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기획기사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의 모임인 노회와 총회를 통해 교회의 일치를 도모해 왔습니다. 이번에 제64회 고신총회에 상정된 안건들을 분석하는 글들을 통해 교회 공통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는 일에 작은 도움이나마 되기를 기대합니다. - 편집위원장


황원하.jpg



황원하 목사
산성교회 담임목사
고신총회 인재풀운영위원회 전문위원 (서기)

이번 총회임원회(총회장 주준태 목사)는 신대원 및 고신대학 교수들의 인사문제와 관련하여 아주 중요한 안건을 제출하였다. 그 안건은 고신대학 및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들에 대해서 재임용제도를 시행해 달라고 하는 것인데 그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3년마다 교수 재임용을 시행하며, 
② 대상은 고신대학, 고려신학대학 교수(전임강사 포함)이며, 
③ 재임용 기준은 교수 간의 분쟁, 우리총회의 신앙과 신학의 일치 여부, 총회 이념과 총회 결정에 대한 불순종 여부 등을 포함하도록 하고, 
④ 이를 학교법인 고려학원 이사회에서 시행하고 그 결과를 총회에 보고할 수 있도록 청원합니다.

우선 한두 가지 사실을 교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교육법에 따라 고려신학대학원에는 전임강사가 없고 이 제도는 대학에서도 더 이상 시행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모든 교수들은 재임용 과정을 밟고 있다. 따라서 이번 안건은 시행되고 있지 않은 제도를 새로 신설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도가 미흡하기 때문에 보강하자는 안건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교수들은 조교수는 4년 후에, 부교수는 6년 후에 재임용 심사를 받고 있고 정교수는 정년을 보장 받는다. 따라서 이번 총회 임원회의 제안은 기존의 재임용제도를 완전히 바꾸자는 것을 의미한다.

총회 임원회는 아마도 이 정도로의 재임용 심사는 부족했다고 판단한 것 같다. 그래서 재임용 심사를 3년마다 시행하도록 제안하도록 하였다. 이 제도를 시행한다면 모든 대학 및 대학원 교수들은 정년 3년 전 62세 때까지 3년마다 재임용 심사를 받아야 할 것이다. 그 많은 대학 교수들을 3년마다 심사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여기서 말하는 고신대학이 고신대학의 신학과 혹은 신학관련 학과들을 뜻하는 것이 아닌 한 이 제안은 실현 불가능하다.

재임용 기준을 살펴보자. 첫째 “교수 간의 분쟁”은 그 개념이 너무 모호하기 때문에 악용될 소지가 너무 많다. 총회의 신앙과 신학에 일치 여부는 신규 임용 때 가장 철저하게 검증해야 하고 현재의 두 번에 걸친 재임용 심사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이번 고신대학의 지명수 교수 사건도 신규 임용 때 너무 성급하게 심사하면서 생긴 일이었다. 필자가 보기에 이번 안건은 핵심 사항은 “총회 결정에 대한 불순종”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총회의 결정에 불순종하는 교수가 신대원에서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쉬운 문제는 아니다. 사실 이미 대다수의 교회와 목사들은 총회의 결정을 제대로 지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총회가 정한 기념 주일이나 한주일 헌금이다. 이렇게 불순종하는 교회들을 총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장로교 원리를 보게 된다. 총회의 결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종교개혁의 후손들로서 로마 가톨릭 교회와는 달리 성경만 유일한 기준으로 생각하며 총회 역시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고백한다. 총회가 결정을 잘못할 때 누가 이야기를 해야 하겠는가? 교회의 교사인 신학교수가 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총회의 결정에 불순종한다는 것을 기준으로 이유로 3년마다 재임용 심사를 하자는 것은 신학대학 및 대학원 교수들의 입을 막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제도가 시행된다면 어떤 교수가 소신 있게 발언을 할 것이며 신학교수들의 위상은 어떻게 되겠는가?

이런 이유들로 인하여 대학 교수들은 교육부의 법으로 철저하게 보호를 받고 있다. 이 안건이 채택이 되어서 실제로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교수들이 양심에 따라 법에 호소하면 실제로 실행시킬 방법이 없다. 간단히 말하면 이 안건은 전혀 실현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가장 좋고 실행 가능한 방법은 현행법을 최대한 활용하여 신규 임용 때 교수들의 자질을 철저하게 검증하는 것이다. 일단 교수로 채용하면 사임시키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닌 한 불가능하다. 그리고 4년과 6년마다 시행되고 있는 재임용 심사를 정말로 이사회가 책임 있게 수행하는 것이다.

이 안건도 그렇지만 이번에 총회에 제출된 상당수 안건들이 교권주의의 냄새를 강하게 풍기고 있다. 필자는 이런 총회의 흐름에 대하여 대단히 우려한다. 우리 고신 교회는 교권주의자들의 횡포로 인해 탄생하였다는 것을 고신에 속한 지도자들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총회의 바른 교권을 세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위계와 통제가 아니라 우리 주님께서 하셨던 것처럼 섬김과 봉사라는 것을 총회의 지도자들은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헌금에 대하여] 그리스도인의 헌금생활의 표준으로서의 십일조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09 By개혁정론 Views6718
    Read More
  2. [헌금에 대하여] 헌금과 예배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08 By개혁정론 Views5706
    Read More
  3. [헌금에 대하여] 헌금의 방법: 헌금바구니, 헌금함, 은행송금?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06 By개혁정론 Views10840
    Read More
  4.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교수들을 어떻게 감독할 것인가 :교권주의를 경계해야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20 By개혁정론 Views6084
    Read More
  5.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교회 한 주간 헌금 청원의 홍수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9 By개혁정론 Views5798
    Read More
  6.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어린이 찬송가 발간에 대한 책임있는 결정이 필요하다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8 By개혁정론 Views6456
    Read More
  7.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재판비용의 예납금 조항은 악법이다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7 By개혁정론 Views5864
    Read More
  8.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미자립 교회 목사의 이중직은 가능한가?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6 By개혁정론 Views6313
    Read More
  9.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누가 공동의회에서 투표권을 가질 수 있는가?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5 By개혁정론 Views6683
    Read More
  10.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교권을 남용하는 상정 안건들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3 By개혁정론 Views5694
    Read More
  11.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제64회 총회에 상정된 안건 분석 및 전망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2 By개혁정론 Views6036
    Read More
  12.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 총회, 그것이 알고 싶다

    이번 기획기사는 '제64회 고신총회 상정안건 분석'입니다. 이번 제64회 고신총회는 9월 23일(화)부터 26일(금)까지 천안의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립니다. 우리 장로교회는 개교회 당회가 그리스도의 통치를 대행한다고 믿지만 개교회주의에 빠지지 않고 교회들...
    Date2014.09.11 By개혁정론 Views6050
    Read More
  13. [교황 방문을 기하여] 천주교인의 신앙생활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11 By개혁정론 Views6015
    Read More
  14. [교황 방문을 기하여] 천주교의 직제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08 By개혁정론 Views6208
    Read More
  15. [교황 방문을 기하여] 가톨릭 교리 바로 보기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07 By개혁정론 Views5818
    Read More
  16. [교황 방문을 기하여] 오직성경: 최고의 권위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06 By개혁정론 Views5963
    Read More
  17. [교황 방문을 기하여] 2차 바티칸공의회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05 By개혁정론 Views5851
    Read More
  18. [교황 방문을 기하여] 개신교는 천주교에서 분리된 교회인가?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8.01 By개혁정론 Views6696
    Read More
  19. [교황 방문을 기하여] 교황은 누구인가?

    이번 기획기사는 '교황방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8월 14-18일)합니다. 교황의 방문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교황의 방문이 새로운 복음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
    Date2014.07.31 By개혁정론 Views7026
    Read More
  20. [설교에 대하여] 설교 토론에서 고려해야 할 것들

    이번 기획기사는 '설교'입니다. '설교하지 마'라는 말처럼 설교가 희화화된 시대입니다. 목사들은 설교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설교에 목숨을 걸라'는 말마저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웃긴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현대 신자들도 목...
    Date2014.07.21 By개혁정론 Views63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기획기사

사설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공적 금식과 공적 기도를 선포하자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
성경 원어의 묘미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8] 고신교...
가정예배로 신앙의 명문 가문을 세...
이 시대에 교인을 어떻게 양육할 수...
고신총회설립 70주년 총회, 무엇을 ...
2022년 총회에 대한 우려...
힘들 때 함께 기도할 수 있어야 가...
고신 교회 제7차 헌법 개정안 초안...
논문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
한국 교회의 위기: 노회의 기능과 역할
한국 장로교회 헌법, 어디로 가야 ...
시찰 없이는 노회는 없다: 노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