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신대학교
2014년 7월 17일(목)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은 <칼빈작품전집> 데이터베이스(Database) 구축 기념행사를 가졌다. 학술원이 4년 전부터 추진해 오던 숙원사업으로 <칼빈작품전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역사적인 기념행사를 가진 것이다.
기념행사는 고신대 김현태홀에서 이상규 개혁주의학술원장(신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1부 예배는 학술원 부총무이사 박원택 목사(포항충진교회)의 기도로 시작하여 학술원 이사장 김철봉 목사(사직동교회)가 디모데후서 3장 14-17절 “누구에게서 배우느냐?”는 제목으로 설교한 후, 고신대 총장 전광식 목사(신학과 교수)의 축도로 마쳤다.
2부 순서에서는 먼저 학술원 감사이사 장희종 목사(대구명덕교회), 교목실장 조성국 교수(기독교교육과 교수), 전 학술원장 이환봉 교수(신학과 교수)의 축사와 감사패 전달식을 가졌다. 감사패는 학술원 숙원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2천만 원의 후원한 모든민족교회 최정철 목사(개혁주의학술원 총무이사)에게 전달되었다. 이어서 사업에 대한 경과보고와 사용설명 및 시연으로 모든 기념행사를 마쳤다.
<칼빈작품전집>이란 요한 빌헬름 바움(Johann Wilhelm Baum), 아우구스트 에두아르트 쿠니츠(August Eduard Cunitz), 그리고 에두아르트 로이스(Eduard Reuss)가 1863년부터 시작하여 1900년에 마무리 편집한 <남아 있는 장 칼뱅 작품 전집>(Ioannis Calvini opera quae supersunt omnia)을 의미하는데, 모두 59권으로 편집 출판되었다. 제목 그대로 당시에 남아 있는 모든 칼빈 저술들을 모아놓은 수집본이다.
<칼빈작품전집>은 흔히 “CO”라는 약자로 표기되지만, 다른 종교개혁자들인 필립 멜랑흐톤(Philiph Melanchthon)과 훌드리히 쯔빙글리(Huldrich Zwingli)의 저서들도 포함된 <종교개혁가들의 작품집>(Corpus Reformatorum)이라는 출판물의 29-87권에 해당되기 때문에 때로는 “CR”이라는 약자로 언급되기도 한다. 즉 <칼빈작품전집>의 첫 권은 “CO 1”이나 “CR 29”로 표기된다는 뜻이다. <칼빈작품전집>은 아직까지 칼빈 연구를 위한 최고의 일차자료이다. 최근에 칼빈 연구를 위한 비평편집본이 1992년부터 출판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속도가 느리긴 하지만 꾸준히 출간되고 있다. 이 비평편집본의 완성은 앞으로 몇 년, 아니 몇 십 년이 걸릴지 모를 일이다.
<칼빈작품전집>에서 1-4권은 <기독교강요>를, 5-9권은 주로 소논문들을, 10-20권은 서신들을, 21권은 칼빈 전기를, 22권은 1-21권의 색인을, 23-44권은 구약성경에 관한 주석과 설교를, 45-55권은 신약성경에 관한 주석과 설교를, 56-57권은 칼빈의 불어성경을, 58-59권은 한 권 속에 묶어서 빠진 설교 추가 내용과 23-55권의 색인을 담고 있다.
바로 이 <칼빈작품전집>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이 세계 최초로 데이터베이스화 했다는 것이다. 고신대학뿐만 아니라, 고신교단, 나아가 한국교회의 쾌거다. 이 데이터베이스 제작은 개혁신학의 뿌리인 칼빈 사상 연구를 위해 요긴한 도구가 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칼빈이 어떤 단어를 몇 회 어디에 사용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칼빈 저술을 위한 라틴어사전과 불어사전을 제작하는 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문의 라틴어 의미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라틴어사전이 장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영어로 번역되어 있는 칼빈 저술들의 상당 부분을 원문과 대조해서 볼 수 있도록 제작했다.
앞으로 이 데이터베이스를 아이패드용 앱(App.=application)으로 제작하여 전 세계에 판매할 계획이다. 이런 일련의 일들을 통해 분명 고신대는 개혁주의라는 정체성을 더욱 분명하게 할 수 있을 것이요, 고신의 개혁주의 위상 또한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고신대학교 언론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