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최종편집
고신
조회 수 635 추천 수 0 댓글 0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 번역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교회를 고려파라고 부른다. 이 표현은 고려신학교를 지지하는 교회라는 뜻이다. 1946년 7월 한상동 목사를 중심으로 구성된 고려신학교 설립기성회는 진해읍교회당에서 열린 대한예수교장로회 경남노회 제47회 임시노회에 신학교 신설의 인허와 협조를 요청한다. 이 요청을 경남노회는 받아들였다. 이 때 고려신학교 설립기성회는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를 작성하여 공포한다.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는 이상규 교수의 『한상동과 그의 시대』와 허순길 교수의 『한국장로교회사』를 비롯한 몇몇 책에 수록되어 있지만, 황대우 교수가 이번에 『고려파교회의 정체성 개관』(한상동 목사 서거 40주년 준비위원회)에 실린 자료를 본문으로 새롭게 번역했다.

   아래의 번역은 지난 4월 2일 고신대 개혁주의 학술원 전시관을 개관하면서 고신대학교의 역사를 소개하는 자료를 위해 번역한 초벌 번역을 일부 수정한 것이다. 번역을 아래에 싣는다.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高麗神學校 設立趣旨書)

 

 

한문번역: 황대우

 

 

1. 우리 조선교회(朝鮮敎會)는 과거(過去) 육십여성상(六十餘 星霜)에 양적(量的)으론 장족진보(長足進步)를 하였다고 자타(自他)가 공인(公認)하는 바임니다. 그러나 질적(質的)으로 신학(神學)이 어리고 경건(敬虔)이 여무지지 못한 것은 유감으로 늣겨지는 바임니다. 제이차전쟁(第二次戰爭)이 있을 동안 일정하(日政下)의 폭학(暴虐)한 핍박(逼迫)은 우리 교회(敎會)의 품질(品質)을 들러낸 불시험이엇음니다. 그 불시혐의 결과(結果)에 대하야 그리스도의 신(神)이 잇는 자(者)로서 분개(憤慨)하야 반성(反省)코 정립(正立)하지 안니치 못함니다. 우리는 이로부터 교회(敎會)의 품질(品質)을 좌우(左右)하는 정통신학운동(正統神學運動), 곳 명백(明白)한 정통체계(正統體系)를 잇는 진리운동(眞理運動)을 급요(急要)하는 바임니다.

   신학운동(神學運動)이라고 하야 오인(吾人)은 백과사전식(百科辭典式) 종교적지식(宗敎的知識)을 교수(敎授)하는 것을 목표(目標)하지 않고 성경(聖經)의 독자적신임성(獨自的信任性 αυτοπιστις)을 믿는 개혁교신학(改革敎神學)의 원칙(原則)에 확립(確立)하야 밝히도 정(正) 부[정](不正)와 시비(是非)를 단(斷)하는 칼빈주의(主義) 신학(神學)을 수립(樹立)코자 하는 바임니다. 그리하야써 우리 교계(敎界)의 신앙사상상(信仰思想上) 혼란(混亂)을 개정(改正) 또는 통일(統一)하려고 간원(懇願)하야 마지 않슴니다.

 

 

2. 현하(現下) 우리 조선민족(朝鮮民族)은 독립국가(獨立國家)를 건설(建設)하여야 할 천재일우(千載一遇)의 호기(好期)에 처(處)하엿다. 우리의 건국(建國)은 진리(眞理)를 그 기초(基礎)로 하지 아니하면 않된다. 진리(眞理)는 곳 성경진리(聖經眞理) 임니다. 과거(過去)의 인류역사(人類歷史)를 살피건대 국가흥망(國家興亡)이 진리(眞理)에 대(對)한 순종여부(順從與否)에서 좌우(左右)된 것임니다. 고대(古代)의 강국(强國)이엿든 애급(埃及), 아수리, 바벨론 등(等)이 지시(指示) 하나님의 진리(眞理)를 순종(順從)치 아니하였으므로 망(亡)하엿고 현대(現代)에 독일(獨逸)과 일본(日本)도 역시(亦是) 그 괴멸(壞滅)된 이유(理由)가 하나님을 거사린데 잇고 다른데 잇지 않슴니다. 독일민족(獨逸民族)은 과학적(科學的)으로 첨단(尖端)을 거럿고 그 학술상(學術上) 두뇌(頭腦)가 우수(優秀)하엿스나, 단지(但只) 성경(聖經)을 믿지 않고 도로혀 성경(聖經)을 파괴적(破壞的)으로 비평(批評)하는데만 발달(發達)한 것임니다. 고등비평(高等批評)과 신신학(新神學)의 발원지(發源地)는 독일(獨逸)이엿슴니다. 이런 불신앙신학(不信仰神學)이 극도(極度)로 발달(發達)하엿스니 과학발달(科學發達)이 엇더케 국가(國家)의 생명선(生命線)이 될 것임닛가?

   그와 반면(反面)에 미국(美國)은 인류역사(人類役事)가 잇슨 후(後)에 지상(地上)에 유일(唯一)한 지복국가(祉福國家)로 자타(自他)가 인정(認定)함니다. 그 나라는 엇지하야 그러케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지복국가(祉福國家) 되엿슴닛가? 그 이유(理由)는 그 건국정신(建國精神)이 유일무이(唯一無二)하게도 성경진리(聖經眞理)에 기(基)한 까닭임니다. 미국(美國)의 국조(國祖)들이 구주(歐洲)에서 핍박(逼迫)밧아 피(避)하여간 기독신자(基督信者)들이엿고, 그 나라의 헌법(憲法)의 기본(基本)은 성경(聖經)의 「신명기(申命記)」엿슴니다. 독특(獨特)히 성경진리(聖經眞理)에 기초(基礎)한 국가(國家)이기 때문에 그런 독특(獨特)한 축복(祝福)을 받은 것임니다. 이것은 삼척동자(三尺童子)라도 지적(指摘)할 수 잇는 명약관화(明若觀火)의 사실(事實)임니다.

   우리 조선(朝鮮)은 성경진리(聖經眞理)에 기(基)하야 건립(建立)되는 국가(國家)가 되어야 할 것은 너무도 급박(急迫)한 요구(要求)이다. 그러하랴면 성경(聖經)의 진리(眞理)가 진리(眞理) 그대로 이 강산(江山)에 높이 들니위야 할 것임니다. 우리는 물론(勿論) 하나님의 나라를 구(求)하는 의미(意味)에서 정통진리(正統眞理)의 운동(運動)을 필요(必要)로 하는 바이지만 보통은혜원리(普通恩惠原理)의 영역(領域)에서 조국(祖國)을 주님의 진리(眞理)대로 밧들어야 함니다. 몬저 천국(天國)을 구(求)하는 진리운동(眞理運動)이야말로 참되고 건실(健實)하고 성과(成果)잇는 건국협력(建國協力)까지 되어 진다고 오인(吾人)은 확신함니다. 오인(吾人)은 이 의미(意味)에서도 성경진리(聖經眞理)를 그대로 바루 해명(解明)해 전(傳)하는 정통신학운동(正統神學運動)을 급무(急務)하려 합니다.

 

 

3. 또 한 가지 닞어서 않될 사실(事實)은 신학운동(神學運動)이야말로 참된 문화운동(文化運動)이라는 것임니다. 현대문명(現代文明)의 원천(源泉)은 성경(聖經)이라고 생각하지 안니치 못함니다. 창세기일장(創世記一章)의 인생관(人生觀)은 곳 인생(人生)을 자연정복자(自然征服者)로 보는 것임니다.(창1:28, 2:19) 그러므로 고래(古來)의 기독신자(基督信者)들은 자연(自然)을 숭배(崇拜)하지 안코 그것을 접근(接近)히 하야 연구(硏究)한 것임니다. 그러나 이방인(異邦人)은 진리(眞理)를 아지 못하고 자연(自然)을 숭배(崇拜)하고 영적(靈的)으로 지적(知的)으로 암흑세계(暗黑世界)에 빠지고만 것임니다. 대학제도(大學制度)는 어데서 왓슴닛가?

   그것은 구주(歐洲)서 기독교회(基督敎會)가 창립(創立)한 것이 안님닛가? 역사(歷史)가 오랜 켐부리지, 옥스포드 대학(大學) 등(等)이 지시(指是) 교회대학(敎會大學)으로 출발(出發)한 것임니다.

   고로 우리는 문화운동(文化運動)도 몬저 천국(天國)을 구(求)하는 정통신학운동(正統神學運動)에 수반(隨伴)되여 가장 참되게 일워진다고 믿는 바임니다.

 

 

주후일구사육년(主後一九四六年) 성하(盛夏) 기(紀)

 

 

 

 

고려신학교 설립취지서

 

 

한문번역 및 현대어체: 황대우

 

 

1. 우리 조선교회가 과거 육십년 정도의 역사 속에서 양적으로는 장족의 진보를 하였다고 자타가 공인합니다. 그러나 질적으로는 신학이 어리고 경건이 여물지 못한 것은 유감으로 느껴집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제 치하에서 벌어진 포악한 핍박은 우리 교회의 품질을 드러낸 불시험이었습니다. 그 불시혐의 결과에 대해 그리스도의 영을 가진 자들은 분노하여 반성할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를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회의 품질을 좌우하는 정통신학운동 곧 명백한 정통체계를 이어가는 진리운동을 시급하게 요청합니다.

   신학운동을 통해 우리는 백과사전적인 종교 지식을 가르치는 일을 목표로 삼지 않고, 성경의 자증성(αυτοπιστις)을 믿는 개혁신학의 원칙을 지지함으로써 바른 것과 바르지 못한 것을 밝히고, 시시비비를 가리는 칼빈주의 신학을 수립할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교계의 신앙 사상적 혼란을 개정하고 통일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 지금 우리 조선민족은 독립국가를 건설할 수 있는 천재일우의 호기를 맞았습니다. 우리의 건국은 진리를 그 기초로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진리는 곧 성경진리입니다. 과거의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국가흥망이 진리에 대한 순종여부에 좌우되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의 강국들이었던 애굽과 앗수르와 바벨론이 하나님의 진리를 순종하지 않았기 때문에 망하였고 오늘의 독일과 일본도 역시 멸망한 이유가 하나님을 거역한 것 외에 달리 없습니다. 독일 민족은 과학적으로 첨단을 달렸고 학술적 두뇌가 우수했지만 다만 성경을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경을 파괴적으로 비평하는 일에만 발달한 것입니다. 고등비평과 새로운 신학의 발원지는 독일이었습니다. 이런 불신앙적 신학이 극도로 발달하였으므로 과학의 발달이 어떻게 국가의 생명선이 되겠습니까?

   반면에 미국은 인류가 시작된 후 지상에 유일한 복지국가로 자타가 인정합니다. 그 나라는 어떻게 그런 유일무이한 복지국가가 되었습니까? 그 이유는 건국정신이 유일무이하게도 성경진리에 기초한 까닭입니다. 미국의 조상들은 서구 유럽에서 핍박을 받아 피난 온 기독교 신자들이었고, 그 나라 헌법의 기본은 성경의 ‘신명기’였습니다. 특히 성경진리에 기초한 국가이기 때문에 그런 특별한 축복을 받은 것입니다. 이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명약관화한 사실입니다.

   우리 조선이 성경진리에 기초하여 건립되는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너무도 시급한 요구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성경의 진리가 진리 그대로 이 강산에 높이 들려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물론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는 의미에서 정통진리의 운동이 필요하지만 일반 은혜 원리의 영역에서 조국을 주님의 진리대로 받들어야 합니다. 먼저 천국을 구하는 진리운동이야말로 참되고 건실하고 성과 있는 건국에 이바지 하는 일이 된다고 우리는 확신합니다. 우리는 이런 의미에서도 성경진리를 그대로 바르게 해석하여 전하는 정통신학운동을 시급하게 벌이려고 합니다.

 

 

3. 또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은 신학운동이야말로 참된 문화운동이라는 것입니다. 현대문명의 원천은 성경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창세기 1장의 인생관은 곧인생을 자연의 정복자로 보는 것입니다.(창1:28, 2:19) 그러므로 옛날부터 기독교 신자들은 자연을 숭배하지 않고 그것을 가까이 하여 연구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방인은 진리를 알지 못해 자연을 숭배하고 영적으로 지적으로 암흑세계에 빠지고 만 것입니다. 대학제도는 어디서 왔습니까?

   그것은 서구 유럽의 기독교회가 창립한 것이 아닙니까? 역사가 오래된 캠브리지와 옥스퍼드 대학 등은 사실 교회대학으로 출발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문화운동도 먼저 천국을 구하는 정통신학운동에 수반되어야 가장 참되게 이루어진다고 믿습니다.

 

 

주후 1946년 여름에 기록함.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13] 개정헌법의 일부 재개정은 불가

    [73회 고신총회 소식 13] 개정헌법의 일부 재개정은 불가 지난 2023년 7월에 공포된 개정헌법의 일부 조항에 대한 재개정은 당분간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부산노회, 부산동부노회, 부산중부노회는 이번에 개정된 헌법 중 명예직, 주일 공예배, 은퇴목사의 노...
    Date2023.09.25 Views129
    read more
  2.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12] 고신대는 살려야 하지만, 돈은 줄 수 없다?

    [73회 고신총회 소식 12] 고신대는 살려야 하지만, 돈은 줄 수 없다? 73회 고신총회(2023년)의 주요 관심사는 고신대학교 문제였다. 총회가 마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총장 선출 전이었으며, 고신대학교의 재정적 어려움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기 때문이었다...
    Date2023.09.25 Views184
    read more
  3.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11] 동물장례식은 할 수 없다

    [73회 고신총회 소식 11] 동물 장례식은 할 수 없다 고신총회는 동물에 대해 장례 예식을 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지난 몇 차례의 총회 시 반려 동물에 대한 신학적 입장을 정리해 달라는 청원이 있었으나, 그동안 총회는 이런 문제를 굳이 다룰 필요가 없...
    Date2023.09.25 Views97
    read more
  4.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10] 로잔대회 참여는 연구 완료시까지 유보

    [73회 고신총회 소식 10] 로잔대회 참여는 연구 완료시까지 유보 제4차 세계로잔대회에 고신총회가 참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보고서가 나오기까지 유보하기로 했다. 총회는 경기북부노회장 송성규 목사가 청원한 “제4차 세계로잔대회(신복음주의)...
    Date2023.09.25 Views74
    read more
  5.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9] 강원노회는 현행대로 존속하기로

    [73회 고신총회 소식 9] 강원노회는 현행대로 존속하기로 한동안 논란이 되었던 강원노회는 현행대로 존속하며, 화해와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총회 둘째 날(20일) 저녁, 72회기 ‘강원노회 총회 전권 위원회’는 보고를 통해, 강원...
    Date2023.09.25 Views102
    read more
  6.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8] 특별위원회 구성을 총회에서

    [73회 고신총회 소식 8] 특별위원회 구성을 총회에서 서울남부노회장 강종안 목사가 발의한 ‘특별위원회 구성에 관한 청원’건이 받아들여져서 총회 기간 중에 특별위원회가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서울남부노회는 특별위원회를 총회 파회 후 임...
    Date2023.09.25 Views95
    read more
  7.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7] 법인 이사 감사 추가 선출

    [73회 고신총회 소식 7] 법인 이사 감사 추가 선출 법인과 준법인 이사 및 감사에 대한 추가 선출이 있었다. 총회 첫째 날(19일) 오후 총회 임원을 비롯한 법인과 준법인의 이사 감사 선출이 있었다. 하지만, 입후보자가 부족하여 추가 모집을 하였고, 이에 ...
    Date2023.09.25 Views79
    read more
  8.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6] 정년 은퇴 유예 보고서는 받되 시행은 불가

    [73회 고신총회 소식 6] 정년 은퇴 유예 보고서는 받되 시행은 불가 총회 신학위원회가 보고한 ‘항존직 시무 연장에 관한 연구’ 보고서는 받되, 실제 시행은 헌법에 반하는 사항으로 허락하지 않기로 했다. 총회 첫날(9월 19일) 저녁 유안건 보고...
    Date2023.09.25 Views95
    read more
  9. notice

    [속보] 고신대 신임 총장에 이정기 교수 선임

    [속보] 고신대 신임 총장에 이정기 교수 선임 고신대학교 총장에 이정기 교수(백석대 교양대학장)가 선임되었다. 2023년 9월 21일(목) 저녁 7시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열린 학교법인 고려학원 이사회(이사장 유연수 목사)는 외부인사인 이정기 교수를 총장으로 ...
    Date2023.09.22 Views319
    read more
  10. notice

    [73회 고신 총회 소식 5] 캐나다 개혁교회 사절단 인사 

    [73회 고신 총회 소식 5] 캐나다 개혁교회 사절단 인사 73회 고신 총회 둘째날인 2023년 9월 20일(수) 캐나다 개혁교회 사절단이 인사를 전했다. 아래는 인사문 전문이다. 한글 번역과 영어 원문을 싣는다. 존경하는 고신총회 형제님들께, 오늘 저희 캐나다 ...
    Date2023.09.20 Views320
    read more
  11. notice

    [73회 고신총회 소식 4] 고신 교인 감소 계속 진행중 

    [73회 고신총회 소식 4] 고신 교인 감소 계속 진행중 고신 교회의 교인 총 숫자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회는 매년 보고서를 통해 전국교회의 통계를 발표한다. 지난해 72회 총회 시 2022년 2월 기준으로 고신교회에 등록된 교인은 388,68...
    Date2023.09.20 Views570
    read more
  12. No Image

    개혁주의 학술원 주최 제8회 신진학자포럼

    제8회 신진학자포럼 주최: 고신대 개혁주의학술원 일시: 2019년 1월 12일(토) 오후 2시 장소: 대구산성교회 교육관 (황원하 목사 시무) 주제: 21세기를 위한 교부신학과 개혁신학 발표1: 태동열 박사 ㅡ 바빙크의 성령론적 관점에서 본 인간의 자유와 보이지 ...
    Date2018.12.18 Views275
    Read More
  13. SFC 신입간사 14명의 훈련이 시작되다

    SFC 신입간사 14명의 훈련이 시작되다 손재익 객원기자 2019년 12월 17일(월) 오후 2시 2019 SFC 신입간사훈련 개원예배가 열렸다. SFC 교육훈련센터 내 한길교회당(손재익 목사 시무)에서 신입간사 14명과 40여명의 축하객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허태영...
    Date2018.12.17 Views901
    Read More
  14. No Image

    고려신학대학원 2019학년도 입시 합격자 발표

    고려신학대학원 2019학년도 입시 합격자 발표 손재익 객원기자 2019년 12월 4일(화)-5일(수) 실시된 2019학년도 고려신학대학원 입학시험 합격자가 발표되었다. 입학정원 120명 모집에 126명이 지원하여 1.05: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별전형 31명을 비롯해, ...
    Date2018.12.12 Views875
    Read More
  15. 한마음교회 설립감사예배 앞두고 막바지 작업중

    한마음교회 설립감사예배 앞두고 막바지 작업중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총회가 지난 2015년 제65회 총회를 통해 고신과 옛 고려가 통합한 것을 기념하여 추진해 오던 한마음교회(교단통합 기념교회)가 설립감사예배를 앞두고 막바지 작업 중이다. 통합기념교회(...
    Date2018.12.10 Views539
    Read More
  16. 삼일운동, 100주년을 준비하며-미래교회 포럼 개최

    삼일운동, 100주년을 준비하며 - 미래교회 포럼 개최 손재익 객원기자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9년 3월 1일, 전국적인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 지배에 대해 민족 전체가 저항운동을 벌였다. 그 결과 임시정부 수립에 영향을 미쳤고, 1...
    Date2018.12.05 Views382
    Read More
  17. 박영돈 교수 21년 6개월 동안 섬긴 후 은퇴

    박영돈 교수 21년 6개월 동안 섬긴 후 은퇴 손재익 객원기자 고려신학대학원 박영돈 교수(교의학) 정년퇴임식이 2018년 11월 29일(목) 12시 15분 고려신학대학원 강당에서 열렸다. 종강예배와 함께 드려진 이날 은퇴식에는 신대원 원우들과 퇴임식을 축하하기...
    Date2018.11.29 Views1005
    Read More
  18. 고신대학교 여자신학원 신입생 모집

    고신대학교 여자신학원 신입생 모집 < 저작권자 ⓒ 개혁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ate2018.10.26 Views628
    Read More
  19. 전국 34개 노회 임원 명단

    전국 34개 노회 임원 명단 손재익 객원기자 10월 15일(월)-16일(화)에 열린 노회는 임원을 선출하는 노회다. 아래는 전국 34개 노회에서 선출된 임원 명단이다. 노회 노회장 부노회장 부노회장 서기 부서기 회록서기 부회록서기 회계 부회계 강원 송병국 김현...
    Date2018.10.18 Views1036
    Read More
  20. 전국에서 정기노회 일제히 열려

    전국에서 정기노회 일제히 열려 손재익 객원기자 2018년 10월 15일(월)부터 전국에서 정기노회가 열렸다. 제3회를 맞은 서울남부노회는 잠실중앙교회당(노정각 목사 시무)에서 노회장 한진환 목사(서울서문교회)의 예배인도로 시작했다. 부노회장 추경일 장로...
    Date2018.10.16 Views475
    Read More
  21. 공교회가 함께 신앙과 삶을 묻고 답하다

    공교회가 함께 신앙과 삶을 묻고 답하다 - 제9회 종교개혁신앙강좌 손재익 객원기자 2018년 10월 9일(화) 오전 11시 사랑의교회 안성수양관에는 낯설지만 어색하지 않은 300여명의 성도들이 모여 들었다. 서로 다른 9개 교회의 교인들 함께 모인 것이다. 다른...
    Date2018.10.10 Views607
    Read More
  22. 유지재단 이사장, 이사 이취임식 및 사무총장 이취임식 열려

    유지재단 이사장, 이사 이취임식 및 사무총장 이취임식 열려 손재익 객원기자 2018년 10월 2일(화) 오전 11시 총회회관 대강당(서울시 서초구 반포동)에서 유지재단 이사장, 이사 이취임식 및 사무총장 이취임식이 있었다. 유지재단 서기 유연수 목사의 인도...
    Date2018.10.03 Views610
    Read More
  23. 화란개혁교회(해방파) 사절단 방문

    화란개혁교회(해방파) 사절단 방문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과 자매관계에 있는 화란개혁교회(Vrijgemaakt)의 사절인 Simon van der Lugt목사(델프트교회 담임목사)와 Arjan Grashuis 장로가 총회본부 건물을 방문하여 여러 기관들을 돌아보았을 뿐만 아니라 몇...
    Date2018.10.02 Views345
    Read More
  24. [총회 소식 12] 기타 안건

    [총회 소식 12] 기타 안건 손재익 객원기자 68회 총회는 12일(수) 저녁 수요기도회 후 각 부회 보고를 받았다. 13일(목) 오전까지 진행된 보고의 내용 중 중요사항은 아래와 같다. 총대노회라는 명칭은 사용할 수 없다. 선교사 재산 전수조사 청원건은 KPM에 ...
    Date2018.09.13 Views591
    Read More
  25. [총회소식 11] 총회장단 기자 인터뷰

    [총회소식 11] 총회장단 기자 인터뷰 손재익 객원기자 총회 첫날(11일) 밤 9시 30분 고려신학대학원 본부동에서 기독교보 주관 총회장단 기자 인터뷰가 있었다. 신수인 부총회장의 기도로 시작된 기자 인터뷰에는 본보를 비롯해 CBS CTS 뉴스앤조이 한국기독...
    Date2018.09.13 Views483
    Read More
  26. [총회 소식 10] 이광복의 저술을 가르치지 않기로

    [총회 소식 10] 이광복의 저술을 가르치지 않기로 손재익 객원기자 총회 진행 중에 헌의위원회를 통해 이광복 목사(목양교회, 흰돌선교센터)의 저술을 가르치는 문제에 대해 총회가 분명히 답을 달라는 안건이 올라왔다. 이미 64회 총회를 통해 고려신학대학...
    Date2018.09.13 Views725
    Read More
  27. [총회 소식 9] 김용의, 김요한의 신학사상은 1년간 연구하기로

    [총회 소식 9] 김용의, 김요한의 신학사상은 1년간 연구하기로 손재익 객원기자 김용의 선교사(순회선교단, 복음학교)의 사상과 관련한 이단성 조사 청원 건과 새물결플러스 출판사 김요한 대표의 저서 ‘지렁이의 기도’ 내용에 대한 이단성 연구...
    Date2018.09.13 Views534
    Read More
  28. [총회 소식 8] 고려신학대학원의 이신칭의에 대한 입장

    [총회 소식 8] 고려신학대학원의 이신칭의에 대한 입장 손재익 객원기자 지난 제67회 총회는 남부산노회장 권종오 목사와 서부산노회장 안영호 목사가 청원한 “이신칭의 교리에 대한 고신교회의 입장과 고려신학대학원 교수들의 견해를 밝혀 줄 것&rdqu...
    Date2018.09.13 Views824
    Read More
  29. [총회 소식 7] 재판 받기 전 각서를

    [총회 소식 7] 재판 받기 전 각서를 손재익 객원기자 고린도전서 6:1-7은 신자가 세상 법정에 소송하는 것을 금한다. 신자는 교회법정에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당회, 노회, 총회는 재판부(국)를 두어 신자 간의 갈등을 해결한다. 하지만 종종 ...
    Date2018.09.12 Views364
    Read More
  30. [총회 소식 6] 구요한 참여금지, 김성로 이인규 참여자제

    [총회 소식 6] 구요한 참여금지, 김성로 이인규 참여자제 손재익 객원기자 고신총회는 구요한 씨에 대해 참여금지, 김성로 이인규에 대해 참여자제 하도록 결의했다. 총회 첫날인 11일(화) 저녁 유안건으로 상정된 구요한 목사와 김성로 목사 그리고 이인규 ...
    Date2018.09.12 Views487
    Read More
  31. [총회 소식 5] 신학대학원 입학 정원 감축하기로

    [총회 소식 5] 신학대학원 입학 정원 감축하기로 손재익 객원기자 지난 67회 총회는 신학위원회의 청원에 따라 고려신학대학원의 정원을 현실화 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학교법인 이사회는 신학대학원과 상의하여 2020학년도부터 4년에 걸쳐 5명씩 하향 조정해...
    Date2018.09.11 Views5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4 Next
/ 34
사설
[사설] 제7차 개정헌법 헌의안, 총...
[사설] 총회장은 교단의 수장이 아...
[사설] 명예집사와 명예권사, 허용...
[사설] 총회가 계파정치에 함몰되지...
[사설] 최근에 일어난 고려신학대학...
세계로교회 예배당 폐쇄 조치를 접하며 3
[사설] 총회(노회)가 모일 때 온라...
총회가 졸속으로 진행되지 않으려면
[사설] 누가 고신교회의 질서와 성...
공적 금식과 공적 기도를 선포하자
칼럼
왕처럼 살고 싶습니까? 왕처럼 나누...
푸틴의 머릿속에 있는 그림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3부)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2부); 교회...
백신 의무 접종과 교회 (1부)
우리 악수할까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Peter Holt...
관심을 가지고 보십시오.
동성애 문제에 대한 두 교단의 서로...
하나님께서는 역사의 잘못을 통해서...
기고
신학생 보내기 운동에 대한 진지한 ...
명예 직분 허용이 가져다 줄 위험한...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9] 고신교...
성경 원어의 묘미
고신대학교, 정말 위기인가?
[고신 70주년에 즈음하여 8] 고신교...
가정예배로 신앙의 명문 가문을 세...
이 시대에 교인을 어떻게 양육할 수...
고신총회설립 70주년 총회, 무엇을 ...
2022년 총회에 대한 우려...
논문
네덜란드 개혁교회 예식서에 있어서...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 예배지침 부분...
제7차 헌법개정초안(2022년 6월) 분...
SFC 강령의 “전통적 웨스트민스터 ...
지역교회의 적정 규모(規模 size)는?
한국 교회의 위기: 노회의 기능과 역할
한국 장로교회 헌법, 어디로 가야 ...
시찰 없이는 노회는 없다: 노회의 ...