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개혁정론알림

아래는 전 고려신학대학원 원장을 지내신 허순길 박사와의 대담을 옮긴 것입니다. 본 대담은 지난 3월 19일(목) 오전에 성희찬 목사의 인도로 이루어졌고, 이 자리에는 마산제일교회 교역자들이 함께 참석하였습니다. 이미 아는 대로 허순길 박사는 화란 캄펜 신학대학교를 졸업하시고(1972) 호주 자유개혁교회의 목사로 목회하셨으며(1978-1987),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교수 및 원장(1972-1977; 1988-1999)으로 봉사하셨습니다. 허순길 박사님과의 대담은 총 3회에 걸처 등재 예정입니다.


III. 신대원 원장 선임과 신대원의 독립

 

: 참으로 귀한 말씀들 감사합니다. 교수님을 통해, 한국교회의 현 주소와 앞으로 개혁해 나아가야 할 방향, 그리고 고신교회 목사로서 힘써야 할 부분들에 대해서 귀한 통찰들을 얻었습니다. 교수님께 또 여쭙고 싶은 것이 있는데, 최근 신대원 원장 선임 과정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 사실 이 문제는 내가 깊은 사정을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말하기는 원치 않습니다. 제가 신대원에 일할 때와는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말하기가 꺼려집니다. 지금의 체제 자체가 제 지난날의 개혁주의 생활에서 생각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말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내가 있었을 때에는 신대원이 독립하는 것이 큰 과제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정신이 완전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걸 생각하면 통탄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전에는 거의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법적으로만 독립되지 못했지, 내적으로는 완전히 독립이었습니다. 한 가지 예로 신대원 원장은 4년제로 하되, 독립될 때 까지 고신대학교 총장과 고려신학대학원 원장은 동등한 입장이었습니다. 그래서 무엇인가 결정할 때에는 이사회도 참여 했고, 투표권도 행사 했습니다. 법정 이사가 아니더라도 다 그렇게 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지금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신대원 원장을 다른 대학원 원장과 똑같이 취급해 버리고, 총장의 재청으로 신대원 원장을 세우게 된 것입니다.

 

이번 사태에서 제가 느끼는 것은, 이번에 총장의 독립적인 재청으로 신대원 원장이 선임 됐는데, 이것은 총장이 힘을 갖게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 총장이 와서 격려사를 하는데, 무슨 책망도 하고, 주인 행사 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너무 허탈하게 생각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하나님의 이적이 아니고서는 참 돌이킬 수 없는 형편까지 와 버렸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이사회와 신학대학원 교수들이 한 마음이 되어서 나가도 참 어려운 형국인데, 지금 보니까 한 마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것을 볼 때에 너무 실망이 됩니다.

 

원장이 취임사를 하면 일반적으로는 다른 교수들이 손뼉을 치는데, 이번 졸업식에서는 교수들 중에 아무도 손뼉을 안치고 앉아 있는 것을 봤습니다. 이것을 보고 너무 실망이 되었습니다. 골이 너무 깊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도무지 해결 방안이 없어 보입니다. 저는 이제 멀리 있는 사람이니까 하나님께서 어떤 동기나 길을 열어주시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을 하지만, 너무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그리고 신학대학원은 독립이 되어야 합니다. 독립이 되지 않고는 교회를 제대로 봉사하는 학교가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 나갈 것인지 참 염려가 됩니다.

 

지금 이사들의 구성이 장로 수가 더 많고 목사 수가 몇이 안 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대학과 대학 안에 있는 복음 병원은 하나의 기업체입니다. 대학이 기독교교육이라고 하지만, 객관적으로는 기업체이기 때문에 기업체라면 지금의 이사진의 구성이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목사가 그런 일에 관여할 필요가 없고, 일반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잘 해 나가면 됩니다.

 

하지만 신학대학원은 다릅니다. 신학대학원은 사실상 목사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화란 같은 경우, 신학대학원의 이사가 다 목사입니다. 목사와 경제를 책임지는 사람들 중에 장로 몇 사람이 들어 있습니다. 신학교의 이사들은 신학교의 운영뿐만 아니라 신학적인 면에도 감독을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것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 형국입니다. 목사들이 아이디어가 없고, 교회관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것 참 문제입니다. 누가 이 상황을 해결 하겠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개혁교회의 개혁주의 입장을 따라 독립되었다고 생각하면, 신학대학원 원장을 선임하는 것은 이사회의 책임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이사회가 교회를 대표하는 분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이사회에 윤번제면 윤번제룰 실시하면 될 노릇입니다.

 

사실 저는 교수들이 원장을 추천한다는 것은 동의하지 않습니다. 교수들은 그저 가르치는 것에 관심을 가질 것이지, 거기에 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어쨌든 신학대학원 교수회도 하나의 공동체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정치력이 개입할 수밖에 없습니다. 목사들이나 교수들도 다 (세속적으로 말하면) 야심이 있는데, 그 구성원들 간에 오고가는 이야기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교수들이 이런 일에 연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 점에서 교수회의 추천에 의해 신학대학원 원장을 선임하는 것도 잘못이라 생각합니다. 이것이 내가 은퇴 하고 나서 그런 것이 생겼습니다.

 

신학대학원 원장이 탁월한 행정가가 아닐 수 있습니다. 분명 부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럴 때일수록 교수들은 돕고, 이해하고, 채워주고 이렇게 해나가야 일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부실하다고 해서 트집을 잡고, 비판하고, 이렇게 해서 일이 되지 않습니다.

 

원리적으로 교수들이 이 일에 관여됨으로 말미암아 유익할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IV. 교회 쇠퇴와 회복 - 참된 복음의 선포

 

: 개혁정론이 1주년 되면서, 한국교회가 양적 성장을 멈추고 점점 퇴보하고 있는데, 한국교회가 여전히 수용하거나 인정하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지금 교회 쇠퇴를 인정하고, 이런 시대에 목회 방향이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인가? 교인들은 어떻게 신앙생활을 해야 하는가? 신학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주제들을 다루고자 합니다.

 

양적성장을 멈춘 시대에, 전도 집회가 의미가 있겠는가? 그것을 인정하지 않고 계속 나가고 있는 현실에서 교회나 목사가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 깊이 생각해 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지금까지는 한국교회 강단에서 참된 복음 보다는, 번영의 신학, 치유의 신학과 같은 흐름을 따랐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이런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교회가 사실상 복음의 핵심을 비껴 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이것이 올 때 까지 와버렸습니다. 큰 교회나, 큰 교회 목사들의 비리들이 다 들춰지고 있습니다. 참 부끄러운 것이 다 드러났습니다. 이제 교회가 세상 앞에 벌거벗겨진 것입니다. 교인들도 마찬가지고, 목사들도 다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성장이 멈춰져 버린 것입니다. 이제는 교회가 세상의 하나의 공동체와 같아져 버렸습니다.

 

어떤 교회가 거리에 있어서, 밤이 되면 거리 앞에 불을 켜 놓고 동네 주민들이 지나다니고 있었는데, 이제는 전기세 아낀다고 불을 안 켜니까 사람들이 이 교회는 어지 간이 안 되는가 보다.”라고 생각합니다. 교회가 사업체 비슷해 지고 있습니다.

 

이제 나는 다른 것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정말 복음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성실하게 참된 복음을 전하는 것 외에 다른 일이 없습니다. 이것이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 사람들이 복음을 찾아 올 수 있도록, 거짓 영의 복음이 아니라, 정말 영혼 구원을 위한 복음. 이것에 성실한 것. 이것만이 살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012.JPG

▲ 허순길 박사 ⓒ 염덕균


V. 설교와 설교자

 

: 교수님 좀 전에 강단을 통한 장로교와 고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장로교, 혹은 고신 교회의 설교자가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해 교수님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 목사들이 말씀 증거에 있어서 겸손해야 합니다. 한국 목사들은 너무 자기고집이 강합니다. “이것은 목사의 언권인데 왜 간섭하느냐!”, “목사의 고유권한인데 어디 그런말 하느냐!” 거의 다 그런 식입니다. 절대 그래서는 안 됩니다.

 

목사가 실수할 수 있고, 혹 성도들이 제대로 이해를 잘 못해서 묻는 수도 있고, 어쨌든 그런 것이 나올 때는 겸손해야 합니다. 그 자리에서 이해시킬 수 있으면 이해시키고. “한 번 더 생각해 보겠습니다”, “말해줘서 고맙습니다라고 말해야 합니다.

 

OPCPCA 교회정치를 보면, 장로가 목사의 교리와 생활에 대해 살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개혁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설교에 대해서 목사의 고유권이라고 하고 완전히 거기에 대해서 배척하면 안 됩니다. 이 면에 있어서 충분한 수용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교인들이 목사의 설교에 대해 말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개혁교회는 설교토론시간이 있습니다. 당회의 설교 토론시간이 있습니다. 너무 자주 있는 것은 아니고 1년에 4번 정도 당회 정식 안건에 오릅니다. 보통 Sermon Discussion이라고 하는데, 그때 목사의 설교에 대해서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목사가 한참 정신을 차리고, 절대로 설교에는 헛말을 안 하므로 거의 걸리는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제도가 있음으로 해서 목사를 목사 되게 만듭니다. 강단에서 하는 한마디 한마디가 하나님 말씀의 봉사이므로, 한마디 한마디가 바로 인쇄를 해도 될 만큼 그만큼 정신을 기울여야 하는 겁니다. 이것이 개혁교회 목사들의 신념입니다. 이 면에 있어서 우리가 항상 겸손해야 합니다. 장로나 교인들 앞에서 늘 겸손해야 합니다.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No Image

    후원계좌 변경

    개혁정론 후원계좌 변경 개혁정론에 관심과 후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개혁정론은 최근에 후원계좌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 부탁드립니다. 개혁정론은 전적으로 여러분들의...
    Date2017.07.20 By개혁정론 Views102
    Read More
  2. 제7회 개혁정론 포럼 예고

    <제7회 개혁정론 포럼 예고> 개혁정론에서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포럼을 개최합니다. 어느새 7회를 맞은 이번 포럼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동안 주로 대구와 부산에서 모였는데 이번에는 빛고을 광주(光州)에서 열리게 되는 첫 포럼입니다. 호남지역...
    Date2017.07.20 By개혁정론 Views1723
    Read More
  3. No Image

    [社告] 연구위원 위촉

    社告 개혁정론에서는 아래와 같이 연구위원을 위촉하였습니다. 조재필 목사(위원장) 안정진 목사 박창원 목사 양명지 목사 2017년 7월 4일 개혁정론 운영위원장
    Date2017.07.19 By개혁정론 Views263
    Read More
  4. Book 콘서트 『교리문답으로 배우는 장로교 신앙』

    <Book 콘서트> 『교리문답으로 배우는 장로교 신앙』 (김진흥 著, 생명의 양식 刊) 일시: 2017년 4월 25일(화) 저녁 5시 30분 (저녁식사 제공) 장소: 대구산성교회당(황원하 목사 시무, 대구 북구 대동로 52-12) 참가비: 5,000원 (대구은행 508-11-421135-3 ...
    Date2017.04.09 By개혁정론 Views1311
    Read More
  5. 제6회 개혁정론 포럼; 회개와 성화

    제6회 개혁정론 포럼; 회개와 성화 손재익 객원기자 제6회 개혁정론 포럼이 2017년 2월 13일(월) 오전 10시 신안교회당(경기도 군포시 소재, 최경훈 목사 시무)에서 열렸다. 개혁정론은 매년 2월과 8월에 포럼을 통해 개혁정론을 소개하고, 개혁정론 운영위원...
    Date2017.02.16 By개혁정론 Views739
    Read More
  6. No Image

    제6회 개혁정론 포럼 예고

    제6회 개혁정론 포럼 예고 개혁정론에서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포럼을 개최합니다. 어느새 6회를 맞은 이번 포럼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동안 주로 대구와 부산에서 모였는데 이번에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시는 독자들을 위하여 군포에서 개최합니다...
    Date2017.01.04 By개혁정론 Views2277
    Read More
  7. No Image

    개혁정론, 이번 여름에도 포럼을 준비하다

    개혁정론, 이번 여름에도 포럼을 준비하다 ‘성경과 과학, 부목사, 교회 문턱’을 주제로 손재익 객원기자 제5회 개혁정론 여름포럼이 8월 23일(화) 오전 10시 부산동교회당(현광철 목사 시무, 부산광역시 남구 지게골로 128-38/051-642-6555)에서 개최된다. 매...
    Date2016.08.06 By개혁정론 Views797
    Read More
  8. 제5회 개혁정론 여름 포럼

    <제5회 개혁정론 여름 포럼> 1. 일시: 2016년 8월 23일(화) 10시 - 5시 2. 장소: 부산동교회당 (현광철 목사 시무, 부산광역시 남구 지게골로 128-38, 051-642-6555) 3. 사전접수: 선착순 60명, 등록비 5,000원(교재, 식사, 간식 포함) 4. 등록계좌: 대구은행...
    Date2016.07.07 By개혁정론 Views1990
    Read More
  9. No Image

    개혁정론 특별강연 (김진흥 교수) 음성 파일

    제목: 말씀으로 하나되는 교회; 아우구스티누스, 칼빈,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교회론 소고 강의자: 김진흥 교수 (교회사) 강의일시: 2016년 4월 18일(월) 저녁 7시 30분 장소: 부산동교회당
    Date2016.04.21 By개혁정론 Views2467
    Read More
  10. 하나이면서 거룩한 교회, 그 고민

    하나이면서 거룩한 교회, 그 고민 - 개혁정론 특별강연 손재익 객원기자 2016년 4월 18일(월) 저녁 7시 30분 부산동교회당(현광철 목사 시무)에서는 개혁정론 특별강연이 있었다. 지난 3월 22일 서울에서 특별강연을 개최한 바 있는 개혁정론은 부산에서도 특...
    Date2016.04.20 By개혁정론 Views1437
    Read More
  11. 개혁정론 특별강연 - 김진흥 교수 초청

    개혁정론 특별강연 ‘말씀으로 하나되는 교회’ – 아우구스티누스, 칼빈, 개혁주의가 가르치는 교회 지난 3월 23일 권수경 목사를 초청하여 서울에서 특별강연을 가진 바 있는 개혁정론이 이번에는 부산에서 아래와 같이 특별강연을 가집니다. - 아 래 - 일시: ...
    Date2016.04.04 By개혁정론 Views1705
    Read More
  12. 한국교회를 회복하려면 번영의 복음에서 벗어나야; 개혁정론 특별강연

    한국교회를 회복하려면 번영의 복음에서 벗어나야 개혁정론 특별강연 손재익 객원기자 2016년 3월 22일(화) 저녁 7시 30분 압구정교회당(노은환 목사 시무)에서는 개혁정론 특별강연이 있었다. 개혁정론은 그동안 매년 2월과 8월에 각각 포럼을 개최했는데 계...
    Date2016.03.24 By개혁정론 Views2058
    Read More
  13. No Image

    개혁정론 특별강연 (2016년 3월 22일)

    <개혁정론 특별강연 – 권수경 목사> 일시: 2016년 3월 22일(화) 저녁 7시 30분 장소: 압구정교회당(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 1번출구, 압구정 현대백화점 건너편) (노은환 목사 시무 /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29길 17 / 전화: 02-540-4400) 제목: 가시떨기에서...
    Date2016.03.05 By개혁정론 Views1865
    Read More
  14. No Image

    <홈페이지 접속 장애 및 복구>

    <홈페이지 접속 장애 및 복구> 지난 25일(목) 새벽부터 28일(주) 오전까지 개혁정론 홈페이지의 접속에 장애가 있었습니다. 이는 홈페이지를 운영관리하는 업체의 클라우드 서버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것이었는데,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저희 홈페...
    Date2016.02.28 By개혁정론 Views873
    Read More
  15. [광고] 개혁정론 겨울 포럼 (주제: 목사의 위치, 역할, 그리고 청빙)

    ※ 이번 포럼에 참석하시면 개혁정론의 글 중 엄선된 것만 모아 만든 아래 사진의 책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참석 바랍니다. <제4회 개혁정론 포럼> 다음과 같이 포럼이 열립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목사의 위치와 역할과 청빙방법을 제시하며, 교육기관...
    Date2016.01.06 By개혁정론 Views2698
    Read More
  16. 2016 새해 인사

    주여, 주는 대대에 우리의 거처가 되셨나이다(시편 90:1) 여호와여 돌아오소서 언제까지니이까(시편 90:13) 2016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새해 인사를 드립니다. 지난 한 해 동안 개혁정론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후원해주시고 지도해주셔서 감사드...
    Date2015.12.31 By개혁정론 Views1737
    Read More
  17. 제3회 개혁정론 포럼 열리다

    개혁정론 주관으로 열리는 제3회 개혁정론 컨퍼런스가 지난 8월 17일(월), “성도의 교제와 교회정치”라는 주제로 대구의 산성교회당(황원하 목사)에서 열렸다. 교회 안에서 수평적이고 비성경적인 성도의 교제에 관한 해석이 난무한 이때에, 개혁정론은 개혁...
    Date2015.08.18 By개혁정론 Views3764
    Read More
  18. 허순길 박사님과의 대담.03 - 신대원 원장 선임, 교회 쇠퇴와 회복, 설교와 설교자

    아래는 전 고려신학대학원 원장을 지내신 허순길 박사와의 대담을 옮긴 것입니다. 본 대담은 지난 3월 19일(목) 오전에 성희찬 목사의 인도로 이루어졌고, 이 자리에는 마산제일교회 교역자들이 함께 참석하였습니다. 이미 아는 대로 허순길 박사는 화란 캄펜...
    Date2015.04.04 By개혁정론 Views5511
    Read More
  19. 허순길 박사님과의 대담.02 - 정체성의 회복, 예배의 통일과 직분의 개혁

    아래는 전 고려신학대학원 원장을 지내신 허순길 박사와의 대담을 옮긴 것입니다. 본 대담은 지난 3월 19일(목) 오전에 성희찬 목사의 인도로 이루어졌고, 이 자리에는 마산제일교회 교역자들이 함께 참석하였습니다. 이미 아는 대로 허순길 박사는 화란 캄펜 ...
    Date2015.04.02 By개혁정론 Views5096
    Read More
  20. 허순길 박사님과의 대담.01 - 정체성의 회복, 강단과 교리교육으로부터..

    아래는 전 고려신학대학원 원장을 지내신 허순길 박사와의 대담을 옮긴 것입니다. 본 대담은 지난 3월 19일(목) 오전에 성희찬 목사의 인도로 이루어졌고, 이 자리에는 마산제일교회 교역자들이 함께 참석하였습니다. 이미 아는 대로 허순길 박사는 화란 캄펜 ...
    Date2015.03.31 By개혁정론 Views55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사설
[사설] 성찬상을 모독하지 마라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고재수의 삶과 고신 교회
고재수 교수의 가르침과 우리의 나...
고재수의 신학과 고신교회
동료로서 본 고재수 교수의 고려신...
고재수 교수의 한국 생활과 사역
고재수 교수의 생애
10월 27일, 어떻게 모일 것인가?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1
캐나다에서 동성애를 죄라고 설교할...
10월 27일 광화문 집회 논란을 통해...
논문
송상석 목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
송상석 목사와 고신 교단 (나삼진 ...
송상석 목사의 목회와 설교 (신재철...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