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기획기사
조회 수 4884 추천 수 0 댓글 0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지났습니다. 2014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돌아보고자 합니다. 지나간 시간들을 애써 잊으려고 하기보다는 제대로 상기하는 법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 편집위원장


 1. 세월호 사건

2014년도 한국사회를 가장 크게 흔들었던 일은 세월호 사건이었다. 4월 16일 인천을 출발하여 제주도로 향하던 세월호가 진도인근 해상에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당시 이 배에는 476명이 타고 있었는데 그중 295명이 사망하였고 9명이 실종되었다. 더군다나 사망자 혹은 실종자의 대부분이 수학여행을 가던 고등학생들이라 슬픔과 충격은 더욱 컸다. 배가 침몰하는 과정에서 구조를 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일하고 미숙한 대처로 구조하지 못했다는 사실 때문에 온 국민들은 더욱 큰 분노를 가졌다. 그런데 세월호 사건은 하나의 우발적인 사고가 아니었다. 그것은 우리 사회의 실상을 그대로 드러낸 예견된 인재였다. 교회로 잠시 시선을 돌려보자. 지금 우리 교회 안에 세월호가 운항되고 있지 않은지 둘러보아야 한다. 교회가 혹시 큰 사고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야 하며 치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교회 안에 존재하는 부정과 비리와 부패와 안일한 자세를 모두 끄집어내어서 청산해야 한다.

2. 국무총리 임명 무산

2014년 5월과 6월을 뜨겁게 달구었던 사건은 안대희 전 대법관과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의 국무총리 낙마였다. 세월호 사건으로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표를 제출한 후 박근혜 대통령은 안대희 전 대법관을 총리 후보로 추천했지만 후보자는 변호사 시절 고액수입과 전관예우 논란으로 후보에서 자진 사퇴하였다. 그리하여 대통령은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을 총리 후보자로 지명하였다. 그는 ‘기자 출신 첫 총리’라는 타이틀을 달고 등장하였다. 그러나 교회의 장로였던 그는 교회에서 가진 강연회에서 우리나라의 과거사 발언으로 여론의 집중적인 포화를 받았다. 그는 우리나라가 과거에 어려움을 겪었던 이유가 하나님의 뜻이었다고 말했는데, 이 발언은 사회적으로뿐만 아니라 교계에서도 치열한 논쟁이 되었고, 보수적인 진영과 진보적인 진영 사이의 첨예한 대립을 몰고 왔다. 그의 일로 인하여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역사와 하나님의 뜻’이라는 신학적 주제에 대해서 활발한 토론을 벌였으나 결국 입장 차이만을 확인하였고 결론을 내지 못하였다. 이처럼 한국 교회는 많은 주제들에 있어서 너무나 큰 신학적 입장 차이를 가지고 있어서 교회의 연합이 요원함을 절감하게 하였다.

3. 교황방문

2014년 8월에 로마 천주교 교황 프란체스코가 우리나라를 방문했다. 지난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이후 오랜 만에 교황이 방한한 것이다. 마침 세월호 사건과 여타의 일들로 큰 시련을 겪고 있던 우리 국민들에게 그는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으며 특별히 방한 기간 중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향했던 그의 행보는 큰 감동을 주었다. 아마도 우리 국민들에게 그의 방문은 마치 메시아의 강림과 같은 느낌을 주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 개신교인들의 입장에서 그의 방문은 그리 달갑지만은 않았다. 많은 개신교인들이 천주교의 교세확장을 우려하였다. 천주교의 치밀한 정치적 전술이라는 견해도 제기되었다. 그리고 왜 개신교에는 저런 지도자가 없느냐는 안타까움도 자아냈다. 이 일로 우리 개신교는 대대적인 반성과 정비를 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 우리 개신교인들도 국민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문제 제기 말이다.

4. 청와대 문건 유출

2014년 겨울에도 대한민국은 평온하지 못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의 국정개입 의혹과 청와대의 비밀문서 유출로 온 나라가 시끄러웠다. 이 사건은 단순한 비밀문서 유출의 수준을 넘어서 청와대 실세들, 즉 대통령의 측근들 간의 권력암투설로 커졌다. 이에 대하여 대통령은 청와대에 실세가 없다고 못 박았지만 여론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다. 여전히 검찰이 수사를 하고 있는 중이지만 정윤회를 비롯하여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과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등의 주장이 달라서 꼼꼼한 수사가 불가피하다. 어쨌든 이 사건은 나라가 이토록 어려운데 일부 정치인들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하여 암투를 벌이고 있다는 국민들의 따가운 눈초리를 초래하였다. 그런데 교회를 생각해 보면 정치권을 욕할게 하나도 없다. 사실이다. 새해에 교회는 어떠한 암투와 비리도 존재하지 않는 순결한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지도자들 가운데 존재하는 병적인 요소들을 철저히 제거하는 쇄신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5.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2014년을 마무리한 뜨거운 이슈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땅콩회항’ 사건이었다. 조현아 전 부사장의 행동은 힘 있는 사람이 힘 없는 사람을 어떻게 괴롭혀 왔는지 그리고 고생하지 않고 귀한 대접을 받으며 자란 사람이 일반 국민을 어떻게 보는지를 여실히 드러냈다. 정말로 이 사건은 단지 한 대형회사 오너일가의 횡포 에피소드가 아니었다. 그것은 우리 사회에 깊이 만연된 이른바 ‘갑질’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결국 그녀의 일은 전 국민의 공분을 샀다. 언론에서는 ‘갑오년의 갑질’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그녀를 비판했다. 그녀는 지금 구속 수감되었지만 그것으로 모든 문제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수많은 ‘갑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회는 어떤가? 교회에서 담임목사의 갑질은 없는가? 힘 있고 돈 있는 몇몇 직분자들의 갑질은 없는가? 연약하고 어려운 자를 굽어 살피시는 예수님의 마음이 그리운 이때다.

  1. [한 해를 정리하며] 세계교회 5대뉴스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지났습니다. 2014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돌아보고자 합니다. 지나간 시간들을 애써 잊으려고 하기보다는 제대로 상기하는 법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 편집위원장 1. 영국성공회: 여성주교허용과 오리엔트 정교회와의 성육신 이해 합...
    Date2015.01.08 By개혁정론 Views4886
    Read More
  2. [한 해를 정리하며] 한국사회 5대 이슈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지났습니다. 2014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돌아보고자 합니다. 지나간 시간들을 애써 잊으려고 하기보다는 제대로 상기하는 법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 편집위원장 1. 세월호 사건 2014년도 한국사회를 가장 크게 흔들었던 일은 세월호...
    Date2015.01.04 By개혁정론 Views4884
    Read More
  3. [한 해를 정리하며] 개혁정론의 발자취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지났습니다. 2014년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돌아보고자 합니다. 지나간 시간들을 애써 잊으려고 하기보다는 제대로 상기하는 법을 배워야 하겠습니다. - 편집위원장 설요한 기자 개혁정론은 “진리수호와 교회 건설”이라는 모토를 가지고...
    Date2014.12.31 By개혁정론 Views4952
    Read More
  4. [성탄절에 대하여] 이방을 비추는 빛으로 오신 예수님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23 By개혁정론 Views5816
    Read More
  5. [성탄절에 대하여]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18 By개혁정론 Views6086
    Read More
  6. [성탄절에 대하여] 성탄절 바람!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15 By개혁정론 Views6606
    Read More
  7. [성탄절에 대하여] 성탄절이 12월 25일이 된 이유는?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11 By개혁정론 Views6471
    Read More
  8. [성탄절에 대하여] 성탄절의 기원과 역사!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08 By개혁정론 Views12772
    Read More
  9. [성탄절에 대하여] 교회력과 성도의 삶

    이번 기획기사는 '성탄절'입니다. 교회는 세상달력과 다른 교회달력을 만들어 삼위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속사역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거룩한 시간의 흐름을 만든 것입니다. 성탄절이 가까이 다가온 이 시기에 성탄절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성탄절기를 어떻...
    Date2014.12.06 By개혁정론 Views5711
    Read More
  10. [성례에 대하여] 언약 안에 사는 생활: 유아세례에서 성찬까지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1.10 By개혁정론 Views6724
    Read More
  11. [성례에 대하여] 어떤 떡과 포도주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1.06 By개혁정론 Views9247
    Read More
  12. [성례에 대하여] ‘울타리가 없는 성찬’과 ‘울타리가 있는 성찬’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1.04 By개혁정론 Views7135
    Read More
  13. [성례에 대하여] 세례 교육의 필요성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0.30 By개혁정론 Views6303
    Read More
  14. [성례에 대하여] 한국교회에서 성례가 왜 약화되었는가?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0.29 By개혁정론 Views5886
    Read More
  15. [성례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례: 65-68문을 중심으로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0.28 By개혁정론 Views5763
    Read More
  16. [성례에 대하여] 개신교의 두 성례와 천주교의 칠성사

    이번 기획기사는 '성례'입니다. 하나님께서 교회에 은혜를 베푸시는 방편은 오직 '말씀과 성례'입니다. 종교개혁은 중세교회를 비판하면서 말씀 중심의 예배를 회복했지만 성례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반동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이것을 이어받은 것인지 현대...
    Date2014.10.27 By개혁정론 Views8904
    Read More
  17. [헌금에 대하여] 헌금(봉헌)이란 무엇인가?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16 By개혁정론 Views13902
    Read More
  18. [헌금에 대하여] 교회재정 운영의 주체는 누구인가?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13 By개혁정론 Views6727
    Read More
  19. [헌금에 대하여] 헌금 사용의 실태와 바람직한 용도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11 By개혁정론 Views6533
    Read More
  20. [헌금에 대하여] 한국 교회의 각종 헌금, 얼마나 정당한가

    이번 기획기사는 '헌금'입니다. 한국교회는 헌금에 대한 강조로 유명한데, 너무나 왜곡된 이해와 일방적인 가르침이 많습니다. 이에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물질관과 헌금에 대한 가르침을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헌금을 예배와 직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
    Date2014.10.10 By개혁정론 Views62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기획기사

사설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공적 금식과 공적 기도를 선포하자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
성경 원어의 묘미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8] 고신교...
가정예배로 신앙의 명문 가문을 세...
이 시대에 교인을 어떻게 양육할 수...
고신총회설립 70주년 총회, 무엇을 ...
2022년 총회에 대한 우려...
힘들 때 함께 기도할 수 있어야 가...
고신 교회 제7차 헌법 개정안 초안...
논문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
한국 교회의 위기: 노회의 기능과 역할
한국 장로교회 헌법, 어디로 가야 ...
시찰 없이는 노회는 없다: 노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