰 인터뷰이: 헤르만 셀더르하위스 교수 인터뷰어: 임경근 박사(다우리교회) 이 글은 2016년 11월 14일 한국을 방문했던 필자의 박사학위 지도 교수인 헤르만 셀더르하위스 교수와의 인터뷰이다. 셀더르하위스 교수는 ...
    Date2017.07.23 By개혁정론 Views944
    Read More
  17.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여자 직분 문제와 한국 교회의 과제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여성임직 결정이 한국교회에 미칠 영향이 화두다. 이에 이 분야에 전문가인 임경근 박사의 글을 싣는다. 이 글은 대구의 한 목회자 모임에서 2004년 9월 13일 발표한 내용이며, 달구벌기독학술연구회가 발행하는 『진리와 학문의 세계』1...
    Date2017.07.15 By개혁정론 Views3846
    Read More
  18. 심방 참관 소감문

    이 글은 부산 유은교회(담임 윤석준 목사)에서 2017년 전반기에 했던 심방 사역(2.28-6.15) 이후, 심방을 참관한 강도사가 기록한 소감문이다. - 편집장 주 심방 참관 소감문 노희태 강도사 (유은교회) Ⅰ. 심방의 실제 1. 심방 일정 및 준비 본 교회에서는 일...
    Date2017.07.12 By개혁정론 Views2064
    Read More
  19. 여성안수와 성경해석

    여성안수와 성경해석 이성호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고신교회와 자매관계에 있는 화란개혁교회가 최근 여성안수(보다 정확한 용어로는 여성임직)를 받아들인 것에 대해서 슬픔을 금할 수 없다. 진리를 추구하였던 이 교회의 이탈로 인하여 이제 고신교회는 이...
    Date2017.06.30 By개혁정론 Views10969
    Read More
  20. 주일은 하나님께 예배하는 날입니다.

    주일은 하나님께 예배하는 날입니다. 황원하 목사 (산성교회 담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21장에는 종교적 예배와 안식일에 대한 조항이 담겨 있습니다. 성도의 가장 기본적인 의무는 주일날 하나님께 예배하는 것입니다. 필시 교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
    Date2017.06.28 By개혁정론 Views8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